본문으로 건너뛰기

Plume 네트워크와 Web3의 실물 자산(RWA)

· 약 72분

Plume 네트워크: 개요 및 가치 제안

Plume 네트워크는 실물 자산(RWA)을 위해 특별히 구축된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이는 프라이빗 크레딧, 부동산부터 탄소 배출권, 심지어 수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실물 금융 자산을 토큰화하고, 이를 네이티브 암호화폐 자산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퍼블릭 이더리움 호환 체인입니다. 즉, Plume은 단순히 자산을 온체인에 올리는 것을 넘어, 사용자가 탈중앙화 금융(DeFi)에서 토큰화된 실물 자산을 보유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합니다. 이를 통해 스테이킹, 대출, 차입, 스왑, 투기적 거래와 같은 익숙한 암호화폐 활동을 전통 금융에서 비롯된 자산에 대해 가능하게 합니다.

Plume의 핵심 가치 제안은 전통적으로 비유동적이거나 접근하기 어려웠던 자산을 프로그래밍 가능하고 유동적인 토큰으로 전환하여 전통 금융(TradFi)과 DeFi를 연결하는 것입니다. 기관 등급의 자산(예: 프라이빗 크레딧 펀드, ETF, 상품)을 DeFi 인프라와 통합함으로써, Plume은 한때 대규모 기관이나 특정 시장에 국한되었던 고품질 투자를 암호화폐 사용자들이 무허가성(permissionless), 구성 가능성(composable)을 갖추고 클릭 한 번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암호화폐 참여자들이 인플레이션성 토큰 보상에 의존하는 대신, 안정적인 실물 현금 흐름(대출 이자, 임대 수입, 채권 수익률 등)에 기반한 "실질 수익(real yield)"을 얻을 수 있는 문을 엽니다. Plume의 미션은 **"RWA 금융(RWAfi)"**을 주도하여, 누구나 프라이빗 크레딧, 부동산 부채, 상품과 같은 자산에 온체인으로 접근하고 이를 새로운 방식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투명하고 개방적인 금융 시스템을 만드는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Plume 네트워크는 "실물 자산을 위한 온체인 홈" 역할을 하며, 오프체인 자산을 진정한 암호화폐 네이티브 유틸리티를 갖춘 글로벌 금융 도구로 전환하는 풀스택 생태계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들은 스테이블코인을 스테이킹하여 최고의 펀드 매니저(Apollo, BlackRock, Blackstone 등)로부터 수익을 얻고, RWA 기반 토큰을 담보로 루핑 및 레버리지를 활용하며, RWA를 ERC-20 토큰처럼 쉽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Plume은 투명성이나 사용자 경험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대체 자산을 더 유동적이고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만들어 Web3에 새로운 자본과 투자 기회를 가져오려는 플랫폼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기술 및 아키텍처

Plume 네트워크는 모듈형 레이어 2 아키텍처를 갖춘 EVM 호환 블록체인으로 구현되었습니다. 내부적으로 Plume은 이더리움 롤업(Arbitrum의 기술과 유사)처럼 작동하며, 데이터 가용성과 보안을 위해 이더리움을 활용합니다. Plume의 모든 트랜잭션은 결국 이더리움에 일괄적으로 게시되며, 이는 사용자가 이더리움에 calldata를 게시하는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약간의 추가 수수료를 지불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설계는 이더리움의 강력한 보안을 활용하면서도 Plume이 자체적인 고처리량 실행 환경을 가질 수 있게 합니다. Plume은 트랜잭션을 집계하여 주기적으로 이더리움에 커밋하는 시퀀서를 운영하여, RWA 사용 사례에 대해 더 빠른 실행과 낮은 수수료를 제공하면서도 신뢰와 최종성을 위해 이더리움에 고정됩니다.

Plume은 EVM과 호환되기 때문에, 개발자들은 거의 변경 없이 이더리움에서와 마찬가지로 Plume에 Solidity 스마트 계약을 배포할 수 있습니다. 이 체인은 표준 이더리움 RPC 메서드와 Solidity 연산을 지원하며, 약간의 차이점만 있습니다(예: Plume의 블록 번호와 타임스탬프 의미는 레이어 2 설계로 인해 Arbitrum의 관례를 따름). 실제로 이는 Plume이 기존 DeFi 프로토콜과 개발자 도구를 쉽게 통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Plume 문서에 따르면 이더리움("부모" 체인)과 Plume(L2) 간의 크로스체인 메시징이 지원되어, 필요에 따라 체인 간에 자산과 데이터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특히 Plume은 자신을 RWA 금융에 최적화된 **"모듈형 블록체인"**이라고 설명합니다. 모듈형 접근 방식은 그 아키텍처에서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자산을 브리징하는 전용 구성 요소(Arc, 모든 것을 온체인으로 가져옴), 여러 블록체인에 걸쳐 **옴니체인 수익 라우팅(SkyLink)**을 위한 구성 요소, 그리고 온체인 데이터 피드(Nexus, "온체인 데이터 고속도로")가 있습니다. 이는 Plume이 Plume 상의 실물 자산 토큰이 다른 체인의 유동성과 상호 작용하고, 오프체인 데이터(자산 평가, 이자율 등)가 안정적으로 온체인에 공급되는 상호 연결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Plume의 인프라에는 RWA 규정 준수에 필요한 신원/AML 확인을 처리할 가능성이 있는 맞춤형 지갑인 Plume Passport("RWAfi 지갑")와 생태계 내 거래를 위한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pUSD)**도 포함됩니다.

중요한 점은 Plume의 현재 버전이 종종 _레이어 2 또는 롤업 체인_으로 불린다는 것입니다. 즉, 보안을 위해 이더리움 위에 구축되었습니다. 그러나 팀은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려는 야심 찬 계획을 암시했습니다. Plume의 CTO는 모듈형 L2 롤업으로 시작했지만, 이제는 완전한 주권 레이어 1 아키텍처를 향해 "스택 아래로" 나아가고 있으며, 고성능, "스위스 은행에 필적하는" 개인 정보 보호 기능, 그리고 온체인에서 다음 1조 달러를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암호경제학적 보안 모델을 갖춘 새로운 체인을 처음부터 최적화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부족하지만,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Plume이 더 독립적인 체인으로 전환하거나, 기관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FHE(완전 동형 암호) 또는 zk-proofs(zkTLS 및 개인 정보 보호 언급)와 같은 고급 기능을 통합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Plume의 메인넷이 이더리움의 보안과 EVM 환경을 활용하여 자산과 사용자를 신속하게 온보딩하고, RWA에 대해 익숙하면서도 향상된 DeFi 경험을 제공합니다.

토크노믹스 및 인센티브

**PLUME(PLUME)Plume네트워크의네이티브유틸리티토큰입니다.PLUME)**은 Plume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PLUME 토큰은 Plume에서 트랜잭션, 거버넌스,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가스 토큰으로서, PLUMEPlume체인에서트랜잭션수수료를지불하는데필요합니다(이더리움에서ETH가가스로사용되는것과유사).이는거래,스테이킹,계약배포등모든작업에수수료로PLUME은 Plume 체인에서 트랜잭션 수수료를 지불하는 데 필요합니다(이더리움에서 ETH가 가스로 사용되는 것과 유사). 이는 거래, 스테이킹, 계약 배포 등 모든 작업에 수수료로 PLUME이 소모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스 외에도 $PLUME은 여러 유틸리티 및 인센티브 역할을 합니다.

  • 거버넌스: $PLUME 보유자는 프로토콜 매개변수, 업그레이드 또는 자산 온보딩 결정에 대한 투표와 같은 거버넌스 결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스테이킹/보안: 토큰은 스테이킹될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의 검증인 또는 시퀀서 운영을 지원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스테이커는 체인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주고, 그 대가로 $PLUME으로 스테이킹 보상을 받습니다. (롤업으로서도 Plume은 시퀀서나 블록 생성의 궁극적인 탈중앙화를 위해 지분 증명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실질 수익 및 DeFi 유틸리티: Plume 문서는 사용자가 dApp 전반에 걸쳐 PLUME을사용하여"실질수익을잠금해제"할수있다고언급합니다.이는PLUME을 사용하여 "실질 수익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고 언급합니다. 이는 PLUME을 보유하거나 스테이킹하면 특정 RWA 수익 농장에서 더 높은 수익률을 얻거나 생태계 내 독점적인 기회에 접근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생태계 인센티브: $PLUME은 커뮤니티 참여를 보상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커뮤니티 퀘스트, 추천 프로그램, 테스트넷 참여(예: "Take Flight" 개발자 프로그램 또는 테스트넷 "Goons" NFT)를 통해 토큰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인센티브 설계는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성장시키는 사람들에게 토큰을 배포하여 네트워크 효과를 부트스트랩하기 위한 것입니다.

토큰 공급 및 분배: Plume은 100억 개의 $PLUME 토큰이라는 고정된 총 공급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토큰 생성 이벤트(메인넷 출시) 시 초기 유통 공급량은 총량의 20%(즉, 20억 개 토큰)입니다. 할당은 커뮤니티 및 생태계 개발에 크게 치중되어 있습니다.

  • **59%**는 _커뮤니티, 생태계 및 재단_에 할당됩니다. 이 큰 비중은 보조금, 유동성 인센티브, 커뮤니티 보상 및 생태계의 장기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재단 풀을 위해 예약되어 있습니다. 이는 대다수의 토큰이 사용을 부트스트랩하는 데 사용 가능하도록 보장하며(시간이 지남에 따라 탈중앙화에 대한 약속을 시사할 수 있음),
  • **21%**는 _초기 후원자_에게 할당됩니다. 이 토큰들은 Plume의 개발 자금을 지원한 전략적 투자자 및 파트너에게 할당됩니다. (아래에서 보겠지만, Plume은 저명한 암호화폐 펀드로부터 자본을 조달했으며, 이 할당은 투자자 계약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베스팅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20%**는 _핵심 기여자(팀)_에게 할당됩니다. Plume을 이끄는 창립 팀과 핵심 개발자에게 할당됩니다. 이 부분은 팀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네트워크의 성공과 그들을 일치시키며, 일반적으로 다년간의 베스팅 기간을 거칩니다.

$PLUME 외에도 Plume의 생태계에는 Plume USD(pUSD)라는 스테이블코인이 포함됩니다. pUSD는 Plume을 위한 RWAfi 생태계 스테이블코인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Plume의 DeFi 앱 내에서 회계 단위 및 주요 거래/담보 통화 역할을 합니다. 독특하게도 pUSD는 USDC에 의해 1:1로 완전히 지원됩니다. 사실상 Plume 네트워크를 위한 래핑된 USDC입니다. 이 설계 선택(USDC 래핑)은 전통 기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이루어졌습니다. 만약 어떤 조직이 이미 USDC를 보유하고 발행하는 데 익숙하다면, 동일한 프레임워크 하에서 Plume에서 pUSD를 원활하게 발행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pUSD는 이더리움과 Plume 모두에서 네이티브하게 발행 및 상환되므로, 사용자나 기관은 이더리움에 USDC를 예치하고 Plume에서 pUSD를 받거나 그 반대로 할 수 있습니다. pUSD를 USDC(궁극적으로는 USD 준비금)에 1:1로 묶음으로써, Plume은 스테이블코인이 완전히 담보화되고 유동적임을 보장하며, 이는 RWA 거래(교환 매체의 예측 가능성과 안정성이 요구됨)에 매우 중요합니다. 실제로 pUSD는 Plume의 모든 RWA 앱에 공통적인 안정적인 유동성 레이어를 제공합니다. 토큰화된 채권을 구매하든, RWA 수익 금고에 투자하든, DEX에서 자산을 거래하든, pUSD는 가치 교환을 뒷받침하는 스테이블코인입니다.

전반적으로 Plume의 토크노믹스는 네트워크 유틸리티와 성장 인센티브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PLUME은 네트워크가 자급자족(수수료 및 스테이킹 보안을 통해)하고 커뮤니티에 의해 관리되도록 보장하는 반면, 생태계 기금 및 에어드랍에 대한 대규모 할당은 초기 채택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한편, pUSD는 금융 생태계를 신뢰할 수 있는 안정적인 자산에 고정시켜, 전통적인 자본이 Plume에 진입하기 쉽고 DeFi 사용자가 실물 투자에 대한 수익을 측정하기 쉽게 만듭니다.

창립 팀 및 후원자

Plume 네트워크는 2022년 암호화폐 및 금융 분야 배경을 가진 세 명의 기업가, Chris Yin(CEO), Eugene Shen(CTO), **Teddy Pornprinya(CBO)**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Chris Yin은 팀의 비전 있는 제품 리더로 묘사되며, 플랫폼의 전략과 RWA 분야의 사고 리더십을 주도합니다. Eugene Shen은 CTO로서 기술 개발을 이끌고 있습니다(그는 "geth를 커스터마이징"하고 처음부터 구축하는 것에 대한 언급으로 보아 모듈형 블록체인 아키텍처에 대한 경험이 있음). Teddy Pornprinya는 최고 비즈니스 책임자(CBO)로서 파트너십, 사업 개발, 마케팅을 총괄하며, 초기에 수십 개의 프로젝트를 Plume 생태계에 온보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창립자들은 함께 RWA에 최적화된 체인에 대한 시장의 격차를 파악하고 이전 직장을 그만두고 Plume을 구축했으며, 구상 후 약 1년 만에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시작했습니다.

Plume은 암호화폐 네이티브 VC와 전통 금융 대기업 모두로부터 상당한 지원을 받아 그 비전에 대한 강한 신뢰를 보여주었습니다.

  • 2023년 5월, Plume은 Haun Ventures(전 a16z 파트너 Katie Haun의 펀드)가 주도하는 1,000만 달러 규모의 시드 라운드를 유치했습니다. 시드 라운드의 다른 참여자로는 Galaxy Digital, Superscrypt(Temasek의 암호화폐 부문), A Capital, SV Angel, Portal Ventures, Reciprocal Ventures가 있었습니다. 이 다양한 투자자 기반은 Plume에 암호화폐 전문성과 기관 연결을 결합한 강력한 출발을 제공했습니다.

  • 2024년 말까지 Plume은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2,0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 A 펀딩을 확보했습니다. 이 라운드는 Brevan Howard Digital, Haun Ventures(재참여), Galaxy, Faction VC와 같은 최상위 투자자들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전용 암호화폐 부문을 가진 세계 최대 헤지펀드 중 하나인 Brevan Howard의 참여는 특히 주목할 만하며, 블록체인 상의 RWA에 대한 월스트리트의 관심이 커지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 2025년 4월, 세계 최대 대체 자산 운용사 중 하나인 Apollo Global Management가 Plume에 전략적 투자를 했습니다. Apollo의 투자는 Plume이 인프라를 확장하고 더 많은 전통 금융 상품을 온체인으로 가져오는 것을 돕기 위한 7자리 숫자(USD) 금액이었습니다. Apollo의 참여는 Plume의 접근 방식에 대한 강력한 검증입니다. Apollo의 디지털 자산 책임자인 Christine Moy는 그들의 투자가 **"기관 수준의 상품에 대한 접근을 넓히는 기술에 대한 Apollo의 초점을 강조하며... Plume은 디지털 자산 유틸리티, 투자자 참여, 차세대 금융 솔루션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종류의 인프라를 대표한다"**고 말했습니다. 즉, Apollo는 Plume을 블록체인을 통해 사모 시장을 더 유동적이고 접근 가능하게 만드는 핵심 인프라로 보고 있습니다.

  • 또 다른 전략적 후원자는 이전의 Binance Labs인 YZi Labs입니다. 2025년 초, YZi(Binance의 벤처 부문이 리브랜딩됨)는 Plume 네트워크에 대한 전략적 투자도 발표했습니다. YZi Labs는 Plume을 _"실물 자산 확장을 위해 설계된 최첨단 레이어 2 블록체인"_으로 강조했으며, 그들의 지원은 Plume이 전통 금융과 DeFi를 대규모로 연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나타냅니다. (Binance Labs가 YZi Labs로 리브랜딩한 것은 Plume과 같은 핵심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의 연속성을 나타냅니다.)

  • Plume의 후원자에는 파트너십을 통한 전통 핀테크 및 암호화폐 기관도 포함됩니다(아래에 자세히 설명됨). 예를 들어, Mercado Bitcoin(라틴 아메리카 최대 디지털 자산 플랫폼)과 Anchorage Digital(규제된 암호화폐 수탁 기관)은 생태계 파트너로서 사실상 Plume의 성공과 자신들을 일치시킵니다. 또한, 세계 최대 디지털 자산 운용사인 Grayscale Investments도 주목했습니다. 2025년 4월, Grayscale은 공식적으로 $PLUME을 미래 투자 상품을 위해 "고려 중인" 자산 목록에 추가했습니다. Grayscale의 레이더에 있다는 것은 Plume이 잠재적으로 기관 암호화폐 신탁이나 ETF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비교적 새로운 프로젝트에 대한 주요한 합법성의 표시입니다.

요약하자면, Plume의 자금 조달 및 지원은 최고의 투자자들로부터 나옵니다. 프리미어 암호화폐 VC(Haun, Galaxy, Goldfinch의 후원을 통한 a16z 등), 헤지펀드 및 전통 금융 플레이어(Brevan Howard, Apollo), 그리고 기업 벤처 부문(Binance/YZi)이 있습니다. 이러한 후원자들의 조합은 자본뿐만 아니라 전략적 지침, 규제 전문성, 실물 자산 발행자와의 연결을 가져옵니다. 또한 Plume에 전문화된 블록체인을 구축하고 자산을 온보딩하기 위한 전쟁 자금(시드 및 시리즈 A를 통해 최소 3,000만 달러 이상)을 제공했습니다. 강력한 후원은 Plume이 빠르게 성장하는 RWA 부문에서 선도적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신뢰의 표시 역할을 합니다.

생태계 파트너 및 통합

Plume은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 양쪽에서 생태계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데 매우 적극적이었으며, 메인넷 출시 이전(그리고 직후)에 광범위한 통합 네트워크를 구축했습니다. 이 파트너들은 Plume의 RWA 생태계를 기능적으로 만드는 _자산, 인프라, 배포_를 제공합니다.

  • Nest Protocol (Nest Credit): Plume에서 운영되는 RWA 수익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스테이블코인을 금고에 예치하고 실물 자산으로 뒷받침되는 수익 창출 토큰을 받을 수 있습니다. Nest는 본질적으로 RWA 수익을 위한 DeFi 프론트엔드로, 토큰화된 미국 국채, 프라이빗 크레딧, 광물권 등과 같은 상품을 제공하지만, 복잡성을 추상화하여 "암호화폐처럼 느껴지게" 만듭니다. 사용자는 USDC(또는 pUSD)를 수탁 기관이 보유한 규제되고 감사받은 자산으로 완전히 뒷받침되는 Nest 발행 토큰으로 교환합니다. Nest는 Plume과 긴밀하게 협력합니다. Anemoy(파트너)의 Anil Sood의 추천사는 _"Plume과의 파트너십은 기관 수준의 RWA를 모든 투자자에게 제공하려는 우리의 사명을 가속화합니다... 이 협력은 RWA 혁신의 미래를 위한 청사진입니다."_라고 강조합니다. 실제로 Nest는 Plume의 네이티브 수익 시장(때로는 "Nest Yield" 또는 RWA 스테이킹 플랫폼이라고도 함)이며, Plume의 많은 대규모 파트너십이 Nest 금고로 유입됩니다.

  • Mercado Bitcoin (MB): 라틴 아메리카 최대 디지털 자산 거래소(브라질 기반)는 Plume과 파트너십을 맺고 약 4,000만 달러 상당의 브라질 실물 자산을 토큰화했습니다. 2025년 2월에 발표된 이 이니셔티브는 MB가 Plume의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브라질의 자산 유동화 증권, 소비자 신용 포트폴리오, 회사채, 매출 채권을 나타내는 토큰을 발행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목표는 글로벌 투자자들을 브라질 경제의 수익 창출 기회와 연결하는 것입니다. 즉, Plume을 통해 브라질 신용 시장을 전 세계 온체인 투자자들에게 개방하는 것입니다. 이 브라질 RWA 토큰은 Plume 메인넷 첫날부터 Nest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브라질 중소기업 대출 및 신용 채권으로 뒷받침되는 안정적인 온체인 수익을 제공합니다. 이 파트너십은 Plume에 지리적 범위(LATAM)와 신흥 시장 자산 파이프라인을 제공하여, Plume이 지역 자산 발행자와 글로벌 유동성을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에 주목할 만합니다.

  • Superstate: Superstate는 **Robert Leshner(전 Compound 창립자)**가 설립한 핀테크 스타트업으로, 규제된 미국 국채 펀드 상품을 온체인으로 가져오는 데 중점을 둡니다. 2024년, Superstate는 암호화폐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토큰화된 미국 국채 펀드(1940년법 뮤추얼 펀드로 승인)를 출시했습니다. Plume은 Superstate의 멀티체인 확장을 지원하기 위해 선택되었습니다. 실제로 이는 Superstate의 토큰화된 국채 펀드(미국 정부 채권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가 Plume에서 사용 가능하게 되어 Plume의 DeFi 생태계에 통합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Leshner 자신은 _"독특한 RWAfi 체인인 Plume으로 확장함으로써, 목적에 맞게 구축된 인프라가 토큰화된 자산에 대한 훌륭한 새로운 사용 사례를 어떻게 가능하게 하는지 보여줄 수 있습니다. 우리는 Plume 위에서 구축하게 되어 기쁩니다."_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Superstate가 그들의 펀드 토큰(예: 국채 펀드의 온체인 주식)을 Plume에 배포하여, Plume 사용자가 이를 보유하거나 DeFi에서 사용(아마도 차입 담보나 자동 수익을 위한 Nest 금고에서)할 수 있도록 할 것임을 나타냅니다. 이는 Plume의 체인이 _국채와 같은 규제된 자산 토큰을 위한 선호되는 홈_으로 여겨진다는 강력한 검증입니다.

  • Ondo Finance: Ondo는 토큰화된 채권 및 수익 상품(특히, 단기 미국 국채 펀드의 주식을 나타내는 Ondo의 OUSG 토큰과 이자부 USD 예금 상품을 나타내는 USDY)을 제공함으로써 RWA 분야로 전환한 잘 알려진 DeFi 프로젝트입니다. Ondo는 Plume의 생태계 파트너 중 하나로 등재되어 있으며, 이는 Ondo의 수익 창출 토큰(OUSG, USDY 등)이 Plume에서 사용될 수 있는 협력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Ondo의 상품은 Plume의 목표와 밀접하게 일치합니다. Ondo는 규정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법적 수단(SPV)을 설립했으며, OUSG 토큰은 **BlackRock의 토큰화된 머니 마켓 펀드(BUIDL)**에 의해 뒷받침되어 국채에서 약 4.5%의 APY를 제공합니다. Ondo를 통합함으로써 Plume은 온체인에서 미국 국채와 같은 우량 RWA 자산을 얻습니다. 실제로 2024년 말 기준으로 Ondo의 RWA 상품은 약 6억 달러 이상의 시장 가치를 가졌으므로, 이를 Plume에 브리징하는 것은 상당한 TVL을 추가합니다. 이 시너지는 Plume 사용자가 Ondo의 토큰으로 스왑하거나 복합 전략을 위해 Nest 금고에 포함시킬 수 있게 할 것입니다.

  • Centrifuge: Centrifuge는 RWA 토큰화의 선구자입니다(RWA 풀을 위한 자체 Polkadot 파라체인 운영). Plume의 사이트는 Centrifuge를 파트너로 등재하여 협력 또는 통합을 시사합니다. 이는 Centrifuge의 자산 풀(무역 금융, 부동산 브릿지 론 등)이 Plume에서 접근 가능하거나, Centrifuge가 배포를 위해 Plume의 인프라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lume의 SkyLink 옴니체인 수익은 Plume에서 Polkadot의 Centrifuge 풀로 유동성을 라우팅하거나, Centrifuge가 더 깊은 DeFi 구성 가능성을 위해 특정 자산을 Plume에 직접 토큰화할 수 있습니다. Centrifuge가 프라이빗 크레딧 RWA 카테고리에서 약 4억 900만 달러의 TVL을 가진 풀로 선두를 달리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Plume 생태계에 참여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는 RWA 플랫폼 간의 상호 운용성을 향한 업계 전반의 움직임을 나타내며, Plume은 체인 전반에 걸쳐 RWA 유동성을 위한 통합 레이어 역할을 합니다.

  • Credbull: Credbull은 Plume과 파트너십을 맺고 대규모 토큰화된 신용 펀드를 출시한 프라이빗 크레딧 펀드 플랫폼입니다. CoinDesk에 따르면, Credbull은 Plume에서 최대 5억 달러 규모의 프라이빗 크레딧 펀드를 출시하여 온체인 투자자에게 고정된 고수익을 제공합니다. 이는 프라이빗 크레딧(중견 기업에 대한 대출 또는 기타 신용 자산)을 온체인 스테이블코인 보유자가 고정 수익을 위해 투자할 수 있는 수단으로 패키징하는 것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중요성은 두 가지입니다. (1) Plume 네트워크에 막대한 수익 자산 파이프라인(약 5억 달러)을 추가하고, (2) Plume이 실제 자산 운용사들을 유치하여 자사 체인에서 상품을 발행하도록 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다른 파이프라인 자산과 결합하여 Plume은 2024년 말까지 약 12억 5,000만 달러 상당의 RWA를 토큰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여기에는 Credbull의 펀드, 3억 달러의 재생 에너지 자산(Plural Energy를 통한 태양광 발전소), 약 1억 2,000만 달러의 의료 채권(Medicaid 지원 인보이스), 심지어 석유 및 가스 광물권도 포함됩니다. 이 대규모 파이프라인은 출시 시점에 Plume이 비어 있지 않고,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자산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Goldfinch: Goldfinch는 전 세계 핀테크 대출 기관에 저담보 대출을 제공하는 탈중앙화 신용 프로토콜입니다. 2023년, Goldfinch는 **"Goldfinch Prime"**으로 전환하여, 최고의 프라이빗 크레딧 펀드에 대한 온체인 접근을 제공함으로써 공인 및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했습니다. Plume과 Goldfinch는 Goldfinch Prime의 상품을 Plume의 Nest 플랫폼으로 가져오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하여, Goldfinch의 기관 신용 거래를 Plume의 사용자 기반과 효과적으로 결합했습니다. 이 파트너십을 통해 Plume의 기관 투자자들은 Goldfinch의 통합을 통해 Apollo, Golub Capital, Aries, Stellus 및 기타 주요 프라이빗 크레딧 매니저가 관리하는 펀드에 스테이블코인을 스테이킹할 수 있습니다. 그 야망은 거대합니다. 이 매니저들은 총 1조 달러 이상의 자산을 대표하며, 파트너십은 궁극적으로 그 일부를 온체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실질적으로 Plume의 사용자는 Goldfinch Prime을 통해 토큰화된 수백 개의 실물 대출에서 수익을 얻는 다각화된 풀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이는 Plume의 자산 다양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최상위 RWA 플랫폼과 파트너 관계를 맺을 수 있는 Plume의 신뢰도를 강조합니다.

  • 인프라 파트너 (수탁 및 연결성): Plume은 또한 주요 인프라 플레이어들을 통합했습니다. 규제된 암호화폐 수탁 은행인 Anchorage Digital은 파트너입니다. Anchorage의 참여는 기관 사용자들이 토큰화된 자산이나 $PLUME을 은행 수준의 수탁 솔루션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을 의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큰 돈에는 필수). Paxos는 또 다른 등재된 파트너로, 스테이블코인 인프라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Paxos는 USDP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수탁 및 중개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아마도 Paxos가 pUSD의 준비금을 보호하거나 자산 토큰화 파이프라인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LayerZero도 언급되어 있으며, 이는 Plume이 크로스체인 메시징을 위해 LayerZero의 상호 운용성 프로토콜을 사용함을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Plume의 자산이 다른 체인으로(그리고 그 반대로) 신뢰 최소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Plume의 롤업 브릿지를 보완합니다.

  • 기타 DeFi 통합: Plume의 생태계 페이지에는 RWA 전문가 및 주류 DeFi 프로젝트를 포함한 180개 이상의 프로토콜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Nucleus Yield(토큰화된 수익률 플랫폼)와 같은 이름과 아마도 온체인 KYC 제공업체 또는 신원 솔루션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메인넷 시점까지 Plume은 _테스트넷 환경에 200개 이상의 통합 프로토콜_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많은 기존 dApp(DEX, 머니 마켓 등)이 Plume에 배포되었거나 배포할 준비가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실물 자산이 토큰화되면 즉각적인 유틸리티를 갖도록 보장합니다. 예를 들어, 토큰화된 태양광 발전소 수익 흐름은 오더북 거래소에서 거래되거나, 대출 담보로 사용되거나, 인덱스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DeFi "머니 레고" 조각(DEX, 대출 플랫폼, 자산 관리 프로토콜)이 처음부터 체인에서 사용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요약하자면, Plume의 생태계 전략은 공격적이고 포괄적이었습니다. _자산_을 위한 앵커 파트너십 확보(예: Apollo, Superstate/Ondo를 통한 BlackRock의 펀드, Goldfinch 및 Credbull을 통한 프라이빗 크레딧, Mercado Bitcoin을 통한 신흥 시장 자산), 인프라 및 규정 준수 보장(Anchorage 수탁, Paxos, 신원/AML 도구), 그리고 2차 시장과 레버리지의 번성을 허용하기 위해 _DeFi 프리미티브_를 이식하는 것입니다. 그 결과 Plume은 2025년에 잠재적으로 Web3에서 가장 상호 연결된 RWA 네트워크, 즉 다양한 RWA 프로토콜과 실물 기관이 연결되는 허브로 진입합니다. 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효과는 상당한 총 예치 자산(TVL)과 사용자 활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초기 지표(Plume의 테스트넷은 짧은 기간 동안 1,800만 개 이상의 고유 지갑과 2억 8,000만 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기록했으며, 이는 주로 인센티브 캠페인과 테스트에 참여한 프로젝트의 폭 때문임)에서 나타납니다.

로드맵 및 개발 마일스톤

Plume의 개발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으며, 온체인에서 실물 자산을 확장하기 위한 단계적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 테스트넷 및 커뮤니티 성장 (2023년): Plume은 2023년 중후반에 인센티브 테스트넷("Miles"라는 코드명)을 출시했습니다. 테스트넷 캠페인은 사용자를 유치하는 데 매우 성공적이었습니다. 1,800만 개 이상의 테스트넷 지갑 주소가 생성되었고, 2억 8,000만 건 이상의 트랜잭션이 실행되었습니다. 이는 테스트넷 "미션"과 에어드랍 캠페인(Plume 에어드랍 시즌 1은 초기 사용자들이 수령)에 의해 주도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테스트넷은 또한 _200개 이상의 프로토콜_을 온보딩하고 100만 개의 NFT("Goons")가 발행되는 등 활발한 시험 생태계를 보여주었습니다. 이 대규모 테스트넷은 Plume의 기술 확장성을 입증하고 화제를 모으는 마일스톤이었습니다(그리고 대규모 커뮤니티: Plume은 현재 약 100만 명의 트위터 팔로워와 수십만 명의 디스코드/텔레그램 회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메인넷 출시 (2025년 1분기): Plume은 2024년 말 또는 2025년 초를 메인넷 출시 목표로 삼았습니다. 실제로 2025년 2월까지 Mercado Bitcoin과 같은 파트너들은 자신들의 토큰화된 자산이 "Plume 메인넷 출시 첫날부터" 라이브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Plume 메인넷이 2025년 2월경에 라이브되었거나 라이브될 예정이었음을 의미합니다. 메인넷 출시는 테스트넷의 교훈을 프로덕션에 적용하고, 토큰화 준비가 된 초기 실물 자산(약 10억 달러 이상)과 함께하는 중요한 마일스톤입니다. 출시는 Plume의 핵심 제품인 Plume 체인(메인넷), 자산 온보딩을 위한 Arc, pUSD 스테이블코인, Plume Passport 지갑, 그리고 파트너들이 배포한 초기 **DeFi dApp(DEX, 머니 마켓)**의 릴리스를 포함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단계적 자산 온보딩: Plume은 안전하고 유동적인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자산에 대한 "단계적 온보딩" 전략을 시사했습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더 간단하거나 위험이 낮은 자산(완전히 담보된 스테이블코인, 토큰화된 채권 등)이 먼저 도입되며, 신뢰와 유동성을 구축하기 위해 통제된 참여(아마도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기관)가 함께합니다. 각 단계는 생태계가 스스로를 증명함에 따라 더 많은 사용 사례와 자산 클래스를 잠금 해제합니다. 예를 들어, 1단계는 온체인 국채 및 프라이빗 크레딧 펀드 토큰(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수익을 창출하는 자산)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후속 단계에서는 재생 에너지 수익 흐름, 부동산 지분 토큰 또는 심지어 이국적인 자산(문서에서는 _"GPU, 우라늄, 광물권, 두리안 농장"_을 궁극적인 온체인 자산 가능성으로 재미있게 언급함)과 같은 더 난해하거나 고수익 자산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Plume의 로드맵은 온체인에서 필요한 시장 깊이와 위험 관리를 개발하는 것과 병행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산 메뉴를 확장합니다.

  • 확장 및 탈중앙화: 메인넷 이후, 주요 개발 목표는 Plume 체인 운영의 탈중앙화입니다. 현재 Plume은 시퀀서 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팀이나 소수의 노드에 의해 운영될 가능성이 높음). 시간이 지남에 따라 $PLUME 스테이커가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강력한 검증인/시퀀서 세트를 도입하고, 궁극적으로는 완전히 독립적인 합의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새로운 암호경제학적 모델을 갖춘 최적화된 L1을 구축한다는 창립자의 언급은 Plume이 온체인에서 고가치 RWA를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지분 증명(Proof-of-Stake) 또는 하이브리드 보안 모델을 구현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 범주의 마일스톤에는 스택의 더 많은 부분을 오픈 소싱하고, 노드 운영자를 위한 인센티브 테스트넷을 실행하며, 사기 증명 또는 zk-proofs를 구현하는 것(옵티미스틱 롤업을 넘어설 경우)이 포함될 것입니다.

  • 기능 업그레이드: Plume의 로드맵에는 기관이 요구하는 고급 기능을 추가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개인 정보 보호 강화: 예: 기밀 트랜잭션이나 신원을 위한 영지식 증명 통합. 이를 통해 RWA의 민감한 금융 세부 정보(차용인 정보나 현금 흐름 데이터 등)를 공개 원장에서 비공개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FHE 및 zkTLS에 대한 언급은 비공개이면서도 검증 가능한 자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연구를 시사합니다.
    • 규정 준수 및 신원: Plume은 이미 AML 스크리닝 및 규정 준수 모듈을 갖추고 있지만, 향후 작업은 온체인 신원(아마도 Plume Passport에 DID 통합)을 개선하여 RWA 토큰이 필요한 경우 전송 제한을 시행하거나 적격 투자자만 보유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 상호 운용성: 크로스체인 프로토콜(LayerZero 확장) 및 브릿지와의 추가 통합을 통해 Plume의 RWA 유동성이 이더리움 메인넷, 레이어 2, 심지어 다른 앱체인과 같은 주요 생태계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합니다. SkyLink 옴니체인 수익 제품은 이의 일부일 가능성이 높으며, 다른 체인의 사용자가 Plume의 RWA 풀에서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합니다.
  • 성장 목표: Plume의 리더십은 **"2024년 4분기까지 3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토큰화"**하고 궁극적으로는 훨씬 더 많은 자산을 토큰화하겠다는 목표를 공개적으로 밝혔습니다. 출시 시점의 단기 파이프라인은 12억 5,000만 달러였지만, 토큰화된 RWA 30억 달러를 향한 여정은 명시적인 마일스톤입니다. 장기적으로, 잠재적으로 토큰화 가능한 수조 달러의 기관 자산을 고려할 때, Plume은 얼마나 많은 실물 가치를 온체인으로 가져오는지로 성공을 측정할 것입니다. 또 다른 지표는 TVL 및 사용자 채택입니다. 2025년 4월까지 RWA 토큰화 시장은 전체적으로 200억 달러의 TVL을 넘어섰으며, Plume은 그 중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고자 합니다. 만약 파트너십이 성숙한다면(예: 1조 달러 규모의 Goldfinch 파이프라인의 5%라도 온체인으로 들어온다면), Plume의 TVL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최근 하이라이트: 2025년 봄까지 Plume은 몇 가지 주목할 만한 마일스톤을 달성했습니다.

    • Apollo 투자 (2025년 4월) – 자금 조달뿐만 아니라 Apollo의 포트폴리오(Apollo는 신용, 부동산, 사모 펀드 자산을 포함하여 6,000억 달러 이상을 관리하며, 이는 결국 토큰화될 수 있음)와 협력할 기회를 가져왔습니다.
    • Grayscale 고려 (2025년 4월) – Grayscale의 관심 목록에 추가된 것은 인정의 마일스톤이며, 잠재적으로 기관을 위한 Plume 투자 상품의 길을 열 수 있습니다.
    • RWA 시장 리더십: Plume 팀은 RWA 시장 동향을 언급하는 _"Plumeberg" 뉴스레터_를 자주 발행합니다. 한 뉴스레터에서는 RWA 프로토콜이 100억 달러 TVL을 돌파한 것을 축하하며 이야기 속에서 Plume의 핵심 역할을 언급했습니다. 그들은 부문이 성장함에 따라 Plume을 핵심 인프라로 포지셔닝했으며, 이는 RWA 대화에서 참조 플랫폼이 되는 것이 마일스톤임을 시사합니다.

본질적으로 Plume의 로드맵은 위로 그리고 밖으로 확장하는 것입니다. 자산 측면에서 위로 확장하고(수억 달러에서 수십억 달러 토큰화), 기능(개인 정보 보호, 규정 준수, 탈중앙화) 및 통합(전 세계적으로 더 많은 자산 및 사용자와 연결) 측면에서 밖으로 확장합니다. 각 성공적인 자산 온보딩(브라질 신용 거래든 Apollo 펀드 트랜치든)은 모델을 증명하는 개발 마일스톤입니다. Plume이 모멘텀을 유지할 수 있다면, 다가오는 마일스톤에는 주요 금융 기관이 Plume에서 직접 상품을 출시하거나(예: 은행이 Plume에서 채권을 발행), 정부 기관이 공공 자산 경매에 Plume을 사용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은 Plume이 실물 금융을 위한 글로벌 온체인 마켓플레이스가 되겠다는 장기 비전의 일부입니다.

지표 및 견인력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Plume 네트워크의 견인력은 테스트넷 지표, 파트너십 파이프라인, 그리고 온체인 RWA의 전반적인 성장을 종합하여 측정할 수 있습니다.

  • 테스트넷 채택: Plume의 인센티브 테스트넷(2023년)은 _엄청난 참여_를 보였습니다. 1,800만 개 이상의 고유 주소2억 8,000만 건의 트랜잭션이 기록되었는데, 이는 많은 메인넷과 비슷하거나 초과하는 수치입니다. 이는 Plume의 에어드랍 인센티브와 RWA의 매력에 이끌린 열정적인 커뮤니티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이는 플랫폼에 대한 강력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을 보여줍니다(많은 이들이 보상을 노린 투기꾼이었을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사용자 기반을 형성했습니다). 또한, 200개 이상의 DeFi 프로토콜이 테스트넷에 계약을 배포하여 광범위한 개발자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사실상 출시 전부터 Plume에 대규모 사용자 및 개발자 커뮤니티를 준비시켰습니다.

  • 커뮤니티 규모: Plume은 빠르게 수백만 명의 소셜 팔로워를 구축했습니다(예: X/트위터 100만 팔로워, 디스코드 45만 명 등). 그들은 커뮤니티 구성원들을 "Goons"라고 부르며, 테스트넷 성과의 일환으로 100만 개 이상의 "Goon" NFT가 발행되었습니다. 이러한 게임화된 성장은 최근 Web3에서 가장 빠른 커뮤니티 구축 중 하나를 반영하며, 실물 자산의 서사가 암호화폐의 광범위한 청중에게 공감을 얻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생태계 및 TVL 파이프라인: 메인넷 출시 시, Plume은 첫날에 10억 달러 이상의 실물 자산이 토큰화되거나 사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공동 창립자 Chris Yin은 성명에서 Plume에 "독점적으로" 제공되는 _고수익, 비공개 보유 자산에 대한 독점적 접근_을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준비된 특정 자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 Credbull 프라이빗 크레딧 펀드에서 5억 달러,
    • 태양 에너지 농장에서 3억 달러 (Plural Energy),
    • 의료 분야에서 1억 2,000만 달러 (Medicaid 채권),
    • 그리고 광물권 및 기타 난해한 자산. 이들을 합하면 약 10억 달러에 달하며, Yin은 2024년 말까지 30억 달러 토큰화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수치가 실현된다면, Plume은 RWA TVL에서 상위 체인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비교하자면, 2025년 4월 기준으로 전체 RWA 부문의 온체인 TVL은 약 200억 달러였으므로, 한 플랫폼에서 30억 달러는 매우 중요한 점유율이 될 것입니다.
  • 현재 TVL / 사용량: 메인넷 출시가 최근이므로, Plume의 구체적인 TVL 수치는 아직 DeFiLlama와 같이 공개적으로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여러 통합 프로젝트가 자체 TVL을 가져온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Ondo의 상품(OUSG 등)은 2024년 초에 6억 2,300만 달러의 시장 가치를 가졌으며, 그 중 일부는 현재 Plume에 있거나 미러링될 수 있습니다.
    • Mercado Bitcoin(브라질)을 통한 토큰화된 자산은 4,000만 달러의 파이프라인을 추가합니다.
    • Goldfinch Prime의 풀은 대규모 예금을 유치할 수 있습니다(Goldfinch의 레거시 풀은 1억 달러 이상의 대출을 발생시켰으며, Prime은 기관과 함께 더 높은 규모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 Nest 금고가 여러 수익률을 집계한다면, 스테이블코인 보유자들이 RWA에서 5-10%의 수익률을 추구함에 따라 Plume에서 빠르게 9자리 수의 TVL을 축적할 수 있습니다. 정성적 지표로서, RWA 수익률에 대한 수요는 약세장에서도 높았습니다. 예를 들어, Ondo와 같은 토큰화된 국채 펀드는 몇 달 만에 수억 달러를 모았습니다. Plume은 이러한 많은 상품을 집중시키므로, DeFi 사용자들이 더 "실질적인" 수익률로 전환함에 따라 TVL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습니다.
  • 트랜잭션 및 활동: Plume의 온체인 트랜잭션 수는 게임 체인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RWA 트랜잭션은 가치가 높지만 빈도가 낮기 때문입니다(예: 채권 토큰으로 수백만 달러를 이동하는 것과 많은 소액 트랜잭션). 그렇지만, 2차 거래가 활발해지면(Plume의 오더북 거래소나 AMM에서), 꾸준한 활동을 볼 수 있습니다. 2억 8,000만 건의 테스트 트랜잭션이 있었다는 것은 Plume이 필요할 경우 높은 처리량을 처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Plume의 낮은 수수료(이더리움보다 저렴하게 설계됨)와 구성 가능성으로 인해, 더 복잡한 전략(담보 루핑, 스마트 계약에 의한 자동화된 수익 전략 등)을 장려하여 상호 작용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 실물 영향: 또 다른 "지표"는 전통적인 참여입니다. Plume이 Apollo 등과 파트너십을 맺었다는 것은 **Plume에 연결된 기관 AuM(운용 자산)**이 수백억 달러에 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Apollo의 관련 펀드, BlackRock의 BUIDL 펀드 등만 계산해도). 그 가치 전부가 온체인에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각 기관의 작은 할당만으로도 Plume의 온체인 자산을 빠르게 부풀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BlackRock의 BUIDL 펀드(토큰화된 머니 마켓)는 1년 만에 10억 달러 AUM에 도달했습니다. Franklin Templeton의 온체인 정부 머니 펀드는 3억 6,800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유사한 펀드가 Plume에서 출시되거나 기존 펀드가 연결된다면, 그 수치는 잠재적 규모를 반영합니다.

  • 보안/규정 준수 지표: Plume이 _완전한 온체인 24/7, 무허가성이지만 규정을 준수_한다고 자랑하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성공의 한 척도는 초기 RWA 토큰 코호트에서 보안 사고나 채무 불이행이 없는 것이 될 것입니다. 사용자에게 지급된 지불 수익률과 같은 지표(예: 실물 자산에서 Plume 스마트 계약을 통해 지급된 이자 금액)는 신뢰성을 구축할 것입니다. Plume의 설계에는 실시간 감사 및 자산 담보의 온체인 검증이 포함됩니다(일부 파트너는 Ondo가 USDY에 대해 하는 것처럼 매일 투명성 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관되고 검증된 수익 지급과 아마도 온체인 신용 등급이 주목해야 할 주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초기 지표는 Plume에 대한 강한 관심과 견고한 파이프라인을 보여줍니다. 테스트넷 수치는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견인력을 보여주며, 파트너십은 상당한 온체인 TVL 및 사용량으로 가는 길을 제시합니다. Plume이 안정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우리는 얼마나 많은 자산 유형이 라이브 상태인지, 얼마나 많은 수익이 분배되는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활성 사용자(특히 기관)가 플랫폼에 참여하는지와 같은 지표를 추적할 것입니다. 전체 RWA 카테고리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2025년 5월 기준 224억 달러 이상의 TVL, 월 9.3% 성장률)을 감안할 때, Plume의 지표는 이 확장되는 파이의 맥락에서 보아야 합니다. Plume이 계속해서 실행한다면, 시장의 수십억 달러 점유율을 차지하는 선도적인 RWA 허브로 부상할 실제 가능성이 있습니다.


Web3의 실물 자산(RWA): 개요 및 중요성

**실물 자산(RWA)**은 전통 경제의 유형 또는 금융 자산을 블록체인에서 토큰화한 것을 의미합니다. 즉, 실물 자산이나 현금 흐름에 대한 소유권이나 권리를 나타내는 디지털 토큰입니다. 여기에는 부동산, 회사채, 무역 송장, 상품(금, 석유), 주식 또는 탄소 배출권 및 지적 재산과 같은 무형 자산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RWA 토큰화는 전통 금융(TradFi)과 탈중앙화 금융(DeFi)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암호화폐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트렌드 중 하나로 꼽힙니다. 실물 자산을 온체인으로 가져옴으로써, 블록체인 기술은 역사적으로 불투명하고 비유동적이었던 시장에 투명성, 효율성, 그리고 더 넓은 접근성을 불어넣을 수 있습니다.

Web3에서 RWA의 중요성은 최근 몇 년간 극적으로 증가했습니다.

  • 암호화폐 생태계를 위한 새로운 담보 및 수익원을 열어줍니다. 투기적인 토큰 거래나 순수 암호화폐 네이티브 수익 농사에 의존하는 대신, DeFi 사용자는 실제 경제 활동(예: 부동산 포트폴리오의 수익 또는 대출 이자)에서 가치를 얻는 토큰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질 수익(real yield)"**과 다각화를 도입하여 DeFi를 더 지속 가능하게 만듭니다.
  • 전통 금융의 경우, 토큰화는 유동성과 접근성을 높일 것을 약속합니다. 상업용 부동산이나 대출 포트폴리오와 같이 일반적으로 구매자가 제한적이고 번거로운 결제 프로세스를 가진 자산은 분할되어 글로벌 시장에서 24/7 거래될 수 있습니다. 이는 자금 조달 비용을 줄이고 한때 은행이나 대형 펀드에 국한되었던 투자에 대한 접근을 민주화할 수 있습니다.
  • RWA는 또한 블록체인의 강점인 투명성, 프로그래밍 가능성, 효율성을 활용합니다. 토큰화된 증권의 결제는 거의 즉각적이고 P2P로 이루어질 수 있어, 중개자 계층을 제거하고 결제 시간을 며칠에서 몇 초로 단축합니다. 스마트 계약은 이자 지급을 자동화하거나 약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블록체인의 불변의 감사 추적은 투명성을 향상시킵니다. 투자자는 자산이 어떻게 성과를 내고 있는지 정확히 볼 수 있으며(특히 오라클 데이터와 결합될 때), 토큰 공급이 실제 자산과 일치한다는 것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온체인 준비금 증명 등).
  • 중요하게도, RWA 토큰화는 블록체인의 다음 기관 채택 물결의 핵심 동인으로 여겨집니다. 2020년의 대체로 투기적이었던 DeFi 여름이나 NFT 붐과 달리, RWA는 익숙한 자산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어 금융 산업의 핵심에 직접적으로 호소합니다. Ripple과 BCG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토큰화된 자산 시장은 2033년까지 18조 9,000억 달러에 이를 수 있으며, 이는 막대한 잠재 시장을 강조합니다. 더 가까운 미래에도 성장은 빠릅니다. 2025년 5월 기준으로 RWA 프로젝트의 TVL은 224억 5,000만 달러(한 달 만에 약 9.3% 증가)였으며 2025년 말까지 약 5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부 추정치는 채택이 가속화될 경우 2030년까지 1조~3조 달러가 토큰화될 것으로 예상하며, 상위 시나리오는 30조 달러에 달합니다.

요컨대, RWA 토큰화는 전통 자산을 더 유동적이고, 국경 없으며,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만들어 자본 시장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는 순전히 자기 참조적인 자산을 넘어 실제 경제에 자금을 조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암호화폐 산업의 성숙을 나타냅니다. 한 분석에 따르면, RWA는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세계 사이의 다리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으며", 오랫동안 과장되었던 블록체인이 금융을 혁신할 것이라는 약속을 현실로 만들고 있습니다. 이것이 2024-2025년에 RWA가 Web3의 성장 서사로 선전되며, 대형 자산 운용사, 정부, Web3 기업가들로부터 진지한 관심을 끄는 이유입니다.

RWA 분야의 주요 프로토콜 및 프로젝트

Web3의 RWA 환경은 광범위하며, 각기 다른 자산 클래스나 틈새 시장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는 RWA 운동을 이끄는 몇 가지 주요 프로토콜 및 플랫폼을 그들의 초점 영역 및 최근 진행 상황과 함께 소개합니다.

프로젝트 / 프로토콜초점 및 자산 유형블록체인주목할 만한 지표 / 하이라이트
Centrifuge프라이빗 크레딧의 탈중앙화 증권화 – 송장, 무역 채권, 부동산 브릿지 론, 로열티 등과 같은 실물 지급 자산을 자산 풀(Tinlake)을 통해 토큰화합니다. 투자자는 이러한 자산에 자금을 조달하여 수익을 얻습니다.Polkadot 파라체인 (Centrifuge Chain) 및 이더리움 dApp (Tinlake) 통합풀에 약 4억 900만 달러의 TVL; MakerDAO와 함께 RWA DeFi를 개척 (Centrifuge 풀이 특정 DAI 대출을 뒷받침). 자산 발행을 위해 New Silver 및 FortunaFi와 같은 기관과 파트너 관계. 더 쉬운 크로스체인 RWA 유동성을 위해 Centrifuge V3 출시 중.
Maple Finance기관 대출 플랫폼 – 처음에는 저담보 암호화폐 대출(거래 회사 대상)이었으나, 현재는 RWA 기반 대출로 전환했습니다. 공인된 대출 기관이 차용인에게 USDC를 제공하는 풀을 제공하며(현재는 종종 실물 담보나 수익으로 뒷받침됨). 온체인 미국 국채 투자를 위한 현금 관리 풀과 과담보 BTC/ETH 대출을 위한 Maple Direct를 출시했습니다.이더리움 (V2 & Maple 2.0), 이전에는 솔라나 (사용 중단)현재까지 총 24억 6,000만 달러의 대출 발생; 무담보 대출의 채무 불이행 후 완전 담보 대출로 전환. Maple의 새로운 국채 풀은 비미국 투자자가 USDC를 통해 국채에서 약 5%의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합니다. 네이티브 토큰 MPL(곧 SYRUP으로 전환)은 프로토콜 수수료를 포착합니다. Maple은 프라이빗 크레딧 RWA TVL에서 2위를 차지하며 유동성 토큰을 가진 몇 안 되는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Goldfinch탈중앙화 프라이빗 크레딧 – 원래 신흥 시장(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의 핀테크 대출 기관에 DeFi 투자자로부터 스테이블코인을 모아 저담보 대출을 제공했습니다. 현재는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프라이빗 크레딧 펀드(Apollo, Ares, Golub 등이 관리)에 대한 온체인 접근을 하나의 다각화된 풀에서 제공하는 Goldfinch Prime을 출시했습니다. 본질적으로 기존의 사모 부채 펀드를 자격을 갖춘 투자자를 위해 온체인으로 가져옵니다.이더리움창립 이래 30개 이상의 차용인에게 약 1억 달러의 대출 자금 지원. Goldfinch Prime(2023년)은 수천 개의 기초 대출을 가진 최고의 프라이빗 크레딧 펀드(Apollo, Blackstone, T. Rowe Price 등)에 대한 노출을 제공합니다. a16z, Coinbase Ventures 등의 지원을 받습니다. DeFi 자본과 검증된 TradFi 신용 전략을 결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수익률은 종종 8-10%입니다. GFI 토큰이 프로토콜을 관리합니다.
Ondo Finance토큰화된 펀드 및 구조화 상품 – DeFi 서비스에서 온체인 투자 펀드에 집중하는 것으로 전환했습니다. OUSG(Ondo 단기 국채 펀드 토큰 – 사실상 미국 국채 펀드의 토큰화된 주식) 및 OSTB/OMMF(머니 마켓 펀드 토큰)와 같은 토큰의 발행사입니다. 또한 USDY(국채 + 은행 예금에서 약 5%의 수익을 내는 토큰화된 예금)를 제공합니다. Ondo는 또한 Flux라는 대출 프로토콜을 구축하여 펀드 토큰을 담보로 차입할 수 있게 했습니다.이더리움 (접근성을 위해 Polygon, Solana 등에도 토큰 배포)토큰화된 펀드 AUM 6억 2,000만 달러 이상 (예: OUSG, USDY 등). OUSG는 약 5억 8,000만 달러 AUM으로 약 4.4%의 APY를 제공하는 최대 온체인 국채 상품 중 하나입니다. Ondo의 펀드는 브로커-딜러를 통해 SEC Reg D/S 면제 하에 제공되어 규정 준수를 보장합니다. Ondo의 규제된 SPV 사용 및 BlackRock의 BUIDL 펀드와의 파트너십 접근 방식은 미국에서 토큰화된 증권의 모델을 설정했습니다. ONDO 토큰(거버넌스)은 약 28억 달러의 FDV를 가지며 15%가 유통 중입니다(높은 투자자 기대를 나타냄).
MakerDAO (RWA 프로그램)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사(DAI)로, 담보를 점점 더 RWA 투자에 할당하고 있습니다. Maker의 RWA 노력은 실물 담보(예: Huntingdon Valley Bank를 통한 대출, 또는 CFG(Centrifuge) 풀, DROP 토큰과 같은 토큰, 그리고 BlockTower 및 Monetalis와 같은 파트너와의 오프체인 구조를 통한 단기 채권 투자)를 받는 금고를 포함합니다. Maker는 본질적으로 DAI를 RWA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고, 이는 DAI의 안정성을 강화합니다.이더리움2023년 말 기준으로 Maker는 16억 달러 이상의 RWA 노출을 가졌으며, 여기에는 10억 달러 이상의 미국 국채 및 회사채와 부동산 및 은행에 대한 수억 달러의 대출이 포함됩니다(Maker의 Centrifuge 금고, 은행 대출, Société Générale 채권 금고). 이는 현재 DAI 담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Maker에 실질 수익(해당 자산에 대해 약 4-5%)을 기여합니다. Maker의 RWA로의 전환("Endgame" 계획의 일부)은 DeFi에서 RWA에 대한 주요한 검증이었습니다. 그러나 Maker는 이러한 자산을 광범위한 사용을 위해 토큰화하지 않고, DAI를 뒷받침하기 위해 법적 실체를 통해 신탁에 보관합니다.
TruFi & Credix(두 개의 유사한 신용 프로토콜을 그룹화) TruFi – 암호화폐 및 TradFi 차용인에게 무담보 대출을 위한 프로토콜로, 장부의 일부는 실물 대출(예: 핀테크에 대한 대출)입니다. Credix – USDC 대출 기관을 라틴 아메리카 신용 거래(종종 채권으로 토큰화된 매출 채권 및 중소기업 대출)와 연결하는 솔라나 기반 프라이빗 크레딧 마켓플레이스입니다. 둘 다 언더라이터가 대출 풀을 생성하여 DeFi 사용자가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제 경제 대출과 연결합니다.이더리움 (TruFi), 솔라나 (Credix)TruFi는 출시 이후 약 5억 달러의 대출(암호화폐 + 일부 RWA)을 촉진했지만 채무 불이행에 직면했습니다. 초점은 신용 펀드 토큰화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Credix는 브라질/콜롬비아에서 수천만 달러의 매출 채권에 자금을 지원했으며, 2023년에는 CircleVISA와 파트너십을 맺고 더 빠른 자금 조달을 위해 매출 채권을 USDC로 전환하는 파일럿을 진행했습니다. 이들은 Maple/Goldfinch에 비해 작지만 주목할 만한 플레이어입니다. Credix의 모델은 Goldfinch의 설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Securitize & Provenance (Figure)이들은 더 CeFi 지향적인 RWA 플랫폼입니다. _Securitize_는 기업을 위한 토큰화 기술을 제공합니다(사모 펀드, 주식, 채권을 고객을 위해 토큰화했으며, 완전한 규정 준수 하에 운영됩니다. 최근 Hamilton Lane과 파트너십을 맺고 8억 달러 펀드의 일부를 토큰화했습니다). _Provenance Blockchain (Figure)_은 Figure Technologies가 구축한 핀테크 플랫폼으로, 주로 대출 증권화 및 거래를 위한 것입니다(그들은 사설 체인에서 HELOC 대출, 주택 저당 증권 등을 처리했습니다).사설 또는 허가형 체인 (Provenance는 Cosmos 기반 체인; Securitize는 이더리움, Polygon 등에서 토큰 발행)Figure의 Provenance는 온체인에서 120억 달러 이상의 대출 발생을 촉진했으며(주로 기관 간), 거래량 기준으로 가장 큰 곳 중 하나입니다(프라이빗 크레딧 부문에서 최고로 언급된 "Figure"입니다). Securitize는 여러 펀드를 토큰화했으며, 심지어 개인 투자자가 Coinbase와 같은 회사의 토큰화된 주식을 IPO 전에 구매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들은 "DeFi" 플랫폼은 아니지만 RWA의 핵심 다리 역할을 합니다. 종종 규제 기관과 협력하고 규정 준수에 중점을 둡니다(Securitize는 등록된 브로커-딜러/명의개서 대리인입니다). 그들의 존재는 RWA 토큰화가 탈중앙화 및 기업 영역 모두에 걸쳐 있음을 강조합니다.

(표 출처: Centrifuge TVL, Maple 전환 및 대출량, Goldfinch Prime 설명, Ondo 통계, Ondo–BlackRock 파트너십, Maker 및 시장 예측, Maple 순위.)

Centrifuge: 종종 최초의 RWA DeFi 프로토콜(2019년 출시)로 언급되는 Centrifuge는 자산 발행자(금융 회사 등)가 실물 자산을 풀링하고 자산 풀에 대한 청구권을 나타내는 DROP(선순위 트랜치) 및 TIN(후순위 트랜치)이라는 ERC-20 토큰을 발행할 수 있게 합니다. 이 토큰들은 MakerDAO에서 담보로 사용되거나 수익을 위해 보유될 수 있습니다. Centrifuge는 효율성을 위해 자체 체인을 운영하지만 유동성을 위해 이더리움에 연결됩니다. 현재 **온체인 프라이빗 크레딧 TVL(약 4억 900만 달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송장 금융과 같은 분야에서 제품-시장 적합성을 입증했습니다. 최근 개발로는 Centrifuge가 **Clearpool의 곧 출시될 RWA 체인(Ozea)**과 파트너십을 맺어 범위를 확장하고, 모든 EVM 체인에서 자산을 구성 가능하게 할 Centrifuge V3를 개발 중입니다(따라서 Centrifuge 풀은 이더리움, Avalanche 또는 Plume과 같은 체인의 프로토콜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Maple Finance: Maple은 저담보 DeFi 대출의 가능성과 위험을 보여주었습니다. 위임된 관리자가 시장 조성자 및 암호화폐 회사에 무담보로 대출하는 신용 풀을 운영하는 플랫폼을 제공했습니다. 2022년의 유명한 채무 불이행(예: FTX와 관련된 Orthogonal Trading의 붕괴)이 Maple의 유동성에 타격을 준 후, Maple은 더 안전한 모델로 자신을 재창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제 Maple의 초점은 두 가지입니다. (1) RWA "현금 관리" – 스테이블코인 대출자에게 국채 수익률에 대한 접근 제공, 그리고 (2) 과담보 암호화폐 대출 – 차용인이 유동성 담보(BTC/ETH)를 제공하도록 요구. 국채 풀(Icebreaker Finance와 파트너십)은 2023년 솔라나에서 출시된 후 이더리움에서도 출시되어, 공인된 대출자가 단기 미국 국채를 구매하여 USDC로 약 5%의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했습니다. Maple은 또한 암호화폐 담보에 대해 기관에 대출하는 Maple Direct 풀을 도입하여, 사실상 더 전통적인 담보 대출의 촉진자가 되었습니다. Maple 2.0 아키텍처(2023년 1분기 출시)는 대출자를 위한 투명성과 통제력을 향상시켰습니다. 좌절에도 불구하고, Maple은 누적적으로 거의 25억 달러의 대출을 촉진했으며, 현재 암호화폐 및 RWA 대출 모두에 걸쳐 있는 핵심 플레이어로 남아 있습니다. 그 여정은 적절한 위험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안정성을 위해 실물 담보로의 전환을 검증했습니다.

Goldfinch: Goldfinch의 혁신은 실물 대출 사업체(소액 금융 기관이나 핀테크 대출 기관 등)가 담보를 제공하지 않고 DeFi에서 스테이블코인 유동성을 끌어올 수 있도록 하는 **"차용인 풀"**을 허용한 것이었습니다. 대신 "합의를 통한 신뢰" 모델에 의존했습니다(후원자가 차용인을 보증하기 위해 후순위 자본을 스테이킹). 이를 통해 케냐, 나이지리아, 멕시코 등지에서 대출이 가능해졌으며, 종종 10% 이상의 수익률을 제공했습니다. 그러나 규정을 준수하고 더 큰 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Goldfinch는 KYC 게이팅과 Prime을 도입했습니다. 이제 Goldfinch Prime을 통해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잘 알려진 프라이빗 크레딧 펀드 매니저를 온보딩하고 비미국 공인 사용자가 온체인에서 그들에게 자본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단일 핀테크 대출 기관에 대출하는 대신, Goldfinch Prime 사용자는 Ares나 Apollo가 관리하는 많은 선순위 담보 대출을 집계하는 풀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본질적으로 해당 펀드의 일부에 투자하는 것입니다(오프체인에서는 Blackstone의 프라이빗 크레딧 펀드가 500억 달러 이상으로 거대함). 이는 Goldfinch를 상위 시장으로 이동시킵니다. 프론티어 시장 핀테크 대출보다는 암호화폐 투자자에게 기관 등급의 수익률(낮은 위험으로)에 대한 진입점을 제공하는 것에 더 가깝습니다. Goldfinch의 GFI 토큰과 거버넌스는 그대로 유지되지만, 사용자 기반과 풀 구조는 더 규제된 입장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이는 더 넓은 추세를 반영합니다. RWA 프로토콜은 확장을 위해 점점 더 대규모 TradFi 자산 운용사와 직접 협력하고 있습니다.

Ondo Finance: Ondo의 변화는 수요에 적응하는 사례 연구입니다. 약세장에서 DeFi 디젠 수익률이 고갈되었을 때, 안전한 수익률에 대한 갈증은 Ondo가 국채와 머니 마켓 펀드를 토큰화하도록 이끌었습니다. Ondo는 자회사(Ondo Investments)를 설립하고 공모를 등록하여 공인 투자자, 심지어 일부 지역에서는 개인 투자자도 규제된 펀드 토큰을 구매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Ondo의 주력 OUSG 토큰은 사실상 단기 미국 국채 ETF의 토큰화된 주식입니다. 이는 빠르게 5억 달러 이상의 유통량으로 성장하여 온체인 국채에 대한 엄청난 수요를 확인했습니다. Ondo는 또한 국채와 은행 예금을 혼합하여 온체인에서 고수익 저축 계좌를 근사화하는 USDY를 만들었습니다. 약 4.6%의 APY와 500달러의 낮은 진입 장벽으로, USDY는 암호화폐 내 대중 시장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Ondo의 Flux 프로토콜은 OUSG 또는 USDY 보유자가 이를 담보로 스테이블코인을 빌릴 수 있게 합니다(이러한 토큰은 그렇지 않으면 묶일 수 있으므로 유동성을 해결). Ondo의 성공은 TVL 기준으로 상위 3대 RWA 발행사로 만들었습니다. 이는 전통 증권을 온체인으로 가져오기 위해 규제 프레임워크(SPV, 브로커-딜러) 내에서 작업하는 대표적인 예입니다. 또한 기존 업체와 경쟁하기보다는 협력합니다(예: BlackRock의 펀드 사용). 이는 RWA의 주제입니다. 혁신보다는 파트너십.

MakerDAO: 독립적인 RWA 플랫폼은 아니지만, Maker는 사실상 암호화폐에서 가장 큰 RWA 투자자 중 하나가 되었기 때문에 언급할 가치가 있습니다. Maker는 DAI의 담보를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를 넘어 다각화하는 것이 DAI를 안정시키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실물 수익률을 통해). 작은 실험(미국 은행에 대한 대출, Centrifuge 풀 토큰을 위한 금고 등)으로 시작하여, Maker는 2022-2023년에 수억 달러의 DAI를 단기 채권 구매 및 수탁 계좌를 통한 머니 마켓 펀드 투자에 할당함으로써 규모를 키웠습니다. 2023년 중반까지 Maker는 BlackRock이 관리하는 채권 펀드에 5억 달러, 국채에 투자하기 위해 스타트업(Monetalis)에 비슷한 금액을 할당했습니다. 이는 Ondo의 접근 방식과 유사하지만 Maker 거버넌스 하에서 이루어졌습니다. Maker는 또한 Societe Generale의 3,000만 달러 온체인 채권과 같은 대출과 Harbor Trade의 무역 금융 풀을 위한 금고 등을 온보딩했습니다. 이러한 RWA 투자로 인한 수익은 상당했습니다. 일부 보고서에 따르면, Maker의 RWA 포트폴리오는 연간 수천만 달러의 수수료를 창출했으며, 이는 DAI 시스템의 잉여금을 증가시켰습니다(그리고 MKR 토큰은 그 이익을 사용하여 바이백을 시작했습니다). 이 RWA 전략은 Maker의 "Endgame" 계획의 핵심이며, 결국 Maker는 RWA를 처리하기 위해 전문화된 subDAO를 분리할 수도 있습니다. 요점은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조차도 RWA를 지속 가능성의 핵심으로 보고 있으며, Maker의 규모(DAI 공급량 약 50억 달러)는 유동성을 그곳에 배치함으로써 실물 시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기타: RWA 분야에는 수많은 다른 프로젝트가 있으며, 각각 틈새 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 토큰화된 상품: Paxos Gold(PAXG) 및 Tether Gold(XAUT)와 같은 프로젝트는 금을 온체인에서 거래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총 시가 총액 약 14억 달러). 이 토큰들은 암호화폐의 편리함과 금의 안정성을 제공하며, 금고에 보관된 실제 금으로 완전히 뒷받침됩니다.
  • 토큰화된 주식: Backed Finance 및 **Synthesized(이전 Mirror 등)**와 같은 회사는 Apple(bAAPL)이나 Tesla와 같은 주식을 미러링하는 토큰을 발행했습니다. Backed의 토큰(예: Nvidia용 bNVDA)은 수탁 기관이 보유한 주식으로 100% 담보되며 EU 규제 샌드박스 면제 하에 제공되어 DEX에서 24/7 주식 거래를 가능하게 합니다. 토큰화된 주식의 총액은 아직 작지만(약 4억 6,000만 달러), 24시간 거래 및 소수점 소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성장하고 있습니다.
  • 부동산 플랫폼: Lofty AI(Algorand 기반)는 임대 부동산의 소수점 소유를 허용하며, 토큰은 분할당 50달러부터 시작합니다. RealT(이더리움)는 디트로이트 및 기타 지역의 임대 주택 지분에 대한 토큰을 제공합니다(임대 수입을 USDC 배당금으로 지급). 부동산은 거대한 시장(전 세계적으로 300조 달러 이상)이므로, 일부만 온체인으로 들어와도 다른 카테고리를 압도할 수 있습니다. 2030-2035년까지 토큰화된 부동산이 3조~4조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이 있습니다. 현재 온체인 부동산은 작지만, 파일럿이 진행 중입니다(예: 홍콩 정부는 토큰화된 녹색 채권을 판매했고, 두바이는 토큰화된 부동산 샌드박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기관 펀드: Ondo 외에도 전통적인 자산 운용사들이 자사 펀드의 토큰화된 버전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BlackRock의 BUIDL(1년 만에 1억 달러에서 10억 달러 AUM으로 성장한 토큰화된 머니 마켓 펀드)을 보았습니다. WisdomTree는 2025년까지 13개의 토큰화된 ETF를 발행했습니다. Franklin Templeton의 정부 머니 펀드(Polygon의 BENJI 토큰)는 3억 7,000만 달러 AUM에 근접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대형 자산 운용사들이 토큰화를 새로운 유통 채널로 보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왜 여러 접근 방식이 있는가? RWA 부문은 "실물 자산"이라는 공간이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에 다양한 출연진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자산 유형은 다른 위험, 수익 및 규제 프로필을 가지고 있어 전문화된 플랫폼이 필요합니다.

  • 프라이빗 크레딧(Maple, Goldfinch, Centrifuge)은 대출 및 채무 상품에 중점을 두며 신용 평가 및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 토큰화된 증권/펀드(Ondo, Backed, Franklin)는 전통 증권을 온체인에서 일대일로 나타내기 위해 규제 준수를 다룹니다.
  • 부동산은 재산법, 소유권 및 종종 지역 규제를 포함합니다. 일부 플랫폼은 REIT와 유사한 구조나 부동산을 소유한 LLC의 소유권을 부여하는 NFT에 대해 작업합니다.
  • 금과 같은 상품은 더 간단한 일대일 지원 모델을 가지고 있지만 수탁 및 감사에 대한 신뢰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분열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수렴과 협력의 추세를 봅니다. 예를 들어, Centrifuge는 Clearpool과 파트너십을 맺고, Goldfinch는 Plume(그리고 간접적으로 Apollo)과 파트너십을 맺고, Ondo의 자산은 Maker 등이 사용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리는 상호 운용성 표준을 얻을 수 있습니다(아마도 모든 RWA 토큰에 대한 데이터 애그리게이터를 구축하고 있는 RWA.xyz와 같은 프로젝트를 통해).

토큰화되고 있는 일반적인 자산 유형

이론적으로 소득 흐름이나 시장 가치가 있는 거의 모든 자산은 토큰화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오늘날 우리가 보는 RWA 토큰은 대체로 몇 가지 범주에 속합니다.

  • 정부 부채 (국채 및 채권): 이는 가치 기준으로 온체인 RWA의 가장 큰 범주가 되었습니다. 토큰화된 미국 국채 및 채권은 위험이 낮고 약 4-5%의 수익률을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인기가 있습니다. 이는 낮은 DeFi 수익률 환경에서 암호화폐 보유자에게 매우 매력적입니다. 여러 프로젝트가 이를 제공합니다: Ondo의 OUSG, Matrixdock의 국채 토큰(MTNT), Backed의 TBILL 토큰 등. 2025년 5월 기준으로, 정부 증권은 온체인에서 약 67억 9,000만 달러의 TVL로 토큰화된 자산을 지배하며, RWA 파이의 가장 큰 단일 조각을 차지합니다. 여기에는 미국 국채뿐만 아니라 일부 유럽 정부 채권도 포함됩니다. 매력은 안전한 자산에 대한 글로벌 24/7 접근입니다. 예를 들어, 아시아의 사용자는 오전 3시에 토큰을 구매하여 사실상 미국 국채에 돈을 넣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또한 중앙은행과 공공 기관이 실험하는 것을 봅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 통화청(MAS)은 프로젝트 가디언을 운영하여 토큰화된 채권과 외환을 탐색했고, 홍콩의 HSBC와 CSOP는 토큰화된 머니 마켓 펀드를 출시했습니다. 정부 채권은 현재까지 RWA의 "킬러 앱"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프라이빗 크레딧 및 회사채: 여기에는 기업 대출, 송장, 공급망 금융, 소비자 대출 등과 회사채 및 프라이빗 크레딧 펀드가 포함됩니다. 온체인 프라이빗 크레딧(Centrifuge, Maple, Goldfinch, Credix 등을 통해)은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이며 프로젝트 수 기준으로 RWA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합니다(국채가 크기 때문에 가치 기준으로는 아님). 토큰화된 프라이빗 크레딧은 더 높은 위험과 낮은 유동성 때문에 종종 더 높은 수익률(8-15% APY)을 제공합니다. 예시: 대출 포트폴리오로 뒷받침되는 Centrifuge 토큰(DROP/TIN); Goldfinch의 핀테크 대출 풀; 시장 조성자에 대한 Maple의 풀; JPMorgan의 프라이빗 크레딧 블록체인 파일럿(그들은 온체인에서 일중 레포를 수행했습니다); 그리고 Flowcarbon과 같은 스타트업(탄소 배출권 담보 대출 토큰화). **정부의 무역 채권(Medicaid 청구)**조차도 토큰화되고 있습니다(Plume이 강조했듯이). 또한, 회사채도 토큰화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럽 투자 은행은 이더리움에서 디지털 채권을 발행했고, Siemens와 같은 회사는 6,000만 유로의 온체인 채권을 발행했습니다. 2025년 초 기준으로 온체인에는 약 230억 달러의 토큰화된 "글로벌 채권"이 있으며, 이는 100조 달러 이상의 채권 시장에 비하면 여전히 작은 수치이지만, 궤도는 상승세입니다.

  • 부동산: 토큰화된 부동산은 부채(예: 토큰화된 모기지, 부동산 대출) 또는 지분/소유권(부동산의 소수점 소유)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토큰화된 부채에서 더 많은 활동이 있었습니다(DeFi 대출 모델에 쉽게 맞기 때문). 예를 들어, 부동산 브릿지 론의 일부는 Centrifuge에서 DROP 토큰으로 전환되어 DAI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지분 측면에서는 Lofty와 같은 프로젝트가 주거용 임대 부동산을 토큰화했습니다(임대 수입과 매각 수익의 일부를 받을 자격이 있는 토큰 발행). 우리는 또한 몇 가지 REIT와 유사한 토큰(RealT의 부동산 등)을 보았습니다. 부동산은 전통적으로 매우 비유동적이므로 토큰화의 약속은 거대합니다. Uniswap에서 건물 일부를 거래하거나 부동산 토큰을 대출 담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법적 인프라는 까다롭습니다(종종 각 부동산을 LLC에 넣고 토큰이 LLC 주식을 나타내야 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2030-35년까지 3조~4조 달러의 토큰화된 부동산 예측을 감안할 때, 많은 사람들이 법적 프레임워크가 따라잡으면서 이 부문이 이륙할 것이라고 낙관합니다. 주목할 만한 예: RedSwan은 상업용 부동산(학생 기숙사 단지 등)의 일부를 토큰화하고 공인 투자자에게 토큰 판매를 통해 수백만 달러를 모금했습니다.

  • 상품: 금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Paxos Gold(PAXG)**와 **Tether Gold(XAUT)**는 합쳐서 14억 달러 이상의 시가 총액을 가지고 있으며, 투자자에게 실제 금에 대한 온체인 노출을 제공합니다(각 토큰 = 금고에 보관된 1 파인 트로이 온스). 이들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헤지하는 방법으로 인기를 얻었습니다. 토큰화된 다른 상품으로는 은, 백금(예: Tether는 XAGT, XAUT 등을 가지고 있음)이 있으며, 어느 정도 석유도 있습니다(석유 배럴이나 해시레이트 선물을 위한 토큰 실험이 있었습니다). Ditto의 계란이나 콩 토큰과 같은 상품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등장했지만, 안정적인 수요 때문에 금이 여전히 지배적입니다. 우리는 또한 탄소 배출권 및 기타 환경 자산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MCO2(Moss Carbon Credit) 또는 Toucan의 자연 기반 탄소 토큰과 같은 토큰은 2021년에 기업들이 온체인 탄소 상쇄를 고려하면서 관심의 물결을 일으켰습니다. 일반적으로 온체인 상품은 완전히 담보화되어 있어 간단하지만, 수탁 기관 및 감사인에 대한 신뢰가 필요합니다.

  • 주식: 토큰화된 주식은 24/7 거래 및 주식의 소수점 소유를 허용합니다. Backed(스위스 소재) 및 **DX.Exchange / FTX(이전)**와 같은 플랫폼은 인기 있는 주식(Tesla, Apple, Google 등)을 미러링하는 토큰을 발행했습니다. Backed의 토큰은 완전히 담보화되어 있습니다(그들은 수탁 기관을 통해 실제 주식을 보유하고 이를 나타내는 ERC-20 토큰을 발행합니다). 이 토큰들은 DEX에서 거래되거나 DeFi 지갑에 보관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주식 거래가 평일에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새로운 것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약 4억 6,000만 달러의 토큰화된 주식이 유통되고 있으며, 이는 수조 달러 규모의 주식 시장의 아주 작은 부분이지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에 MSCI는 토큰화된 주식을 포함한 토큰화된 자산을 추적하는 지수를 출시하여 주류의 모니터링을 시사했습니다. 또 다른 각도는 합성 주식(Synthetix와 같은 프로젝트가 했던 것처럼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파생 상품을 통해 주가를 미러링)이지만, 규제 반발(스왑으로 간주될 수 있음)로 인해 현재는 완전 담보 접근 방식이 더 선호됩니다.

  • 스테이블코인 (법정화폐 기반): USDC, USDT와 같은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본질적으로 토큰화된 실물 자산이라는 점을 언급할 가치가 있습니다(각 USDC는 은행 계좌나 국채에 있는 1달러로 뒷받침됨). 사실, 스테이블코인은 단연코 가장 큰 RWA입니다. 2,000억 달러 이상의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되었으며(USDT, USDC, BUSD 등), 대부분 현금, 국채 또는 단기 회사채로 뒷받침됩니다. 이는 종종 암호화폐에서 최초의 성공적인 RWA 사용 사례로 인용됩니다. 토큰화된 달러는 암호화폐 거래와 DeFi의 생명선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RWA 맥락에서 스테이블코인은 투자 상품이 아닌 통화 토큰이기 때문에 보통 별도로 간주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테이블코인의 존재는 다른 RWA 토큰의 길을 열었으며(실제로 Maker 및 Ondo와 같은 프로젝트는 스테이블코인 자본을 실제 자산으로 효과적으로 채널링합니다).

  • 기타: 우리는 훨씬 더 이국적인 자산을 보기 시작했습니다.

    • 미술품 및 수집품: Maecenas 및 Masterworks와 같은 플랫폼은 고급 예술 작품을 토큰화하는 것을 탐색했습니다(각 토큰은 그림의 일부를 나타냄). NFT는 디지털 소유권을 증명했으므로, 실제 예술품이나 명품 수집품도 유사하게 분할될 수 있습니다(법적 수탁 및 보험이 고려 사항이지만).
    • 수익 공유 토큰: 예: CityDAO 및 기타 DAO는 수익 흐름에 대한 권리를 부여하는 토큰을 실험했습니다(도시 수익이나 사업 수익의 일부 등). 이들은 증권과 유틸리티 토큰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합니다.
    • 지적 재산 및 로열티: 음악 로열티(팬들이 아티스트의 미래 스트리밍 수입에 투자할 수 있도록)나 특허를 토큰화하려는 노력이 있습니다. Royalty Exchange 등은 이를 검토했으며, 예를 들어 노래가 재생될 때 지급되는 토큰을 허용합니다(스마트 계약을 사용하여 로열티 분배).
    • 인프라 및 물리적 자산: 기업들은 데이터 센터 용량, 채굴 해시파워, 해운 화물 공간 또는 인프라 프로젝트와 같은 것을 토큰화하는 것을 고려했습니다(일부 에너지 회사는 태양광 발전소나 유정의 소유권을 토큰화하는 것을 검토했습니다. Plume 자체는 _"우라늄, GPU, 두리안 농장"_을 가능성으로 언급했습니다). 이들은 실험적으로 남아 있지만, 온체인으로 가져올 수 있는 것의 광범위한 범위를 보여줍니다.

요약하자면, 법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거의 모든 자산은 토큰화될 수 있습니다. 현재의 초점은 투자자 수요 및 기존 법률과 잘 맞기 때문에 **명확한 현금 흐름이나 가치 저장 속성을 가진 금융 자산(부채, 상품, 펀드)**에 맞춰져 있습니다(예: SPV는 채권을 보유하고 토큰을 비교적 간단하게 발행할 수 있습니다). 더 복잡한 자산(직접적인 재산 소유권이나 IP 권리 등)은 법적 복잡성 때문에 더 오래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기술이 더 간단한 자산으로 스스로를 증명하고 나서 확장됨에 따라 조류는 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또한 각 자산 유형의 토큰화는 오프체인에서 권리를 어떻게 집행할 것인지와 씨름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에 대한 토큰을 보유하고 있다면, 해당 부동산에 대한 법적 청구를 어떻게 보장할 수 있을까요? 해결책에는 토큰 보유자를 수혜자로 인정하는 법적 래퍼(LLC, 신탁 계약)가 포함됩니다. 표준화 노력(보안 토큰을 위한 ERC-1400 표준이나 토큰화된 자산을 위한 Interwork Alliance의 이니셔티브 등)이 진행 중이며, 이는 다른 RWA 토큰을 더 상호 운용 가능하고 법적으로 건전하게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RWA의 최근 동향, 혁신 및 과제

동향 및 혁신:

  • 기관의 유입: 아마도 가장 큰 추세는 주요 금융 기관 및 자산 운용사들이 RWA 블록체인 분야에 진출하는 것입니다. 지난 2년 동안 BlackRock, JPMorgan, Goldman Sachs, Fidelity, Franklin Templeton, WisdomTree, Apollo와 같은 거대 기업들은 RWA 프로젝트에 투자하거나 토큰화 이니셔셔티브를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BlackRock의 CEO Larry Fink는 공개적으로 "증권의 토큰화"를 다음 진화라고 칭찬했습니다. BlackRock 자체의 토큰화된 머니 마켓 펀드(BUIDL)가 1년 만에 10억 달러 AUM에 도달한 것이 그 증거입니다. WisdomTree가 2025년까지 13개의 토큰화된 인덱스 펀드를 만든 것은 전통적인 ETF가 온체인으로 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Apollo는 Plume에 투자했을 뿐만 아니라 토큰화된 신용에 대해서도 파트너십을 맺었습니다(Apollo와 Hamilton Lane은 Figure의 Provenance와 협력하여 펀드의 일부를 토큰화했습니다). 이러한 기관들의 참여는 플라이휠 효과를 가집니다. 이는 규제 기관과 투자자의 눈에 RWA를 합법화하고 규정을 준수하는 플랫폼의 개발을 가속화합니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기관 투자자의 67%가 2026년까지 포트폴리오의 평균 5.6%를 토큰화된 자산에 할당할 계획이라는 점이 이를 말해줍니다. 고액 자산가들도 마찬가지로 토큰화를 통해 약 80%의 노출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2017-2018년 ICO 시대와는 극적인 변화이며, 이제 운동은 순전히 풀뿌리 암호화폐 주도가 아닌 _기관 주도_입니다.

  • 규제된 온체인 펀드: 주목할 만한 혁신은 규제된 투자 펀드를 직접 온체인으로 가져오는 것입니다. 처음부터 새로운 상품을 만드는 대신, 일부 프로젝트는 규제 기관에 전통적인 펀드를 등록한 다음 주식을 나타내는 토큰을 발행합니다. Franklin Templeton의 OnChain U.S. Government Money Fund는 SEC에 등록된 뮤추얼 펀드로, 주식 소유권이 Stellar(현재는 Polygon)에서 추적됩니다. 투자자는 규제된 펀드의 주식인 BENJI 토큰을 구매하며, 이는 모든 일반적인 감독을 받습니다. 마찬가지로, **ARB ETF(유럽)**는 공개 체인에서 완전히 규제된 디지털 채권 펀드를 출시했습니다. 이러한 _토큰화된 규제 펀드_의 추세는 규정 준수와 블록체인의 효율성을 결합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우리가 아는 전통적인 금융 상품(펀드, 채권 등)이 언제든지 거래되고 스마트 계약과 통합되는 토큰으로 존재함으로써 새로운 유틸리티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Grayscale이 $PLUME을 고려하고 다른 자산 운용사들이 암호화폐나 RWA 토큰을 자사 상품에 상장하려는 움직임도 TradFi와 DeFi 상품 메뉴의 수렴을 나타냅니다.

  • 수익 집계 및 구성 가능성: 더 많은 RWA 수익 기회가 나타남에 따라, DeFi 프로토콜은 이를 집계하고 활용하기 위해 혁신하고 있습니다. Plume의 Nest는 여러 수익을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집계하는 한 예입니다. 또 다른 예는 Yearn Finance가 RWA 상품에 금고를 배포하기 시작한 것입니다(Yearn은 Notional이나 Maple과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국채에 투자하는 것을 고려했습니다). Index Coop은 RWA 수익원을 포함하는 수익 인덱스 토큰을 만들었습니다. 우리는 또한 온체인에서 트랜칭과 같은 구조화 상품을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익 흐름의 후순위-선순위 분할을 발행하는 프로토콜(Maple은 더 안전한 슬라이스와 더 위험한 슬라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풀 트랜칭을 탐색했습니다). 구성 가능성은 언젠가 토큰화된 채권을 Aave에서 담보로 사용하여 스테이블코인을 빌린 다음, 그 스테이블코인을 다른 곳에서 파밍하는 것과 같은 일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TradFi 수익과 DeFi 수익을 연결하는 복잡한 전략입니다. 이는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Flux Finance(Ondo 제작)**는 OUSG를 담보로 빌릴 수 있게 하고, 그 다음 그것을 스테이블코인 팜에 배포할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 RWA 수익 농사가 주제가 될 수 있습니다(신중한 위험 관리가 필요하지만).

  • 실시간 투명성 및 분석: 또 다른 혁신은 RWA를 위한 데이터 플랫폼 및 표준의 부상입니다. RWA.xyz와 같은 프로젝트는 온체인 데이터를 집계하여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모든 토큰화된 RWA의 시가 총액, 수익률 및 구성을 추적합니다. 이는 매우 필요한 투명성을 제공합니다. 각 부문이 얼마나 큰지 보고, 성과를 추적하고, 이상 징후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일부 발행사는 실시간 자산 추적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토큰은 TradFi 수탁 기관의 NAV(순자산가치) 데이터로 매일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이는 온체인에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오라클의 사용도 핵심입니다. 예를 들어, Chainlink 오라클은 이자율이나 채무 불이행 이벤트를 보고하여 스마트 계약 기능을 트리거할 수 있습니다(채무자가 채무 불이행 시 보험금 지급 등). 온체인 신용 등급이나 평판으로의 움직임도 시작되고 있습니다. Goldfinch는 차용인을 위한 오프체인 신용 점수를 실험했고, Centrifuge는 풀 위험을 추정하는 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은 온체인 RWA를 오프체인 상대방만큼(또는 그 이상) 투명하게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 CeFi 및 전통 시스템과의 통합: 우리는 RWA에서 CeFi와 DeFi의 혼합을 더 많이 봅니다. 예를 들어, Coinbase는 "기관 DeFi"를 도입하여 고객 자금을 Maple이나 Compound Treasury와 같은 프로토콜로 유입시킵니다. 기관에게는 익숙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만 수익은 DeFi에서 조달됩니다. Bank of America 등은 토큰화된 담보를 서로 거래하기 위해 사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을 논의했습니다(더 빠른 레포 시장 등을 위해). 개인 투자자 측면에서는 핀테크 앱이 내부적으로 토큰화된 자산에서 나오는 수익을 제공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유통의 혁신입니다. 사용자는 블록체인과 상호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를 수 있으며, 단지 더 나은 수익률이나 유동성을 볼 뿐입니다. 이러한 통합은 RWA의 범위를 암호화폐 네이티브를 넘어 확장할 것입니다.

과제:

흥분에도 불구하고, RWA 토큰화는 몇 가지 과제와 장애물에 직면해 있습니다.

  • 규제 준수 및 법적 구조: 아마도 가장 큰 과제일 것입니다. 자산을 디지털 토큰으로 전환함으로써, 종종 규제 기관의 눈에 증권으로 변하게 됩니다(이미 그렇지 않았다면). 이는 프로젝트가 증권법, 투자 규정, 자금 송금 규칙 등을 탐색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RWA 토큰(특히 미국에서)은 Reg D(공인 투자자에 대한 사모), Reg S(해외) 면제 하에 제공됩니다. 이는 참여를 제한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 개인 투자자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토큰을 합법적으로 구매할 수 없습니다. 또한, 각 관할권에는 자체 규칙이 있습니다. 스위스에서 허용되는 것(Backed의 주식 토큰 등)이 미국에서는 등록 없이는 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법적 집행 가능성 측면도 있습니다. 토큰은 실제 자산에 대한 청구권입니다. 그 청구권이 법원에서 인정되도록 보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배후에 견고한 법적 구조(LLC, 신탁, SPV)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구조를 설정하는 것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많은 RWA 프로젝트가 법률 회사와 파트너 관계를 맺거나 라이선스를 가진 기존 플레이어에 인수됩니다(예를 들어, Securitize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 많은 힘든 일을 처리합니다). 규정 준수는 또한 KYC/AML을 의미합니다. DeFi의 무허가성과 달리, RWA 플랫폼은 종종 투자자가 KYC 및 공인 확인을 거치도록 요구하며, 이는 토큰 구매 시 또는 화이트리스트를 통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마찰은 일부 DeFi 순수주의자들을 단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플랫폼이 많은 경우 "지갑을 가진 누구나"에게 완전히 개방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 유동성 및 시장 채택: 자산을 토큰화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유동성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RWA 토큰은 현재 낮은 유동성/낮은 거래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토큰화된 대출을 구매하면 판매하고 싶을 때 구매자가 거의 없을 수 있습니다. 시장 조성자들은 특정 자산(스테이블코인이나 Ondo의 펀드 토큰 등)에 대해 유동성을 제공하기 시작했지만, 오더북 깊이는 아직 진행 중입니다. 시장 스트레스 시기에는 RWA 토큰이 상환하거나 거래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며, 특히 기초 자산 자체가 유동적이지 않은 경우(예: 부동산 토큰은 사실상 부동산이 판매될 때만 상환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몇 달/몇 년이 걸릴 수 있음) 더욱 그렇습니다. 해결책에는 상환 메커니즘을 만드는 것(Ondo의 펀드가 Flux 프로토콜을 통해 또는 발행사와 직접 주기적인 상환을 허용하는 것처럼)과 이러한 토큰을 거래할 다양한 투자자 기반을 유치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자산을 보유하는 데 익숙한 더 많은 전통적인 투자자들이 온체인으로 들어오면 유동성이 개선될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다른 체인과 플랫폼에 걸친 분열도 유동성을 방해합니다. RWA 토큰을 위한 표준화 및 아마도 거래소 집계 노력(아마도 전문 RWA 거래소나 주요 CEX에 더 많은 교차 상장)이 필요합니다.

  • 신뢰 및 투명성: 아이러니하게도 블록체인 기반 자산의 경우, RWA는 종종 많은 오프체인 신뢰를 필요로 합니다. 토큰 보유자는 발행사가 실제로 실제 자산을 보유하고 자금을 오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신뢰해야 합니다. 그들은 담보를 보유한 수탁 기관을 신뢰해야 합니다(스테이블코인이나 금의 경우). 또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법적 구제 수단이 있다고 신뢰해야 합니다. 과거에 실패 사례가 있었습니다(예: 일부 초기 "토큰화된 부동산" 프로젝트가 흐지부지되어 토큰 보유자를 곤경에 빠뜨렸습니다). 따라서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는 감사, 온체인 준비금 증명, 평판 좋은 수탁 기관(예: Coinbase Custody 등), 보험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Paxos는 PAXG 준비금에 대한 월간 감사 보고서를 발표하고, USDC는 준비금에 대한 증명서를 발표합니다. MakerDAO는 채무 불이행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RWA 대출에 참여할 때 과담보 및 법적 약정을 요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RWA 프로젝트에서 중대한 채무 불이행이나 사기가 발생하면 해당 부문을 크게 후퇴시킬 수 있습니다. 이것이 현재 많은 RWA 프로토콜이 위험한 영역으로 모험하기 전에 실적을 쌓기 위해 **신용도가 높은 자산(정부 채권, 선순위 담보 대출)**에 집중하는 이유입니다.

  • 기술적 통합: 일부 과제는 기술적입니다. 실물 데이터를 온체인에 통합하려면 강력한 오라클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대출 포트폴리오의 가격을 책정하거나 펀드의 NAV를 업데이트하려면 전통적인 시스템의 데이터 피드가 필요합니다. 오라클의 지연이나 조작은 온체인에서 부정확한 평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이더리움과 같은 메인넷의 확장성 및 거래 비용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잠재적으로 수천 개의 실물 지불(수백 개의 대출 풀, 각각 월별 지불이 있는 것을 생각해보세요)을 온체인으로 이동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거나 느릴 수 있습니다. 이것이 부분적으로 전문화된 체인이나 레이어 2 솔루션(Plume, 일부 프로젝트를 위한 Polygon, 심지어 허가형 체인)이 사용되는 이유입니다. 이러한 거래에 대해 더 많은 통제력과 낮은 비용을 갖기 위해서입니다. 상호 운용성은 또 다른 기술적 장애물입니다. 많은 RWA 활동이 이더리움에 있지만, 일부는 솔라나, 폴리곤, 폴카닷 등에 있습니다. 체인 간에 자산을 안전하게 브리징하는 것은 여전히 사소하지 않습니다(Plume이 사용하는 LayerZero와 같은 프로젝트가 진전을 보이고 있지만). 이상적으로는 투자자가 RWA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기 위해 다섯 개의 다른 체인을 쫓아다닐 필요가 없어야 합니다. 더 원활한 크로스체인 운용성이나 통합 인터페이스가 중요할 것입니다.

  • 시장 교육 및 인식: 많은 암호화폐 네이티브들은 원래 RWA에 회의적이었습니다(DeFi의 순수한 생태계에 "오프체인 위험"을 가져온다고 봄). 한편, 많은 TradFi 사람들은 암호화폐에 회의적입니다. 양측을 교육하여 이점과 위험에 대해 알릴 필요가 있습니다. 암호화폐 사용자의 경우, 토큰이 단지 또 다른 밈 코인이 아니라 잠금 기간 등이 있는 법적 자산에 대한 청구권이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DeFi 사용자들이 오프체인 대출 결제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RWA 풀에서 즉시 인출할 수 없다는 것에 좌절하는 경우를 보았습니다. 기대치를 관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마찬가지로, 기관 플레이어들은 종종 토큰 보관(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 규정 준수(제재된 주소와 상호 작용하는 지갑 피하기 등), 변동성(토큰 기술이 안정적인지 확인)과 같은 문제에 대해 걱정합니다. Binance Research가 RWA 토큰이 변동성이 낮고 특정 거시 경제 이벤트 동안 "비트코인보다 안전하다"고 간주했다는 최근의 긍정적인 발전은 인식을 바꾸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광범위한 수용에는 시간, 성공 사례, 그리고 RWA 토큰을 보유하거나 발행하는 것이 법적으로 안전하다는 규제 명확성이 필요할 것입니다.

  • 규제 불확실성: 규정 준수를 다루었지만, 더 넓은 불확실성은 규제 체제가 진화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 SEC는 기존 법률을 집행하는 것 외에 많은 토큰화된 증권에 대한 명시적인 지침을 아직 제공하지 않았습니다(이것이 대부분의 발행사가 면제를 사용하거나 미국 개인 투자자를 피하는 이유입니다). 유럽은 MiCA(암호화 자산 시장) 규제를 도입하여 암호화폐(자산 참조 토큰 포함)를 처리하는 방법을 대부분 규정하고, 기관이 일부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블록체인에서 증권을 거래할 수 있도록 DLT 파일럿 제도를 시작했습니다. 이는 유망하지만 아직 영구적인 법은 아닙니다. 싱가포르, UAE(아부다비, 두바이), 스위스와 같은 국가들은 토큰화 사업을 유치하기 위해 샌드박스와 디지털 자산 규제로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규제가 너무 번거롭거나 분열되면 문제가 됩니다. 예를 들어, 모든 관할권이 약간 다른 규정 준수 접근 방식을 요구하면 비용과 복잡성이 추가됩니다. 반면에, 홍콩의 최근 토큰화 장려일본의 온체인 증권 탐색과 같은 규제 수용은 호재가 될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특정 토큰화된 펀드(Franklin의 펀드 등)가 SEC 승인을 받은 긍정적인 발전이 있었으며, 이는 기존 프레임워크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다가오는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규제 기관이 결국 RWA 토큰에 대한 _더 넓은 개인 투자자 접근_을 허용할 것인가(아마도 자격을 갖춘 플랫폼을 통하거나 크라우드펀딩 면제 한도를 높임으로써)? 그렇지 않다면, RWAfi는 주로 벽으로 둘러싸인 정원 뒤의 기관 플레이로 남을 수 있으며, 이는 "개방형 금융"의 꿈을 제한합니다.

  • 신뢰 없이 확장하기: 또 다른 과제는 중앙 실패 지점을 도입하지 않고 RWA 플랫폼을 확장하는 방법입니다. 많은 현재 구현은 어느 정도의 중앙 집중화에 의존합니다(KYC를 시행하기 위해 토큰 전송을 일시 중지할 수 있는 발행사, 자산 보관을 처리하는 중앙 당사자 등). 이는 기관에게는 수용 가능하지만, 철학적으로 DeFi의 탈중앙화와는 상충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로젝트는 올바른 균형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KYC를 위해 탈중앙화 신원 솔루션을 사용하여(한 당사자가 화이트리스트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검증자 네트워크가 제어하도록), 또는 발행 및 보관 작업을 제어하기 위해 다중 서명/커뮤니티 거버넌스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Maker의 Centrifuge 금고에서 MakerDAO 거버넌스가 RWA 금고를 승인하고 감독하거나, Maple이 풀 위임 역할을 탈중앙화하는 것과 같은 초기 움직임을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완전한 "DeFi" RWA(법적 집행조차 신뢰가 없는)는 어려운 문제입니다. 결국, 스마트 계약과 실물 법률 시스템이 직접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습니다(예를 들어, 채무 불이행 시 연결된 법률 API를 통해 자동으로 법적 조치를 트리거할 수 있는 대출 토큰 스마트 계약 – 이는 미래 지향적이지만 상상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RWA 분야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빠르게 혁신하고 있습니다. 이는 법률, 금융,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정통한 지식이 필요한 다학제적 노력입니다. 각 성공(완전히 상환된 토큰화된 대출 풀이나 원활하게 상환된 토큰화된 채권 등)은 신뢰를 구축합니다. 각 과제(규제 조치나 자산 채무 불이행 등)는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궤적은 이러한 장애물 중 많은 부분이 극복될 것임을 시사합니다. 기관 참여의 모멘텀과 명확한 이점(효율성, 유동성)은 토큰화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 RWA 중심 뉴스레터가 언급했듯이, "토큰화된 실물 자산은 새로운 기관 표준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인프라가 마침내 온체인 자본 시장의 비전을 따라잡고 있습니다."

규제 환경 및 규정 준수 고려 사항

암호화폐에서 RWA에 대한 규제 환경은 복잡하고 여전히 진화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증권/상품법과 새로운 블록체인 기술의 교차점을 포함합니다. 주요 사항 및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증권법: 대부분의 관할권에서 RWA 토큰이 이익을 기대하는 자산에 대한 투자를 나타내는 경우(종종 그렇듯이), 이는 증권으로 간주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소득 창출 부동산이나 대출 포트폴리오의 일부를 나타내는 토큰이 투자 계약(Howey Test) 또는 어음의 정의에 명확하게 해당하므로, 등록되거나 면제 하에 제공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미국에서 현재까지 거의 모든 RWA 공모가 사모 면제(공인 투자자를 위한 Reg D 506(c), 해외를 위한 Reg S, 제한된 공모를 위한 Reg A+ 등)를 사용하는 이유입니다. 이를 준수한다는 것은 검증된 투자자에게 토큰 판매를 제한하고, 이전 제한을 구현하며(토큰은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주소 간에만 이동 가능), 필요한 공시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Ondo의 OUSG와 Maple의 국채 풀은 투자자가 KYC/AML 및 공인 확인을 통과하도록 요구했으며, 토큰은 승인되지 않은 지갑으로 자유롭게 이전할 수 없습니다. 이는 개방형 DeFi와는 상당히 다른 반허가형 환경을 만듭니다. 유럽은 MiFID II/MiCA 하에서 토큰화된 주식이나 채권을 전통적인 금융 상품의 디지털 표현으로 유사하게 취급하며, 안내서나 DLT 파일럿 제도를 사용하여 거래 장소를 요구합니다. 결론: RWA 프로젝트는 처음부터 법적 준수를 통합해야 합니다. 많은 프로젝트가 사내 변호사를 두거나 Securitize와 같은 법률 기술 회사와 협력합니다. 왜냐하면 어떤 실수(면제 없이 대중에게 증권 토큰을 판매하는 등)라도 집행 조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소비자 보호 및 라이선스: 일부 RWA 플랫폼은 추가 라이선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플랫폼이 고객의 법정화폐를 보유하여 토큰으로 전환하는 경우, 자금 송금 라이선스나 그에 상응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조언이나 중개(차용인과 대출 기관 매칭)를 제공하는 경우, 브로커-딜러 또는 ATS(대체 거래 시스템) 라이선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이것이 일부가 브로커-딜러와 파트너 관계를 맺는 이유입니다. Securitize, INX, Oasis Pro 등은 토큰 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하기 위한 ATS 라이선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산(부동산 증서나 현금 준비금 등)의 보관은 신탁이나 수탁 라이선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Anchorage가 Plume의 파트너라는 점은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Anchorage는 자격을 갖춘 수탁 기관이기 때문입니다. 기관들은 라이선스를 받은 은행이 기초 자산이나 심지어 토큰의 개인 키를 보유하고 있다면 더 안심합니다. 아시아와 중동에서는 규제 기관이 토큰화 플랫폼에 대한 특정 라이선스를 부여하고 있습니다(예: 아부다비 글로벌 마켓의 FSRA는 RWA 토큰을 포함한 암호화 자산에 대한 허가를 발급하고, 싱가포르의 MAS는 샌드박스 하에서 프로젝트별 승인을 제공합니다).

  • 규제 샌드박스 및 정부 이니셔티브: 긍정적인 추세는 규제 기관이 토큰화를 위한 샌드박스나 파일럿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EU의 DLT 파일럿 제도(2023년)**는 승인된 시장 인프라가 모든 규칙을 완전히 준수하지 않고도 특정 규모까지 토큰화된 증권을 거래하는 것을 테스트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여러 유럽 거래소가 블록체인 채권 거래를 시범 운영하게 했습니다. 두바이는 디지털 금융 허브를 강화하기 위해 토큰화 샌드박스를 발표했습니다. 홍콩은 2023-24년에 토큰화를 Web3 전략의 기둥으로 삼았으며, 홍콩 SFC는 토큰화된 녹색 채권과 예술품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영국은 2024년에 영국법 하에서 디지털 증권을 인정하는 것에 대해 협의했습니다(그들은 이미 암호화폐를 재산으로 인정합니다). 일본은 증권 토큰("전자적으로 기록된 양도 가능 권리"라고 부름)을 허용하도록 법률을 업데이트했으며, 그 프레임워크 하에서 여러 토큰화된 증권이 발행되었습니다. 이러한 공식 프로그램은 규제 기관이 토큰화를 수용하기 위해 법률을 현대화하려는 의지를 나타내며, 이는 결국 규정 준수를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예: 승인을 간소화하는 토큰화된 채권에 대한 특별 범주 생성).

  • 여행 규칙 / AML: 암호화폐의 글로벌 특성은 AML 법을 촉발합니다. FATF의 "여행 규칙"은 특정 임계값 이상의 암호화폐(토큰 포함)가 VASP(거래소, 수탁 기관) 간에 전송될 때 식별 정보가 함께 이동해야 한다고 요구합니다. RWA 토큰이 주로 KYC를 거친 플랫폼에서 거래된다면 이는 관리 가능하지만, 더 넓은 암호화폐 생태계에 진입하면 규정 준수가 까다로워집니다. 대부분의 RWA 플랫폼은 현재 엄격한 통제를 유지합니다. 전송은 종종 KYC를 완료한 소유자의 화이트리스트 주소로 제한됩니다. 이는 AML 우려를 완화합니다(모든 보유자가 알려져 있으므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규제 기관은 강력한 AML 프로그램을 기대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제재(OFAC 목록 등)에 대해 지갑 주소를 스크리닝하는 것입니다. 영국의 한 토큰화된 채권 플랫폼에서 토큰 보유자가 제재 대상이 되어 일부 거래를 취소해야 했던 사례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프로토콜의 준수 능력을 시험할 것입니다. 많은 플랫폼은 법 집행 기관의 요청에 응하기 위해 일시 중지 또는 동결 기능을 내장합니다(이는 DeFi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RWA의 경우 불법 행위와 관련된 토큰을 잠글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이 종종 협상 불가능합니다).

  • 과세 및 보고: 또 다른 규정 준수 고려 사항은 이러한 토큰이 어떻게 과세되는가입니다. 토큰화된 대출에서 수익을 얻으면 이자 소득인가? 토큰화된 주식을 거래하면 워시 세일 규칙이 적용되는가? 세무 당국은 아직 포괄적인 지침을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그 동안 플랫폼은 종종 투자자에게 세금 보고서를 제공합니다(예: 미국에서는 토큰을 통해 얻은 이자나 배당금에 대한 Form 1099). 블록체인의 투명성은 모든 지불이 기록되고 분류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국경 간 과세(유럽의 누군가가 미국 원천 이자를 지급하는 토큰을 보유하는 경우)는 복잡할 수 있으며, 디지털 W-8BEN 양식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애물이라기보다는 운영상의 과제이지만, 자동화된 규정 준수 기술이 해결해야 할 마찰을 추가합니다.

  • 집행 및 선례: 우리는 아직 RWA 토큰에 대한 유명한 집행 조치를 많이 보지 못했습니다. 아마도 대부분이 준수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인접 분야에서 집행을 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SEC의 암호화폐 대출 상품(BlockFi 등)에 대한 조치는 등록 없이 수익을 제공하는 것이 위반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RWA 플랫폼이 실수하여, 예를 들어, 개인 투자자가 증권 토큰을 자유롭게 구매하도록 허용했다면, 비슷한 조치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2차 거래 장소에 대한 문제도 있습니다. 탈중앙화 거래소가 비공인 투자자 간의 증권 토큰 거래를 허용한다면, 그것은 불법인가? 미국에서는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것이 많은 RWA 토큰이 Uniswap에 상장되지 않거나 주소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래핑되는 이유입니다. DeFi 유동성과 규정 준수 사이에서 미세한 선을 걷는 것입니다. 많은 이들이 유동성을 줄이더라도 규정 준수 쪽으로 기울고 있습니다.

  • 관할권 및 법률 충돌: RWA는 본질적으로 특정 관할권과 연결됩니다(예: 독일의 토큰화된 부동산은 독일 재산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토큰이 전 세계적으로 거래되면 법률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계약은 어떤 법이 적용되는지를 인코딩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일부 플랫폼은 법인 설립에 유리한 관할권을 선택합니다(예: 케이맨 제도에 발행 법인을 두고 자산은 미국에 두는 등). 복잡하지만 신중한 법적 구조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투자자 보호 및 보험: 규제 기관은 또한 투자자 보호에 관심을 가질 것입니다. 토큰 보유자가 명확한 권리를 갖도록 보장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토큰이 자산 수익의 일부로 상환될 수 있어야 한다면, 그 메커니즘은 법적으로 집행 가능해야 합니다. 일부 토큰은 채무 불이행이 가능한 채무 증권을 나타냅니다. 그 위험에 대해 어떤 공시가 제공되었는가? 플랫폼은 종종 공모 설명서나 안내서를 발행합니다(Ondo는 자사 토큰에 대해 그렇게 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규제 기관은 뮤추얼 펀드가 제공하는 것과 같이 RWA 토큰에 대한 표준화된 위험 공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험이 의무화되거나 최소한 기대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토큰의 건물을 보험에 들거나, 담보를 보유한 수탁 기관에 대한 범죄 보험을 드는 것입니다.

  • 탈중앙화 대 규제: 본질적인 긴장이 있습니다. RWA 플랫폼을 더 탈중앙화하고 무허가성으로 만들수록, 식별 가능한 중개인을 가정하는 현재 규제와 더 많이 충돌합니다. 진화하는 전략 중 하나는 이 원을 네모로 만들기 위해 탈중앙화 신원(DID) 및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갑은 소유자가 온체인에서 신원을 밝히지 않고도 공인되었음을 증명하는 자격 증명을 보유할 수 있으며, 스마트 계약은 이전을 허용하기 전에 해당 자격 증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규정 준수를 자동화하고 일부 개인 정보를 보존합니다. Xref(XDC 네트워크) 및 Astra Protocol과 같은 프로젝트가 이를 탐색하고 있습니다. 성공한다면, 규제 기관은 이러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수용할 수 있으며, 이는 검증된 참여자 간의 무허가성 거래를 허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

본질적으로, 규제는 RWA 채택의 성패를 좌우하는 요소입니다. 현재 환경은 규제 기관이 관심이 있고 조심스럽게 지지하지만, 또한 경계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번성할 RWA 프로젝트는 규정 준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가능한 한 원활하게 만들기 위해 혁신하는 프로젝트가 될 것입니다. 명확하고 수용적인 규칙을 제공하는 관할권은 이 사업을 더 많이 유치할 것입니다(우리는 스위스, 싱가포르, UAE와 같은 곳에서 명확성 때문에 상당한 토큰화 활동이 집중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한편, 업계는 규제 기관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무역 그룹을 형성하거나 협의에 응답하여 합리적인 정책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가능한 결과는 규제된 DeFi가 하나의 카테고리로 부상할 것이라는 것입니다. Plume 산하의 플랫폼과 같은 플랫폼은 라이선스 하에 운영되지만 블록체인 인프라를 갖춘 토큰화된 자산을 위한 대체 거래 시스템(ATS) 또는 등록된 디지털 자산 증권 거래소가 될 수 있습니다. 이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은 암호화폐 레일의 효율성 이점을 제공하면서 규제 기관의 목표를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투자 및 시장 규모 데이터

토큰화된 실물 자산 시장은 인상적으로 성장했으며, 예측이 맞다면 향후 몇 년 안에 수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기서는 시장 규모, 성장 및 투자 동향에 대한 몇 가지 주요 데이터 포인트를 요약합니다.

  • 현재 온체인 RWA 시장 규모: 2025년 중반 기준으로, **온체인 실물 자산 시장(전통적인 스테이블코인 제외)**의 총 규모는 수백억 달러에 달합니다. 포함 기준에 따라 출처마다 약간 다른 총액을 제시하지만, 2025년 5월 분석에서는 총 예치 자산(TVL)이 224억 5,000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이 수치는 전월 대비 약 9.3% 증가하여 빠른 성장을 보여줍니다. 그 약 220억 달러의 구성(이전에 논의한 바와 같이)에는 약 68억 달러의 정부 채권, 15억 달러의 상품 토큰, 4억 6,000만 달러의 주식, 2억 3,000만 달러의 기타 채권, 그리고 수십억 달러의 프라이빗 크레딧 및 펀드가 포함됩니다. 참고로, 이는 더 넓은 암호화폐 시장(2025년 기준 시가 총액 약 1조 2,000억 달러, 주로 BTC와 ETH에 의해 주도됨)에 비하면 여전히 작지만, 암호화폐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입니다. 또한 스테이블코인(약 2,260억 달러)을 포함하면 이 수치를 압도하겠지만, 보통은 별도로 유지됩니다.

  • 성장 궤적: RWA 시장은 2024년에 32%의 연간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이를 외삽하거나 가속화된 채택을 고려하면, 일부는 2025년 말까지 500억 달러가 타당하다고 추정합니다. 그 이상으로, 업계 예측은 매우 커집니다.

    • BCG 등 (2030년 이상): 자주 인용되는 BCG/Ripple 보고서는 2030년까지 16조 달러(그리고 2033년까지 약 19조 달러)의 토큰화된 자산을 예측했습니다. 이는 금융 시장의 광범위한 토큰화(DeFi 중심 사용뿐만 아니라)를 포함합니다. 이 수치는 모든 자산의 약 10%가 토큰화되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공격적이지만 현금의 토큰화(스테이블코인)가 이미 주류라는 점을 감안할 때 생각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 **Citi GPS 보고서 (2022년)**는 2030년까지 4조~5조 달러가 토큰화될 것을 기본 사례로 이야기했으며, 기관 채택이 더 빠를 경우 더 높은 시나리오를 제시했습니다.
    • 우리가 본 LinkedIn 분석은 2030년까지 1조 3,000억 달러에서 30조 달러에 이르는 예측을 언급했으며, 이는 많은 불확실성을 나타내지만 수조 달러가 테이블 위에 있다는 데에는 의견이 일치함을 보여줍니다.
    • 보수적인 예측(예: 2030년까지 1~2조 달러)조차도 오늘날의 약 200억 달러 수준에서 50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강력한 성장 기대를 보여줍니다.
  • RWA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벤처 캐피털과 투자가 RWA 스타트업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습니다.

    • Plume 자체의 자금 조달(2,000만 달러 시리즈 A 등)은 VC의 확신을 보여주는 한 예입니다.
    • Goldfinch는 약 2,500만 달러를 모금했습니다(2021년 a16z 주도). Centrifuge는 2021년에 약 400만 달러를 모금하고 토큰 판매를 통해 더 많은 자금을 조달했으며, Coinbase 등의 지원도 받습니다.
    • Maple은 2021년에 1,000만 달러 시리즈 A를, 2022년에 추가 자금을 조달했습니다.
    • Ondo는 2022년에 2,000만 달러를 모금했으며(Founders Fund 및 Pantera로부터), 최근에는 토큰 판매를 진행했습니다.
    • 새로운 전용 펀드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a16z의 암호화폐 펀드 등은 RWA에 일부를 할당했습니다. Franklin Templeton은 2022년에 토큰화 플랫폼에 대한 2,000만 달러 라운드에 참여했습니다. Matrixport는 토큰화된 국채를 위한 1억 달러 펀드를 출시했습니다.
    • 전통 금융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Nasdaq Ventures는 토큰화 스타트업(XYO Network)에 투자했으며, London Stock Exchange Group은 TORA(토큰화 기능 포함)를 인수했습니다.
    • 인수 합병도 보입니다. Securitize는 브로커-딜러를 얻기 위해 Distributed Technology Markets를 인수했습니다. INX(토큰 거래소)는 상품 확장을 위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선도적인 RWA 프로토콜에 수천만 달러가 투자되었으며, 더 큰 금융 기관들은 이 분야에서 지분을 인수하거나 합작 투자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Apollo의 Plume에 대한 직접 투자와 Hamilton Lane이 Securitize와 파트너십을 맺어 펀드를 토큰화하는 것(Hamilton Lane의 펀드 자체는 수십억 달러 규모)은 이것이 단지 VC의 베팅이 아니라 실제 자금 참여임을 보여줍니다.

  • 주목할 만한 온체인 자산 및 성과: 특정 토큰에 대한 일부 데이터는 견인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 Ondo의 OUSG: 2023년 초에 출시되어 2025년 초까지 5억 8,000만 달러 이상이 발행되었으며, 약 4-5%의 수익률을 제공합니다. 완전히 담보화되고 상환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이 거의 변동하지 않습니다.
    • Franklin의 BENJI: 2023년 중반까지 2억 7,000만 달러에 도달했고, 2024년까지 약 3억 6,800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이는 주요 미국 뮤추얼 펀드가 온체인에 반영된 최초의 사례 중 하나입니다.
    • MakerDAO의 RWA 수익: Maker는 약 16억 달러의 RWA 투자를 통해 2023년 말까지 연간 8,000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리고 있었습니다(주로 채권에서). 이는 암호화폐 수익률이 고갈된 후 Maker의 재정을 회복시켰습니다.
    • Maple의 국채 풀: 파일럿에서 10명 미만의 참여자(기관)로부터 국채 투자를 위해 약 2,200만 달러를 모금했습니다. 구조 조정 후 Maple의 총 대출은 현재 더 작지만(활성 대출 약 5,000만~1억 달러), 신뢰가 회복되면서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
    • Goldfinch: 약 1억 2,000만 달러의 대출을 자금 조달하고 약 9,000만 달러를 상환했으며, 채무 불이행은 100만 달러 미만이었습니다(케냐의 한 대출 기관에서 주목할 만한 채무 불이행이 있었지만 부분적으로 회수했습니다). GFI 토큰은 2021년 말에 6억 달러 시가 총액으로 정점을 찍었지만, 현재는 훨씬 낮아져(약 5,000만 달러), 시장이 위험을 재평가했지만 여전히 관심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 Centrifuge: 약 15개의 활성 풀. 일부 주요 풀(ConsolFreight의 송장 풀, New Silver의 부동산 재활 대출 풀 등)은 각각 500만~2,000만 달러 범위입니다. Centrifuge의 토큰(CFG)은 2025년에 약 2억 달러의 시가 총액을 가지고 있습니다.
    • 전반적인 RWA 수익률: 많은 RWA 토큰은 4-10% 범위의 수익률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Aave의 스테이블코인 수익률은 약 2%일 수 있지만, USDC를 Goldfinch의 선순위 풀에 넣으면 약 8%의 수익률을 얻습니다. 이 스프레드는 DeFi 자본을 점차 RWA로 끌어들입니다. 암호화폐 시장 침체기 동안 RWA 수익률은 안정적이었기 때문에 특히 매력적으로 보였으며, 분석가들은 RWA를 Web3의 **"안전 자산" 또는 "헤지"**라고 불렀습니다.
  • 지리적/시장 부문: 지역별 분석: 많은 토큰화된 국채는 미국 또는 글로벌 기업(Ondo, Franklin, Backed)이 제공하는 미국 기반 자산입니다. 유럽의 기여는 토큰화된 ETF 및 채권에 있습니다(여러 독일 및 스위스 스타트업, 그리고 Santander 및 SocGen과 같은 대형 은행이 온체인 채권 발행). 아시아: 싱가포르의 Marketnode 플랫폼은 채권을 토큰화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SMBC는 일부 신용 상품을 토큰화했습니다. 중동: 두바이의 DFSA는 토큰화된 펀드를 승인했습니다. 라틴 아메리카: 여러 실험, 예를 들어, 브라질 중앙은행은 은행 예금의 일부를 토큰화하고 있습니다(CBDC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자산 토큰화를 고려). 아프리카: Kotani Pay와 같은 프로젝트는 토큰화된 소액 자산 금융을 검토했습니다. 이는 토큰화가 글로벌 트렌드임을 나타내지만, **미국이 여전히 기초 자산의 가장 큰 원천(국채 및 대규모 신용 펀드 때문)**인 반면, 유럽은 거래에 대한 규제 명확성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 시장 심리: RWA에 대한 서사는 2024-2025년에 매우 긍정적으로 바뀌었습니다. 이전에는 주로 순수 DeFi에 초점을 맞추었던 암호화폐 미디어는 이제 정기적으로 RWA 마일스톤을 보도합니다(예: "RWA 시장, 암호화폐 침체에도 불구하고 200억 달러 돌파"). Moody's와 같은 신용 평가 기관은 온체인 자산을 연구하고 있으며, 주요 컨설팅 회사(BCG, Deloitte)는 토큰화 백서를 발행합니다. 심리는 RWAfi가 수조 달러의 가치를 가져옴으로써 암호화폐의 다음 강세장을 주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Grayscale이 Plume 제품을 고려하는 것조차도 암호화폐 수단에 패키징된 RWA 노출에 대한 투자자 욕구를 시사합니다. 또한 RWA가 암호화폐와 부분적으로 반주기적이라는 인식도 있습니다. 암호화폐 수익률이 낮을 때 사람들은 RWA를 찾고, 암호화폐가 호황일 때 RWA는 안정적인 다각화를 제공합니다. 이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이 RWA 토큰을 암호화폐 변동성을 헤지하는 방법으로 봅니다(예: Binance 연구에 따르면 RWA 토큰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특정 거시 변동성 동안 "비트코인보다 안전하다"고 간주되었습니다).

이 섹션을 구체적인 숫자로 마무리하자면: 현재 온체인 200억220억 달러, 12년 내 500억 달러 이상으로 향하고 있으며, 이 10년 내에 잠재적으로 1조 달러 이상입니다. 투자가 쏟아져 들어오고 있으며, 수십 개의 프로젝트가 총 2억 달러 이상의 벤처 자금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전통 금융은 적극적으로 실험하고 있으며, 대형 기관에 의해 공개 또는 허가형 체인에서 이미 20억~30억 달러 이상의 실물 자산이 발행되었습니다(여러 1억 달러 이상의 채권 발행 포함). 2030년까지 글로벌 채권 시장(약 120조 달러)의 1%와 글로벌 부동산(약 300조 달러)의 1%만 토큰화되더라도, 이는 수조 달러가 될 것이며, 이는 그러한 낙관적인 예측과 일치합니다. 물론 불확실성(규제, 금리 환경 등이 채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있지만, 지금까지의 데이터는 토큰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아이디어를 뒷받침합니다. Plume 팀이 언급했듯이, "RWA 부문은 이제 Web3를 다음 단계로 이끌고 있습니다." – 블록체인이 투기적 자산에서 실제 금융 인프라의 중추로 이동하는 단계입니다. RWA 뒤에 있는 거물들의 깊은 연구와 정렬은 이것이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라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 모두의 구조적 진화임을 강조합니다.


출처:

  • Plume Network Documentation and Blog
  • News and Press: CoinDesk, The Block, Fortune (via LinkedIn)
  • RWA Market Analysis: RWA.xyz, LinkedIn RWA Report
  • Odaily/ChainCatcher Analysis
  • Goldfinch and Prime info, Ondo info, Centrifuge info, Maple info, Apollo quote, Binance research mention,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