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가이드" 태그로 연결된 2개 게시물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모든 태그 보기

Solana에서 PYUSD: 실용적인 통합 가이드 (BlockEden.xyz RPC 포함)

· 약 6분
Dora Noda
Software Engineer

PayPal USD (PYUSD)가 Solana에 상륙하면서 디지털 결제 분야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습니다. 이 가이드는 엔지니어가 Solana의 지갑, dApp 및 상거래 플랫폼에 PYUSD를 통합할 때 직접적이고 생산 환경에 초점을 맞춘 단계별 안내를 제공합니다.

모든 예제는 최신 Token-2022 호환 코드를 사용하며, BlockEden.xyz의 저지연 Solana RPC 엔드포인트와 원활히 동작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TL;DR

  • 무엇인가: PayPal USD (PYUSD)는 이제 Solana의 네이티브 Token-2022 SPL 토큰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스테이블코인에 빠르고 저렴한 결제 정산을 제공합니다.
  • 핵심 파라미터: Mint 2b1kV6DkPAnxd5ixfnxCpjxmKwqjjaYmCZfHsFu24GXo, 소수점 자리수 6, 토큰 프로그램 Token-2022.
  • 기능 세트: Solana Token Extensions (Token-2022)를 활용합니다. Transfer Hook이 초기화되어 있지만 현재는 null 프로그램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기밀 전송 기능 및 기타 확장 기능을 포함합니다.
  • 크로스체인: 공식 LayerZero 통합을 통해 PYUSD가 Ethereum과 Solana 사이를 안전한 burn‑and‑mint 메커니즘으로 이동할 수 있어 기존 브리지의 위험을 회피합니다.
  • 액션: 이 가이드를 템플릿으로 사용해 BlockEden.xyz의 안정적인 Solana RPC와 함께 애플리케이션에 PYUSD 지원을 바로 추가하세요.

왜 Solana에서 PYUSD가 중요한가

PayPal 브랜드와 Solana 성능의 결합은 디지털 달러를 위한 강력한 새로운 레일을 만듭니다.

  1. 소비자 신뢰와 크립토 UX의 결합: PYUSD는 규제된 트러스트 회사 Paxos가 발행하고 PayPal 및 Venmo에 깊게 통합되어 있습니다. 사용자는 익숙한 자산을 보유하게 되며, 하나의 PYUSD 잔액을 가지고 Ethereum 또는 Solana 외부 지갑으로 인출할 수 있어 체인 복잡성을 추상화합니다.
  2. 결제 준비 레일: Solana의 아키텍처는 서브초 거래 최종성을 제공하고 수수료는 센트의 일부에 불과합니다. PYUSD는 이 효율적인 정산 네트워크 위에 안정적이고 인지 가능한 회계 단위를 겹쳐 결제, 상거래 및 송금에 최적화됩니다.
  3. 기관 수준 제어: Token-2022 토큰으로 출시함으로써 PYUSD는 기밀 전송, 풍부 메타데이터, 영구 위임자와 같은 내장 확장을 활용할 수 있어 맞춤형, 감사 어려운 스마트 계약 없이도 고급 컴플라이언스와 기능을 구현합니다.

절대 놓치면 안 되는 핵심 (핵심 파라미터)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아래 파라미터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신뢰할 수 있는 탐색기에서 Mint 주소를 항상 검증하여 사기 토큰과의 상호작용을 방지합니다.

  • Mint (메인넷): 2b1kV6DkPAnxd5ixfnxCpjxmKwqjjaYmCZfHsFu24GXo
  • 소수점 자리수: 6 (즉, 1 PYUSD = 1,000,000 기본 단위)
  • 토큰 프로그램: Token-2022 (Program ID: TokenzQdBNbLqP5VEhdkAS6EPFLC1PHnBqCXEpPxuEb)
  • 사용된 토큰 확장 (Mint 시):
    • 메타데이터 & 메타데이터 포인터
    • 영구 위임자
    • Transfer Hook (null 프로그램으로 초기화)
    • 기밀 전송 구성

위 내용은 Solana Explore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탐색기는 공식 Mint 주소와 활성화된 확장을 명확히 표시합니다.

프로젝트 설정

환경을 준비합니다. 최신 Solana web3 및 SPL 토큰 라이브러리를 설치해 Token-2022 호환성을 확보하세요.

1. 라이브러리

npm에서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npm i @solana/web3.js @solana/spl-token

2. RPC 연결

애플리케이션을 BlockEden.xyz Solana 메인넷 RPC URL에 연결합니다. 프로덕션에서는 환경 변수를 반드시 사용하세요.

// package.json
// npm i @solana/web3.js @solana/spl-token

import { Connection, Keypair, PublicKey } from "@solana/web3.js";
import {
TOKEN_2022_PROGRAM_ID,
getMint,
getOrCreateAssociatedTokenAccount,
getAssociatedTokenAddress,
createTransferCheckedInstruction,
} from "@solana/spl-token";

// 대시보드에서 확인한 BlockEden.xyz Solana RPC URL
const RPC_ENDPOINT =
process.env.SOLANA_RPC_URL ??
"https://your-blockeden-solana-mainnet-endpoint.com";
export const connection = new Connection(RPC_ENDPOINT, "confirmed");

// PYUSD (메인넷)
export const PYUSD_MINT = new PublicKey(
"2b1kV6DkPAnxd5ixfnxCpjxmKwqjjaYmCZfHsFu24GXo",
);

PYUSD Mint 데이터 읽기

먼저 프로그램matically하게 PYUSD Mint의 속성을 확인합니다. 이는 상수값이 정확한지 검증하고 총 공급량 등 세부 정보를 가져오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 Token-2022 API를 통해 PYUSD mint 정보 확인
const mintInfo = await getMint(
connection,
PYUSD_MINT,
"confirmed",
TOKEN_2022_PROGRAM_ID, // 프로그램 ID 명시
);

console.log({
supply: mintInfo.supply.toString(),
decimals: mintInfo.decimals, // 6이어야 함
isInitialized: mintInfo.isInitialized,
});

TOKEN_2022_PROGRAM_ID를 명시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Token Extensions 사용 시 가장 흔한 오류의 원인임을 기억하세요.

연관 토큰 계정(ATA) 생성 또는 조회

Token-2022 토큰의 ATA는 반드시 Token-2022 프로그램 ID를 사용해 파생됩니다. 레거시 TOKEN_PROGRAM_ID를 사용하면 “incorrect program id” 오류가 발생합니다.

// Payer 및 ATA 소유자 (지갑 로직에 맞게 교체)
const owner = Keypair.generate();

// 소유자의 PYUSD ATA 생성 또는 조회 (Token-2022 인식)
const ownerAta = await getOrCreateAssociatedTokenAccount(
connection,
owner, // 생성 비용을 부담하는 Payer
PYUSD_MINT, // Mint
owner.publicKey, // ATA 소유자
false, // allowOwnerOffCurve
"confirmed",
undefined, // 옵션
TOKEN_2022_PROGRAM_ID, // <-- 중요: Token-2022 프로그램 ID 사용
);

console.log("Owner PYUSD ATA:", ownerAta.address.toBase58());

PYUSD 잔액 확인

사용자의 PYUSD 잔액을 확인하려면 ATA를 조회하고 올바른 프로그램 ID를 지정해야 합니다.

@solana/spl-token 사용

import { getAccount } from "@solana/spl-token";

const accountInfo = await getAccount(
connection,
ownerAta.address,
"confirmed",
TOKEN_2022_PROGRAM_ID,
);

const balance = Number(accountInfo.amount) / 10 ** mintInfo.decimals; // decimals = 6
console.log("PYUSD balance:", balance);

직접 JSON‑RPC (curl) 사용

curl -X POST "$SOLANA_RPC_URL"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jsonrpc":"2.0",
"id":1,
"method":"getTokenAccountsByOwner",
"params":[
"<OWNER_PUBLIC_KEY>",
{ "programId":"TokenzQdBNbLqP5VEhdkAS6EPFLC1PHnBqCXEpPxuEb" },
{ "encoding":"jsonParsed" }
]
}'

PYUSD 전송 (사용자 간)

Token-2022 자산을 전송할 때는 createTransferCheckedInstruction을 사용합니다. 이 명령은 토큰의 소수점 자리수를 포함해 소수점 관련 취약성을 방지합니다.

import { Transaction } from '@solana/web3.js';

async function transferPyusd({
fromWallet, // 송신자 Keypair
toPubkey, // 수신자 PublicKey
uiAmount, // PYUSD 단위 UI 금액 (예: 1.25)
}) {
const decimals = 6; // mintInfo.decimals에서 가져올 수 있음
const rawAmount = BigInt(Math.round(uiAmount * (10 ** decimals)));

// 송신자 ATA 주소 조회
const fromAta = await getAssociatedTokenAddress(
PYUSD_MINT,
fromWallet.publicKey,
false,
TOKEN_2022_PROGRAM_ID
);

// 수신자 ATA 생성 (Token-2022)
const toAta = await getOrCreateAssociatedTokenAccount(
connection,
fromWallet, // Payer
PYUSD_MINT,
toPubkey,
false,
'confirmed',
undefined,
TOKEN_2022_PROGRAM_ID
);

const transferInstruction = createTransferCheckedInstruction(
fromAta, // 출발 ATA
PYUSD_MINT, // Mint
toAta.address, // 도착 ATA
fromWallet.publicKey, // 출발 ATA 소유자
rawAmount, // 기본 단위 금액
decimals, // 소수점 자리수
[], // 멀티시그 서명자
TOKEN_2022_PROGRAM_ID // <-- 중요
);

const transaction = new Transaction().add(transferInstruction);

// 최신 블록해시와 수수료 지불자 설정
transaction.recentBlockhash = (await connection.getLatestBlockhash()).blockhash;
transaction.feePayer = fromWallet.publicKey;

const signature = await connection.sendTransaction(transaction, [fromWallet]);
await connection.confirmTransaction(signature, 'confirmed');

console.log('Transaction successful with signature:', signature);
return signature;
}

Transfer Hook에 대한 주의: PYUSD Mint는 Transfer Hook 확장을 초기화했지만 프로그램을 null로 설정했습니다. 따라서 현재는 별도 계정이나 로직 없이 표준 전송이 가능합니다. PayPal/Paxos가 훅을 활성화하면 Mint가 새로운 프로그램을 가리키게 되며, 그때는 해당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추가 계정을 전달해야 합니다.

Solana CLI 빠른 테스트

명령줄에서 빠르게 테스트하려면 올바른 프로그램 ID를 지정한 spl-token을 사용합니다.

# 메인넷을 가리키고 키페어에 SOL이 충분히 있는지 확인
# 1.00 PYUSD를 수신자에게 전송
spl-token --program-id TokenzQdBNbLqP5VEhdkAS6EPFLC1PHnBqCXEpPxuEb \
transfer 2b1kV6DkPAnxd5ixfnxCpjxmKwqjjaYmCZfHsFu24GXo 1.00 <RECIPIENT_PUBKEY> \
--fund-recipient --allow-unfunded-recipient

크로스체인 PYUSD (Ethereum ↔ Solana)

PayPal은 LayerZero를 활용한 공식 크로스체인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기존 서드파티 브리지 대신, 소스 체인(Ethereum)에서 토큰을 burn하고 대상 체인(Solana)에서 동일량을 mint하는 네이티브 프로세스입니다. 이를 통해 브리지 특유의 위험과 슬리피지를 제거합니다.

전체 튜토리얼과 파라미터는 공식 PayPal Developer 문서에서 확인하세요.

준비 완료? 고성능 BlockEden.xyz RPC 엔드포인트를 확보하고 오늘 바로 미래 결제 시스템을 구축해 보세요.

크립토 에어드롭이란? 빌더와 사용자를 위한 간결 가이드 (2025 에디션)

· 약 12분
Dora Noda
Software Engineer

TL;DR

크립토 에어드롭은 특정 지갑 주소에 토큰을 (대부분 무료로) 배포하여 네트워크를 초기화하고, 소유권을 분산시키며, 초기 커뮤니티 구성원에게 보상하는 방식입니다.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과거 행동에 대한 레트로 보상, 포인트‑토큰 전환, NFT·토큰 보유자를 위한 드롭, 인터랙티브 “퀘스트” 캠페인 등이 있습니다. 성공 여부는 스냅샷 규칙, Merkle proof 기반 클레임 메커니즘, 시빌 저항,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법적 준수 등에 달려 있습니다. 사용자는 토큰 이코노미와 안전성에 주목하고, 팀은 일시적인 hype가 아니라 핵심 제품 목표와 연계된 에어드롭을 설계해야 합니다.


에어드롭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핵심적으로, 크립토 에어드롭은 프로젝트가 특정 사용자 그룹의 지갑에 자체 토큰을 보내는 마케팅·배포 전략입니다. 단순한 증정이 아니라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산된 움직임입니다. Coinbase와 Binance Academy 등 교육 자료에 따르면, 새로운 네트워크, DeFi 프로토콜, 혹은 dApp이 빠르게 사용자 기반을 확보하고자 할 때 에어드롭을 활용합니다. 토큰을 제공함으로써 거버넌스 참여, 유동성 제공, 신규 기능 테스트, 혹은 커뮤니티 활성화 등을 유도하고, 네트워크 효과를 촉진합니다.

실제 현장에서 보이는 에어드롭 유형

에어드롭은 전략적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공됩니다. 오늘날 가장 흔히 목격되는 모델을 소개합니다.

레트로액티브 (과거 행동 보상)

클래식 모델로, 토큰이 존재하기 전 프로토콜을 사용한 초기 채택자를 보상합니다. Uniswap 2020 에어드롭이 대표적인 사례로, 프로토콜과 상호작용한 모든 주소에 400UNI400 UNI 토큰을 배포해 사용자를 즉시 소유자로 전환했습니다.

포인트 → 토큰 (인센티브 먼저, 토큰은 나중)

2024·2025년에 두드러진 트렌드로, 포인트 모델은 참여를 게임화합니다. 프로젝트는 브리징, 스와핑, 스테이킹 등 사용자 행동을 추적해 오프체인 “포인트”를 부여하고, 이후 이 포인트를 토큰 할당량으로 전환합니다. 토큰 출시 전 장기간에 걸쳐 원하는 행동을 측정·인센티브할 수 있습니다.

홀더 / NFT 드롭

특정 토큰이나 NFT를 보유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기존 생태계 내 충성도를 보상하거나, 활발한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부트스트랩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ApeCoin으로, 2022년 출시 시 APEAPE 토큰 청구 권한을 Bored Ape와 Mutant Ape Yacht Club NFT 보유자에게 부여했습니다.

생태계·거버넌스 프로그램

일부 프로젝트는 장기적인 탈중앙화와 커뮤니티 성장을 위해 연속적인 에어드롭을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Optimism은 사용자에게 여러 차례 에어드롭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RetroPGF 프로그램을 통해 공공재 펀딩을 위한 토큰을 별도 할당했습니다. 이는 지속 가능하고 가치 정렬된 생태계 구축 의지를 보여줍니다.

에어드롭 작동 원리 (핵심 메커니즘)

성공적인 에어드롭과 혼란스러운 에어드롭의 차이는 기술·전략 실행에 있습니다. 실제로 중요한 메커니즘을 정리합니다.

스냅샷 & 자격 기준

프로젝트는 먼저 스냅샷(특정 블록 높이 또는 날짜)을 정해 그 시점 이후 활동은 제외합니다. 이후 보상하고자 하는 행동(브리징, 스와핑, 유동성 제공, 거버넌스 참여, 코드 기여 등)에 기반해 자격 기준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Arbitrum은 2023년 2월 6일 블록을 기준으로 Nansen과 협업해 정교한 배포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클레임 vs. 직접 전송

직접 토큰을 전송하는 것이 간단해 보이지만, 대부분의 성숙한 프로젝트는 클레임 기반 흐름을 채택합니다. 이는 분실·해킹된 주소로 토큰이 전송되는 위험을 줄이고,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패턴은 Merkle Distributor입니다. 프로젝트는 자격 주소들의 Merkle root을 온체인에 게시하고, 사용자는 자신만의 “proof”를 생성해 토큰을 청구합니다. Uniswap 오픈소스 구현이 대표적이며, 가스 효율과 보안성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시빌 저항

에어드롭은 수백·수천 개의 지갑을 이용해 보상을 극대화하려는 “파머”들의 표적이 됩니다. 팀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대응합니다: 지갑 소유자를 클러스터링하는 분석, 지갑 연령·활동 다양성 등 휴리스틱 적용, 최근에는 LayerZero 2024 캠페인처럼 사용자가 직접 시빌 활동을 보고하고 15 % 할당량을 얻는 모델을 도입했습니다. 보고하지 않고 적발된 경우 배제됩니다.

릴리즈 스케줄 & 거버넌스

에어드롭 토큰이 모두 즉시 유통되는 것은 아닙니다. 팀·투자자·생태계 펀드 등에 할당된 토큰은 베스팅 혹은 점진적 릴리즈 스케줄을 가집니다. 사용자는 이를 파악해 향후 공급 압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TokenUnlocks 같은 플랫폼은 수백 개 자산의 릴리즈 타임라인을 공개 대시보드로 제공합니다.

사례 연구 (핵심 요약)

  • Uniswap (2020): 자격 주소당 400UNI400 UNI 배포, 유동성 제공자에게는 추가 할당. Merkle proof 기반 클레임 모델을 산업 표준으로 정립.
  • Arbitrum (2023): L2 거버넌스 토큰 $ARB를 100 억 공급량으로 출시. 2023‑02‑06 스냅샷 기반 포인트 시스템에 Nansen 분석·시빌 필터 적용.
  • Starknet (2024): “Provisions Program”이라 명명, 2024‑02‑20 청구 시작. 초기 사용자·네트워크 개발자·Ethereum 스테이커 등 폭넓은 기여자를 대상으로 다개월 청구 창 제공.
  • ZKsync (2024): 2024‑06‑11 발표, 전체 토큰 공급량의 17.5 %를 700 k 지갑에 일회성 에어드롭. 프로토콜 초기 커뮤니티에 대한 대규모 보상.

팀이 에어드롭을 하는 이유 (그리고 하지 말아야 할 때)

팀이 에어드롭을 활용하는 전략적 이유:

  • 양면 네트워크 활성화: 유동성 제공자·트레이더·크리에이터·재스테이커 등 필수 참여자를 초기 확보.
  • 거버넌스 탈중앙화: 활발한 사용자에게 토큰을 배포해 신뢰할 수 있는 탈중앙화와 커뮤니티 주도 거버넌스 기반 마련.
  • 초기 기여자 보상: ICO·프리세일이 없었던 프로젝트는 초기 신뢰자를 보상하기 위해 에어드롭을 사용.
  • 가치 신호: 에어드롭 설계 자체가 프로젝트 핵심 원칙을 전달. Optimism의 공공재 펀딩 강조가 좋은 예.

하지만 에어드롭은 만능이 아닙니다. 제품 유지율이 낮거나 커뮤니티가 약하거나 토큰 유틸리티가 불명확한 경우 에어드롭을 진행하면 안 됩니다. 에어드롭은 기존 긍정적 피드백 루프를 확대할 뿐, 부실한 제품을 고칠 수는 없습니다.

사용자를 위한 가이드: 안전하게 평가하고 참여하기

에어드롭은 매력적이지만 위험도 큽니다. 안전하게 접근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드롭을 추구하기 전

  • 정통성 확인: 프로젝트 공식 채널(웹사이트, X, Discord)에서 공지를 반드시 검증. DM, 광고, 검증되지 않은 계정이 보내는 “클레임” 링크는 절대 클릭 금지.
  • 경제성 파악: 토큰 이코노미 이해. 총 공급량, 사용자 할당 비율, 내부자 베스팅 스케줄은? TokenUnlocks 같은 툴로 미래 공급을 추적.
  • 드롭 유형 파악: 레트로 보상형인지, 포인트 프로그램인지 확인. 규칙이 다르고, 포인트 프로그램은 기준이 변동될 수 있음.

지갑 관리

  • 새 지갑 사용: 가능하면 전용 “버너” 지갑을 만들어 에어드롭 청구에만 사용. 메인 자산과 위험을 격리.
  • 서명 전 내용 확인: 무작정 트랜잭션을 승인하지 말 것. 악성 사이트가 자산을 빼갈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음. 트랜잭션 시뮬레이터로 사전 검증하고, Revoke.cash 등으로 오래된 승인 권한을 주기적으로 회수.
  • 오프체인 서명 주의: Permit·Permit2 등 오프체인 서명도 자산 이동에 악용될 수 있음. 온체인 승인만큼 신중히 다룰 것.

일반적 위험

  • 피싱·드레인: 가짜 “클레임” 사이트가 가장 흔한 위험. Scam Sniffer 등 보안 업체 보고서에 따르면 2023‑2025년 사이 대규모 손실이 발생.
  • 지리적 제한·KYC: 일부 에어드롭은 국가별 제한이나 KYC를 요구. 조건을 반드시 확인, 해당 국가 거주자는 제외될 수 있음.
  • 세금 (간단히 안내, 조언 아님): 관할 구역에 따라 과세 방식이 다름. 미국에서는 IRS가 에어드롭 받은 토큰을 획득 시점 시가로 과세 소득으로 간주. 영국에서는 HMRC가 행동을 수행해 받은 경우 소득으로 보고, 이후 매도 시 양도소득세 적용. 전문가와 상담 권장.

팀을 위한 실용적인 에어드롭 설계 체크리스트

에어드롭을 계획 중인가요? 설계 과정을 돕는 체크리스트입니다.

  1. 목표 명확화: 실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 실제 사용 보상, 거버넌스 탈중앙화, 유동성 시드, 빌더 펀딩 등 핵심 목표를 정의하고, 목표 행동을 구체화.
  2. 제품에 맞는 자격 기준: 프로젝트 특성에 맞게 토큰 배포 비율·포인트 기준·레트로 보상 범위를 설정. 내부자 베스팅과 연계해 장기적인 토큰 가치를 보존.
  3. 시빌 저항 설계: 지갑 클러스터링·휴리스틱·사용자 자체 보고 등 다층적인 시빌 방어 메커니즘을 적용.
  4. 클레임 메커니즘: Merkle proof 기반 Merkle Distributor를 활용해 가스 효율적인 클레임 흐름 구현. 필요 시 UI/UX 가이드를 제공해 사용자가 쉽게 청구할 수 있도록.
  5. 릴리즈 스케줄 공개: 베스팅·점진적 릴리즈 계획을 사전에 공개하고, TokenUnlocks와 같은 서비스에 등록해 투명성 확보.
  6. 법적·규제 검토: 현지 법률 자문을 받아 에어드롭이 증권법·AML 규정 등에 위배되지 않도록 사전 점검.
  7. 커뮤니케이션 전략: 에어드롭 일정·방법·청구 절차를 명확히 안내하고, FAQ·튜토리얼·지원 채널을 운영해 사용자 문의에 신속 대응.

본문 내용 번역

에어드롭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핵심적으로, 크립토 에어드롭은 프로젝트가 특정 사용자 그룹의 지갑에 자체 토큰을 보내는 마케팅·배포 전략입니다. 단순한 증정이 아니라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산된 움직임입니다. Coinbase와 Binance Academy 등 교육 자료에 따르면, 새로운 네트워크, DeFi 프로토콜, 혹은 dApp이 빠르게 사용자 기반을 확보하고자 할 때 에어드롭을 활용합니다. 토큰을 제공함으로써 거버넌스 참여, 유동성 제공, 신규 기능 테스트, 혹은 커뮤니티 활성화 등을 유도하고, 네트워크 효과를 촉진합니다.

실제 현장에서 보이는 에어드롭 유형

에어드롭은 전략적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공됩니다. 오늘날 가장 흔히 목격되는 모델을 소개합니다.

레트로액티브 (과거 행동 보상)

클래식 모델로, 토큰이 존재하기 전 프로토콜을 사용한 초기 채택자를 보상합니다. Uniswap 2020 에어드롭이 대표적인 사례로, 프로토콜과 상호작용한 모든 주소에 400UNI400 UNI 토큰을 배포해 사용자를 즉시 소유자로 전환했습니다.

포인트 → 토큰 (인센티브 먼저, 토큰은 나중)

2024·2025년에 두드러진 트렌드로, 포인트 모델은 참여를 게임화합니다. 프로젝트는 브리징, 스와핑, 스테이킹 등 사용자 행동을 추적해 오프체인 “포인트”를 부여하고, 이후 이 포인트를 토큰 할당량으로 전환합니다. 토큰 출시 전 장기간에 걸쳐 원하는 행동을 측정·인센티브할 수 있습니다.

홀더 / NFT 드롭

특정 토큰이나 NFT를 보유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기존 생태계 내 충성도를 보상하거나, 활발한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부트스트랩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ApeCoin으로, 2022년 출시 시 APEAPE 토큰 청구 권한을 Bored Ape와 Mutant Ape Yacht Club NFT 보유자에게 부여했습니다.

생태계·거버넌스 프로그램

일부 프로젝트는 장기적인 탈중앙화와 커뮤니티 성장을 위해 연속적인 에어드롭을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Optimism은 사용자에게 여러 차례 에어드롭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RetroPGF 프로그램을 통해 공공재 펀딩을 위한 토큰을 별도 할당했습니다. 이는 지속 가능하고 가치 정렬된 생태계 구축 의지를 보여줍니다.

에어드롭 작동 원리 (핵심 메커니즘)

성공적인 에어드롭과 혼란스러운 에어드롭의 차이는 기술·전략 실행에 있습니다. 실제로 중요한 메커니즘을 정리합니다.

스냅샷 & 자격 기준

프로젝트는 먼저 스냅샷(특정 블록 높이 또는 날짜)을 정해 그 시점 이후 활동은 제외합니다. 이후 보상하고자 하는 행동(브리징, 스와핑, 유동성 제공, 거버넌스 참여, 코드 기여 등)에 기반해 자격 기준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Arbitrum은 2023년 2월 6일 블록을 기준으로 Nansen과 협업해 정교한 배포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클레임 vs. 직접 전송

직접 토큰을 전송하는 것이 간단해 보이지만, 대부분의 성숙한 프로젝트는 클레임 기반 흐름을 채택합니다. 이는 분실·해킹된 주소로 토큰이 전송되는 위험을 줄이고,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패턴은 Merkle Distributor입니다. 프로젝트는 자격 주소들의 Merkle root을 온체인에 게시하고, 사용자는 자신만의 “proof”를 생성해 토큰을 청구합니다. Uniswap 오픈소스 구현이 대표적이며, 가스 효율과 보안성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시빌 저항

에어드롭은 수백·수천 개의 지갑을 이용해 보상을 극대화하려는 “파머”들의 표적이 됩니다. 팀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대응합니다: 지갑 소유자를 클러스터링하는 분석, 지갑 연령·활동 다양성 등 휴리스틱 적용, 최근에는 LayerZero 2024 캠페인처럼 사용자가 직접 시빌 활동을 보고하고 15 % 할당량을 얻는 모델을 도입했습니다. 보고하지 않고 적발된 경우 배제됩니다.

릴리즈 스케줄 & 거버넌스

에어드롭 토큰이 모두 즉시 유통되는 것은 아닙니다. 팀·투자자·생태계 펀드 등에 할당된 토큰은 베스팅 혹은 점진적 릴리즈 스케줄을 가집니다. 사용자는 이를 파악해 향후 공급 압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TokenUnlocks 같은 플랫폼은 수백 개 자산의 릴리즈 타임라인을 공개 대시보드로 제공합니다.

사례 연구 (핵심 요약)

  • Uniswap (2020): 자격 주소당 400UNI400 UNI 배포, 유동성 제공자에게는 추가 할당. Merkle proof 기반 클레임 모델을 산업 표준으로 정립.
  • Arbitrum (2023): L2 거버넌스 토큰 $ARB를 100 억 공급량으로 출시. 2023‑02‑06 스냅샷 기반 포인트 시스템에 Nansen 분석·시빌 필터 적용.
  • Starknet (2024): “Provisions Program”이라 명명, 2024‑02‑20 청구 시작. 초기 사용자·네트워크 개발자·Ethereum 스테이커 등 폭넓은 기여자를 대상으로 다개월 청구 창 제공.
  • ZKsync (2024): 2024‑06‑11 발표, 전체 토큰 공급량의 17.5 %를 700 k 지갑에 일회성 에어드롭. 프로토콜 초기 커뮤니티에 대한 대규모 보상.

팀이 에어드롭을 하는 이유 (그리고 하지 말아야 할 때)

팀이 에어드롭을 활용하는 전략적 이유:

  • 양면 네트워크 활성화: 유동성 제공자·트레이더·크리에이터·재스테이커 등 필수 참여자를 초기 확보.
  • 거버넌스 탈중앙화: 활발한 사용자에게 토큰을 배포해 신뢰할 수 있는 탈중앙화와 커뮤니티 주도 거버넌스 기반 마련.
  • 초기 기여자 보상: ICO·프리세일이 없었던 프로젝트는 초기 신뢰자를 보상하기 위해 에어드롭을 사용.
  • 가치 신호: 에어드롭 설계 자체가 프로젝트 핵심 원칙을 전달. Optimism의 공공재 펀딩 강조가 좋은 예.

하지만 에어드롭은 만능이 아닙니다. 제품 유지율이 낮거나 커뮤니티가 약하거나 토큰 유틸리티가 불명확한 경우 에어드롭을 진행하면 안 됩니다. 에어드롭은 기존 긍정적 피드백 루프를 확대할 뿐, 부실한 제품을 고칠 수는 없습니다.

사용자를 위한 가이드: 안전하게 평가하고 참여하기

에어드롭은 매력적이지만 위험도 큽니다. 안전하게 접근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드롭을 추구하기 전

  • 정통성 확인: 프로젝트 공식 채널(웹사이트, X, Discord)에서 공지를 반드시 검증. DM, 광고, 검증되지 않은 계정이 보내는 “클레임” 링크는 절대 클릭 금지.
  • 경제성 파악: 토큰 이코노미 이해. 총 공급량, 사용자 할당 비율, 내부자 베스팅 스케줄은? TokenUnlocks 같은 툴로 미래 공급을 추적.
  • 드롭 유형 파악: 레트로 보상형인지, 포인트 프로그램인지 확인. 규칙이 다르고, 포인트 프로그램은 기준이 변동될 수 있음.

지갑 관리

  • 새 지갑 사용: 가능하면 전용 “버너” 지갑을 만들어 에어드롭 청구에만 사용. 메인 자산과 위험을 격리.
  • 서명 전 내용 확인: 무작정 트랜잭션을 승인하지 말 것. 악성 사이트가 자산을 빼갈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음. 트랜잭션 시뮬레이터로 사전 검증하고, Revoke.cash 등으로 오래된 승인 권한을 주기적으로 회수.
  • 오프체인 서명 주의: Permit·Permit2 등 오프체인 서명도 자산 이동에 악용될 수 있음. 온체인 승인만큼 신중히 다룰 것.

일반적 위험

  • 피싱·드레인: 가짜 “클레임” 사이트가 가장 흔한 위험. Scam Sniffer 등 보안 업체 보고서에 따르면 2023‑2025년 사이 대규모 손실이 발생.
  • 지리적 제한·KYC: 일부 에어드롭은 국가별 제한이나 KYC를 요구. 조건을 반드시 확인, 해당 국가 거주자는 제외될 수 있음.
  • 세금 (간단히 안내, 조언 아님): 관할 구역에 따라 과세 방식이 다름. 미국에서는 IRS가 에어드롭 받은 토큰을 획득 시점 시가로 과세 소득으로 간주. 영국에서는 HMRC가 행동을 수행해 받은 경우 소득으로 보고, 이후 매도 시 양도소득세 적용. 전문가와 상담 권장.

팀을 위한 실용적인 에어드롭 설계 체크리스트

  1. 목표 명확화: 실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 실제 사용 보상, 거버넌스 탈중앙화, 유동성 시드, 빌더 펀딩 등 핵심 목표를 정의하고, 목표 행동을 구체화.
  2. 제품에 맞는 자격 기준: 프로젝트 특성에 맞게 토큰 배포 비율·포인트 기준·레트로 보상 범위를 설정. 내부자 베스팅과 연계해 장기적인 토큰 가치를 보호.
  3. 시빌 저항 설계: 지갑 클러스터링·휴리스틱·사용자 자체 보고 등 다층적인 방어 체계 구축.
  4. 클레임 메커니즘: Merkle proof 기반 Merkle Distributor를 활용해 가스 효율적인 클레임 흐름 구현. UI/UX 가이드를 제공해 사용자가 쉽게 청구할 수 있도록.
  5. 릴리즈 스케줄 공개: 팀·투자자·생태계 펀드 등에 할당된 토큰은 베스팅·점진적 릴리즈 스케줄을 명시하고, TokenUnlocks 등에 등록해 투명성 확보.
  6. 법적·규제 검토: 현지 법률 자문을 받아 에어드롭이 증권법·AML 규정 등에 위배되지 않도록 사전 점검.
  7. 커뮤니케이션 전략: 에어드롭 일정·방법·청구 절차를 명확히 안내하고, FAQ·튜토리얼·지원 채널을 운영해 사용자 문의에 신속 대응.

이 문서는 2025년을 기준으로 최신 사례와 도구를 반영했으며, 프로젝트마다 상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실제 적용 시에는 각 프로젝트의 고유한 특성과 법적 환경을 충분히 검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