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기술 혁신" 태그로 연결된 6개 게시물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모든 태그 보기

예측 시장이란? 메커니즘, 영향 및 기회

· 약 7분
Dora Noda
Software Engineer

예측 시장(연구 및 기업 환경에서 선호되는 용어)과 베팅 시장(소비자에게 더 친숙한 표현)은 동전의 양면과 같습니다. 두 시장 모두 참가자들이 미래 사건의 결과에 따라 최종 가치가 결정되는 계약을 거래할 수 있게 합니다. 미국 규제 체계에서는 이를 일반적으로 이벤트 계약이라고 부르며, 이는 인플레이션 보고서, 폭풍 강도, 선거 결과와 같은 특정하고 관측 가능한 사건이나 값에 연계된 지급을 갖는 금융 파생상품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이진 계약입니다. 이 구조에서는 사건이 발생하면 “Yes” 주식이 $1 로 정산되고, 발생하지 않으면 $0 로 정산됩니다. 이 “Yes” 주식의 시장 가격은 해당 사건이 발생할 확률에 대한 집단의 추정치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Yes” 주식이 $0.63 에 거래되고 있다면, 시장은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약 63% 로 신호하고 있는 것입니다.

계약 유형

  • 이진: 단일 결과에 대한 간단한 Yes/No 질문. 예시: “2025년 12월에 미국 노동통계국이 발표하는 Core CPI YoY가 3.0% 이상이 될까요?”
  • 범주형: 여러 상호 배타적인 결과 중 하나만이 승리하는 시장. 예시: “뉴욕시 시장 선거에서 누가 승리할까요?” (각 후보를 옵션으로 제공)
  • 스칼라: 결과가 연속적인 스펙트럼에 있는 시장으로, 종종 지급이 구간별로 나뉘거나 선형 공식에 의해 결정됩니다. 예시: “연방준비제도(Fed)가 2026년에 금리 인하를 몇 차례 발표할까요?”

가격 읽기

이진 계약의 “Yes” 주식이 $1 을 지급하고 현재 가격이 pp 라면, 암시된 확률은 대략 pp 가 되며, 배당률은 p/(1p)p / (1-p) 로 계산됩니다. 범주형 시장에서는 모든 주식의 가격을 합하면 대략 $1 이 되어야 합니다(편차는 보통 거래 수수료나 유동성 스프레드 때문).

왜 이러한 시장이 중요한가?

단순 투기 이상의 가치가 있는 잘 설계된 예측 시장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 정보 집계: 시장은 방대한 분산 지식을 하나의 실시간 가격 신호로 합성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질문이 명확히 정의되고 유동성이 충분한 경우, 시장은 단순 벤치마크를 능가하고 때로는 전통적인 여론 조사보다도 정확합니다.
  • 운영 가치: 기업들은 내부 예측 시장을 활용해 제품 출시 일정, 수요 예측, 분기 목표(OKR) 달성 위험 등을 평가해 왔습니다. 학술 문헌은 이러한 시장의 강점과 동시에 “하우스” 시장에서 나타나는 낙관주의와 같은 행동 편향 가능성을 강조합니다.
  • 공공 예측: 아이오와 전자 시장(IEM)이나 비시장 예측 플랫폼인 Good Judgment와 같은 장기 프로그램은 신중한 질문 설계와 적절한 인센티브가 의사결정 지원에 매우 유용한 데이터를 생성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시장 설계: 세 가지 핵심 메커니즘

예측 시장의 엔진은 여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고유한 특성을 가집니다.

1) Central Limit Order Books (CLOB)

  • 작동 방식: 거래자들이 특정 가격에 “리밋” 주문을 게시하는 고전적인 거래소 모델입니다. 엔진이 매수·매도 주문을 매칭해 시장 가격과 주문 깊이를 형성합니다. 초기 온체인 시스템인 Augur가 주문서를 사용했습니다.
  • 장점: 경험 많은 트레이더에게 친숙한 가격 발견 메커니즘.
  • 단점: 전담 마켓 메이커가 지속적으로 매수·매도 호가를 제공하지 않으면 유동성이 얇아질 수 있습니다.

2) LMSR (Logarithmic Market Scoring Rule)

  • 개념: 경제학자 로빈 핸슨이 개발한 LMSR은 비용 함수 기반 자동 마켓 메이커로, 모든 결과에 대해 항상 가격을 제시합니다. 파라미터 bb 가 시장의 깊이(유동성)를 조절합니다. 가격은 비용 함수의 기울기에서 도출됩니다: C(q)=blnieqi/bC(\mathbf{q}) = b \ln \sum_i e^{q_i/b}.
  • 사용 이유: 우아한 수학적 특성, 마켓 메이커의 손실 제한, 다수 결과를 가진 시장에 대한 자연스러운 지원.
  • 단점: 계산량이 많아 온체인 구현 시 가스 비용이 크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FPMM/CPMM (Fixed/Constant Product AMM)

  • 개념: DEX인 Uniswap에서 사용되는 고정 곱 공식 (x×y=kx \times y = k)을 예측 시장에 적용한 모델입니다. 각 결과를 나타내는 토큰(예: YES 토큰, NO 토큰)으로 풀을 구성하고, AMM이 연속적인 가격 견적을 제공합니다.
  • 사용 사례: Gnosis의 Omen 플랫폼이 조건부 토큰에 FPMM을 적용해 선구적으로 사용했습니다. 실용적이며 가스 효율이 비교적 높고, 개발자가 통합하기도 쉽습니다.

예시와 현재 미국 상황 (2025년 8월 스냅샷)

  • Kalshi (미국 DCM): 연방 규제 거래소(Designated Contract Market)로 다양한 이벤트 계약을 상장합니다. 2024년 판결과 2025년 CFTC가 항소를 철회하면서 특정 정치·기타 이벤트 계약을 상장할 수 있게 되었지만, 여전히 정책 논쟁과 일부 주 차원의 도전이 존재합니다.
  • QCX LLC d/b/a Polymarket US (미국 DCM): 2025년 7월 9일 CFTC가 QCX LLC를 Designated Contract Market으로 지정했습니다. “Polymarket US”라는 명의로 운영될 예정이며, 이는 미국 사용자가 규제된 환경에서 이벤트 계약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합니다.
  • Polymarket (글로벌, 온체인): Gnosis Conditional Token Framework(CTF)를 활용해 이진 결과 토큰(ERC‑1155)을 발행하는 선도적인 탈중앙화 플랫폼입니다. 2022년 CFTC와 합의 후 미국 사용자를 차단했으나, 현재 QCX를 통해 규제된 미국 진출을 모색 중입니다.
  • Omen (Gnosis/CTF): Gnosis 스택 위에 구축된 완전 온체인 예측 시장 플랫폼으로, 조건부 토큰과 FPMM 메커니즘을 사용합니다. 커뮤니티 거버넌스와 Kleros와 같은 탈중앙화 중재 서비스를 통해 분쟁을 해결합니다.
  • Iowa Electronic Markets (IEM): 대학이 운영하는 장기 학술·교육용 시장으로, 소액 스테이크를 사용합니다. 시장 정확도의 학술적 기준점으로 활용됩니다.
  • Manifold: “플레이 머니” 기반 소셜 예측 시장 사이트로, 질문 설계 실험, 사용자 경험 패턴 관찰, 재정적 위험 없이 커뮤니티 참여를 촉진하는 데 탁월합니다.

규제에 관한 주의: 상황은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2024년 5월 CFTC는 선거, 스포츠, 시상식 등 특정 이벤트 계약을 CFTC 등록 거래소에서 금지하는 규칙을 제안했습니다. 이 제안은 Kalshi 소송 및 이후 기관 조치와 맞물려 활발한 논쟁을 일으켰습니다. 구축자와 사용자는 항상 최신 규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내부 구조: 질문에서 정산까지

예측 시장을 구축하려면 다음 핵심 단계가 필요합니다:

  1. 질문 설계: 좋은 시장의 기반은 명확하고 검증 가능한 질문입니다. 해결 일시·시간·데이터 출처가 명확히 정의되어야 합니다. 예시: “2025년 12월에 미국 노동통계국이 발표하는 Core CPI YoY가 3.0% 이상인지 여부는 첫 공식 발표에서 확인됩니다.” 복합 질문이나 주관적 결과는 피하세요.
  2. 정산: 진실을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 중앙화 정산자: 플랫폼 운영자가 사전에 지정된 출처에 따라 결과를 선언합니다. 빠르지만 신뢰가 필요합니다.
    • 온체인 오라클/분쟁: 탈중앙화 오라클이 결과를 결정하고, 커뮤니티 중재나 토큰 보유자 투표와 같은 분쟁 절차를 백업으로 둡니다. 중립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3. 메커니즘: 어떤 엔진을 사용할 것인가?
    • 주문서: 전담 마켓 메이커 파트너가 있어 스프레드가 좁은 경우에 적합합니다.
    • AMM (FPMM/CPMM): “항상 켜진” 유동성을 제공하고 온체인 통합이 간단합니다.
    • LMSR: 다중 결과 시장에 강력하지만 가스·컴퓨팅 비용을 관리해야 합니다(오프체인 계산 또는 L2 활용).
  4. 담보·토큰: 온체인 설계에서는 Gnosis Conditional Token Framework 를 활용해 각 결과를 별개의 ERC‑1155 토큰(예: YES, NO)으로 토큰화합니다. 이는 정산, 포트폴리오 관리, 다른 DeFi 프로토콜과의 조합을 용이하게 합니다.

실제로 이 시장들은 얼마나 정확한가?

다양한 분야에 걸친 방대한 연구 결과, 시장 기반 예측은 일반적으로 꽤 정확하며 중간 수준의 벤치마크를 능가합니다. 기업 내부 예측 시장도 가치를 창출하지만, 때때로 특정 조직에 특화된 편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금융 시장이 아닌 예측 플랫폼(예: Metaculus)도 인센티브와 집계 방식이 잘 설계되면 높은 정확도를 보여줍니다. 이는 특히 장기 질문이나 명확히 해결하기 어려운 주제에 유용한 보완 수단이 됩니다.

위험 및 실패 모드

  • 정산 위험: 질문이 모호하거나 데이터 출처가 예기치 않게 수정되면 결과가 불확실해집니다.
  • 유동성·조작: 거래량이 적은 시장은 대규모 거래에 의해 가격이 쉽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 과도한 해석: 가격은 확률을 나타낼 뿐 확정이 아닙니다. 거래 수수료·스프레드·유동성 깊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 컴플라이언스 위험: 미국에서는 CFTC에 등록된 거래소만이 미국 거주자에게 이벤트 계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등록 없이 운영하는 플랫폼은 집행 조치를 받을 수 있으니 현지 법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구축자를 위한 실용 체크리스트

  1. 질문부터 시작: 단일, 검증 가능한 주장이어야 합니다. 누가, 무엇을, 언제, 어떤 출처로 해결되는지 명시합니다.
  2. 메커니즘 선택: 전담 마켓 메이커가 있으면 주문서, 지속적인 유동성을 원하면 FPMM/CPMM, 다중 결과가 필요하면 LMSR(컴퓨팅 비용 고려).
  3. 정산 정의: 빠른 중앙화 정산자 또는 중립적인 온체인 오라클·분쟁 프로세스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4. 유동성 초기 공급: 초기 깊이를 제공하고 인센티브·수수료 리베이트·전문 마켓 메이커와 협업을 검토합니다.
  5. UX 설계: 암시된 확률을 명확히 표시하고, 스프레드·유동성 깊이를 노출하며, 저유동성 시장에 대한 경고를 제공합니다.
  6. 거버넌스 계획: 이의 제기 기간, 분쟁 보증금, 비상 상황 절차 등을 정의합니다.
  7. 깨끗한 통합: 온체인 구축 시 Gnosis Conditional Tokens + FPMM 조합이 검증된 경로이며, 오프체인 애플리케이션은 규제된 거래소 API 활용을 고려합니다.
  8. 컴플라이언스 주시: CFTC의 이벤트 계약 규칙 변화와 주별 규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용어 사전

  • 이벤트 계약 (U.S. term): 특정 사건의 결과에 따라 지급이 결정되는 파생상품; 대부분 이진(Yes/No) 형태.
  • LMSR: Logarithmic Market Scoring Rule, 손실이 제한된 자동 마켓 메이커 유형.
  • FPMM/CPMM: Fixed/Constant Product Market Maker, DEX에서 차용한 AMM 모델을 결과 토큰 거래에 적용한 형태.
  • 조건부 토큰 (CTF): Gnosis가 개발한 프레임워크로, 결과에 대한 포지션을 나타내는 ERC‑1155 토큰을 발행합니다.

책임 있는 사용 및 면책 조항

이 문서는 교육 및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조언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예측 시장을 활용할 때는 항상 위험을 인식하고, 해당 관할 구역의 법률 및 규정을 준수하십시오.

추가 자료 (선정)

네트워크 국가: 발라지 스리니바산이 말하는 새로운 국가를 시작하는 방법

· 약 52분
Dora Noda
Software Engineer

발라지 스리니바산의 네트워크 국가: 새로운 국가를 시작하는 방법 (2022) 은 현대 기술이 새롭고 가상 우선적인 주권 공동체의 창설을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하는 선언문입니다. 스리니바산은 전통적인 국민 국가가 실패하는 이유와, "네트워크 국가" – 실제 세계의 정치체로 집결하는 고도로 정렬된 온라인 커뮤니티 – 가 그 후계자로 부상할 수 있는 방법을 장별로 설명합니다. 아래는 각 장의 상세한 요약 및 분석으로, 주요 주장, 프레임워크, 핵심 제안, 예시를 강조하고 이러한 아이디어들이 책 전반에 걸쳐 어떻게 상호 연결되는지를 보여줍니다.

1장: 빠른 시작 – 네트워크 국가와 그 청사진 정의하기

1장에서는 "네트워크 국가"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만들기 위한 개괄적인 청사진을 제공합니다. 스리니바산은 네트워크 국가를 "집단 행동 능력을 갖춘 고도로 정렬된 온라인 커뮤니티로서, 전 세계에 걸쳐 영토를 크라우드펀딩하고 궁극적으로 기존 국가로부터 외교적 인정을 받는 존재" 라고 정의합니다. 본질적으로, 인접한 영토로 정의되는 전통적인 국가와 달리, 네트워크 국가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사람들과 그들의 공유된 목적에 의해 정의됩니다. 이 장에서는 네트워크 국가의 구조를 기존 국민 국가와 대조합니다: 국민 국가는 지리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반면, 네트워크 국가는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습니다 – 구성원들은 전 세계에 흩어져 있지만 인터넷과 통일된 사명을 통해 연결됩니다. 저자는 심지어 가상의 백만 시민 네트워크 국가의 "한 장의 이미지" 대시보드를 예시로 포함합니다: 이는 전 세계에 인구가 있는 노드들의 군도처럼 보이며, 총인구, 소득, 토지 면적을 실시간으로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책에서는 도쿄, 뭄바이, 뉴욕 등과 같은 도시에 흩어져 있는 클러스터들이 하나의 커뮤니티로 연결된 모형을 제시하며(그림 참조), 네트워크 국가는 클라우드 기반이며 나중에야 물리적 공간에 정착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 "클라우드 우선, 영토는 나중에(cloud first, land last)"라는 정신(디지털로 시작하여 물리적으로 구체화)은 핵심 원칙입니다.

핵심 제안 – 새로운 국가를 시작하기 위한 7단계: 스리니바산은 네트워크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단계별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며, 이를 스타트업 창업에 비유합니다. 그는 역사적 부담에 짓눌린 기존 국가를 개혁하는 것보다 새로운 사회를 처음부터 창조하는 것이 더 쉽다고 주장합니다. 7개의 큰 단계로 요약된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스타트업 사회" 설립 – 공통의 비전이나 하나의 계명(단일한 도덕 원칙 – 나중에 자세히 설명될 개념)으로 뭉친 온라인 커뮤니티로 시작합니다. 누구나 회사를 창업하거나 암호화폐를 만들 수 있듯이, 누구나 이런 커뮤니티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창립자의 정당성은 다른 사람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따르기로 선택하는 것만으로 증명됩니다.
  2. "네트워크 연합"으로 조직화 – 느슨한 커뮤니티를 집단 행동이 가능한 그룹으로 전환합니다. 이는 전통적인 노동조합처럼 구성원들의 상호 이익을 위해 협력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단일 고용주나 지역에 얽매이지 않습니다. 네트워크 연합은 커뮤니티에 "조직적 힘"을 부여하여, 단순한 소셜 미디어 그룹이 아니라 하나의 목소리로 행동할 수 있게 합니다(예: 특정 명분을 위한 로비, 자원 공동 출자, 구성원 보호 등). 스리니바산은 이 "연합화" 가 온라인 군중을 일관된 정치체로 바꾸는 핵심 단계라고 말합니다.
  3. 오프라인에서 신뢰를 구축하고 온라인에서 암호화폐 경제 구축오프라인 모임과 집회를 열어 구성원 간의 사회적 유대와 신뢰를 강화하는 동시에,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내부 경제를 만듭니다. 즉,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고유의 디지털 통화나 토큰을 통해 거래, 자금 공유, 교환을 시작해야 합니다. 이 단계는 경제적 상호의존성과 실제 세계의 동료애를 확립합니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는 정기적인 행사나 코워킹 스페이스를 주최하고, 투표나 보상에 암호화폐 토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리니바산은 블록체인이 커뮤니티의 기록(신원, 거래, 투표)에 대한 불변의 원장을 제공하므로, 이러한 상호작용을 보호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사용할 것을 강조합니다.
  4. 물리적 "노드" 크라우드펀딩 – 커뮤니티가 응집력을 갖추고 자본을 축적하면, 구성원들을 위한 물리적 공간을 확보하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노드는 아파트, 주택, 공동 주거 시설, 심지어 전체 동네가 될 수 있으며, 구성원들이 함께 살거나 주기적으로 만날 수 있는 모든 곳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는 디지털 시민들이 모일 수 있는 허브를 만들어 커뮤니티를 현실 세계에 구체화하는 것입니다. 스리니바산은 단일 아파트부터 마을까지 모든 것을 크라우드펀딩하는 예를 듭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뮤니티는 하나의 인접한 영토가 아닌, 전 세계에 분산된 부동산 군도를 소유하게 될 것입니다.
  5. 분산된 노드를 디지털로 연결 – 이러한 물리적 거점들을 하나의 네트워크화된 전체, 즉 "네트워크 군도" 로 연결합니다. 모든 지역의 구성원들은 인터넷을 통해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공유된 암호화 여권이나 회원 시스템을 사용하여 물리적 장소에 대한 접근을 허용합니다. 증강 또는 혼합 현실 도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와 지상 거주지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여 통일감을 덧씌울 수 있습니다. 요컨대, 구성원들이 수십 개의 도시에 흩어져 있더라도 디지털 연결을 통해 하나의 인구 집단으로 기능합니다. (위 그림에서 이는 전 세계 노드를 연결하는 점선으로 시각화됩니다.)
  6. 온체인 인구 조사 실시 및 지표 공개 – 커뮤니티가 인구와 부에서 성장함에 따라, 그 규모를 공개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암호학적으로 감사된 인구 조사를 수행합니다. 이는 블록체인 및 기타 검증 방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국가의 회원 수, 경제 생산량, 토지 보유량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게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스리니바산은 여기서 급진적인 투명성을 제안합니다: 스타트업이 사용자 증가를 보여주듯이, 네트워크 국가는 신뢰성을 얻기 위해 지속적으로 "순자산과 회원 수" 를 방송해야 합니다. 이 단계는 견인력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만약 수천 명의 사람들이 이미 자발적으로 커뮤니티의 일원이고 상당한 재산과 소득을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다면, 이 실체가 "실제"이며 진지하게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주장을 강화합니다. (그는 이를 비트코인이 처음에는 무시당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법정 화폐로 인정받게 된 과정과 명시적으로 비교합니다.)
  7. 외교적 인정 획득마지막으로, 커뮤니티의 자치에 대해 최소한 하나의 기존 주권 국가로부터 인정을 구합니다. 이는 자치구 지위 협상, 헌장 도시 협정, 또는 단순히 실험적인 "디지털 국가"로서 한 국가와 공식적인 관계를 수립하는 것과 같은 작은 단계로 시작될 수 있습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점진적인 주권이며, 잠재적으로는 유엔의 인정으로 정점에 이를 수 있습니다. 스리니바산은 스타트업 사회가 수백만 명의 시민과 수십억 달러 규모의 경제로 성장하면, "비트코인이 이제 진정한 국가 통화가 된 것처럼" (엘살바도르와 같은 국가들이 비트코인을 채택한 것을 언급하며) 인정을 협상할 힘을 갖게 될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외교적 인정은 단순한 커뮤니티를 진정한 네트워크 국가로 변모시키는 정점으로, 조약 체결, 국제 무역, 구성원 보호에 대한 법적 지위를 부여합니다.

이 7단계 로드맵은 책의 주요 프레임워크 중 하나입니다. 스리니바산은 이를 국가를 세우는 "일곱 번째 방법" 으로 규정하며, 여섯 가지 전통적인 (그리고 대부분 실패했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방법인 선거, 혁명, 전쟁, 초소형국민체, 시스테딩, 우주 식민지화와 대조합니다. 이들 모두는 폭력에 의존하거나 비현실적인 확률에 직면하는 반면, 네트워크 국가는 스타트업처럼 평화롭고 점진적으로 건설될 수 있습니다. 그가 반복적으로 드는 예시는 유대인 디아스포라와 시오니즘에 대한 비유입니다: 네트워크 국가는 "역 디아스포라"와 같습니다 – 역사에 의해 흩어진 민족이나 종교 집단 대신, 원칙을 중심으로 자발적으로 모인 사람들이 땅을 얻기 위해 전략적으로 자신들을 분산시키는 것입니다. 결국, 새로운 국가를 세운 역사적 디아스포라(예: 유대인을 위한 이스라엘)처럼, 네트워크 국가는 주권 실체로 응집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왜 네트워크 국가를 추구해야 하는가? 스리니바산의 주장은 실용적이면서도 규범적입니다. 그는 현재의 국민 국가가 과거에 갇혀 있다고 믿습니다 – 그들의 법과 제도는 역사적 경계, 낡은 헌법, 기득권에 의해 제약받기 때문에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에 쉽게 적응할 수 없습니다. 반면, 새로 만들어진 국가는 도덕적으로, 법적으로, 기술적으로 깨끗한 상태에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 "개혁 < 창조" 라고 그는 단호하게 씁니다. 이 장 전반에 걸쳐 그는 기술(인터넷 플랫폼, 암호화폐, 원격 협업 도구)이 기업가들이 새로운 회사를 시작하는 장벽을 낮춘 것처럼, 새로운 대규모 커뮤니티를 시작하는 장벽을 낮췄다고 강조합니다. 컴퓨터를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제 클라우드에서 "국가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이는 책의 도발적이면서도 중심적인 주장입니다.

성장을 통한 신뢰성의 예로, 스리니바산은 비트코인의 궤적을 언급합니다: 초기에는 조롱받고 무시당했지만, 사용자와 가치를 얻으면서 정부가 이를 인정하도록 강요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수백만 명의 회원과 상당한 부를 가진 "스타트업 사회"는 인정을 강제할 수 있습니다. 그는 또한 에스토니아의 전자 영주권과 "클라우드 시민권" 이니셔티브를 부분적인 디지털 국가의 전조로, 그리고 시스테딩(해상 공동체)과 헌장 도시와 같은 실험을 현재의 정치 지리의 제약에서 벗어나려는 평행적인 노력으로 인용합니다. 이러한 예들은 새로운 거버넌스 모델에 대한 수요가 실재하며, 네트워크 국가가 그가 제안하는 해결책임을 보여줍니다. 1장이 끝날 무렵, 독자는 네트워크 국가는 소셜 네트워크로 시작하여 새로운 국가로 끝난다는 명확한 비전을 갖게 되며, 책의 나머지 부분은 이것이 필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역사 및 지정학과 교차하는지를 상세히 설명할 것입니다.

2장: 궤적으로서의 역사 – 새로운 사회의 도덕적, 기술적 기원

2장은 역사적, 철학적 관점으로 시야를 넓힙니다. 스리니바산은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역사가 현재의 국가를 어떻게 만들었는지 이해하고, 새로운 커뮤니티가 해결할 수 있는 현 체제의 도덕적 실패를 식별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즉, 스타트업 사회는 그 존재에 대한 도덕적 정당성 – 현상 유지보다 "더 낫다"고 주장할 수 있는 이유 – 이 필요합니다. 이 장은 개념적 도구를 제공합니다: 역사가 어떻게 기록되고 (왜곡되는지), 권력과 진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리고 사회적 패러다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검토합니다. 이는 새로운 국가가 그들의 길잡이 역할을 할 단일하고 명확한 도덕적 혁신 – "하나의 계명" 이라고 불리는 – 위에 세워져야 한다는 아이디어로 귀결됩니다.

역사와 도덕적 목적의 역할: 스리니바산은 "스타트업 국가는 도덕적 문제에서 시작한다" 고 지적하며, 기술 혁신에서 시작하는 스타트업 회사와는 다르다고 말합니다. 새로운 국가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사회 계약에 참여하라고 요청하기 때문에, 기존 사회의 "도덕적 결함" 을 해결하거나 도덕적 우위를 주장해야 합니다. 창립자의 임무는 두 가지입니다: (1) 오늘날 세계의 어떤 도덕적 실패나 문제를 새로운 커뮤니티가 해결할 것인지 설명하고, (2) 더 나은 사회가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이 문제가 없었거나 해결되었던 역사적 예나 선례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하나의 계명 개념의 발판을 마련합니다 – 새로운 국가가 기존 국가와 대조적으로 지킬 하나의 지침 원칙입니다. 스리니바산은 역사를 강조하는데, 그가 열거하듯이 역사는 정당성의 기반이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논쟁에서 이기기 위해, 법을 정당화하기 위해 (모든 규제 뒤에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리고 도덕성을 도출하기 위해 (주요 종교는 역사적 서사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역사적 주장을 사용합니다. 결정적으로, "역사는 승자에 의해 쓰여진다"는 것은 과거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종종 진실이 아닌 권력의 산물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그가 새로운 궤도를 그리기 위해 역사의 새로운 해석(또는 새로운 도구를 사용한 역사의 재기록)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게 만듭니다.

미시사 대 거시사: 우리가 어떻게 진실의 더 명확한 그림을 얻을 수 있는지 설명하기 위해, 스리니바산은 미시사(소규모, 재현 가능한 역사적 실험)와 거시사(세계 사건의 거대하고 일회적인 궤적)를 구분합니다. 그는 미시사를 "체스 게임의 역사" 와 같이 반복되고 통계적으로 분석될 수 있는 것에 비유하는 반면, 거시사는 우리가 실험으로 재현할 수 없는 모든 인간사의 혼란스러운 흐름과 같다고 말합니다. 더 큰 요점은 데이터가 많을수록, 그리고 우리의 이해가 더 세분화될수록(거시적 문제를 미시적 분석으로 전환할수록), 우리는 더 잘 배우고 예측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이야기되는 역사는 너무 거칠고 종종 틀리거나 편향되어 있습니다. "뉴스가 가짜라면, 역사는 상상해보라" 고 그는 장 후반에 비꼬아 말합니다 – 즉, 오늘날의 미디어가 현실을 왜곡할 수 있다면, (다양한 체제 하에서 쓰여진) 우리의 역사책도 왜곡으로 가득 차 있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스리니바산은 블록체인 원장과 디지털 기록을 진실된 미시사를 기록하기 위한 돌파구로 봅니다. "이것이 비트코인이 흥미로워지는 지점입니다. 그것은 (거의) 위조될 수 없기 때문에 가장 정확한 기록 형태입니다." 거래나 사건을 투명하고 위변조 방지 방식으로 기록하는 공개 블록체인은, 당국이 변경하거나 검열할 수 있는 전통적인 기록 보관소와 달리, 커뮤니티를 위한 불변의 역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는 미래의 역사가들이 국가가 승인한 문서에만 의존하는 대신,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이해하기 위해 온체인 로그를 샅샅이 뒤지는 모습을 상상합니다. 이것은 반복되는 주제입니다: 기술적 진실 대 정치적 권력. 현재 시스템에서는 "정치적 권력이 (기술적) 진실을 이깁니다" – 정부와 미디어는 사실을 왜곡하거나 억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리니바산은 관리들이 종종 전쟁이나 탄압을 정당화하기 위해 잔학 행위 서사를 사용하는 방법을 지적합니다(소련과 미국 모두 도덕적 권위를 주장하기 위해 역사적 잘못을 선별적으로 사용한 사례를 인용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그는 "아래로부터의, 암호학적 역사" – 즉, 분산되고 검증 가능하며, 어떤 한 승자의 통제를 넘어서는 사건의 원장을 옹호합니다.

그는 많은 렌즈로부터 통찰력을 얻기 위해 다양한 역사적 모델을 조사합니다. 여기에는 기술 결정론(기술이 역사를 전진시킨다), 나선 모델(역사는 순환적이면서도 선형적이다 – "같은 일이 더 나은 기술과 함께 계속 반복된다"), 오지만디아스 모델(문명은 완전히 붕괴될 수 있다), "위대한 창립자" 또는 기술 트리 모델(위대한 개인이 역사를 만들지만, 그 시대에 존재하는 기술의 한계 내에서만), 그리고 "기차 충돌""아이디어 미로" 모델과 같은 상반된 휴리스틱도 포함됩니다(역사에 대한 무지는 우리가 그것을 반복하게 만들거나, 역사에 대한 과도한 지식은 사람들이 "그것은 전에 실패했다"고 생각하게 만들어 혁신을 저해할 수 있다). 각 모델의 세부 사항보다 그가 도출하는 결론이 더 중요합니다: 정치적 서사와 기술적 현실 모두가 역사를 형성합니다. 그는 "정치적 인센티브는 유용한 서사를 전파하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기술적 인센티브는 작동하는 진실을 선호한다" 고 주장합니다. 성공적인 새로운 국가는 이 둘을 조화시켜야 합니다 – 합리적이고 데이터 기반의 "기술적 진실" 을 수용하면서도 서사와 정체성의 힘("국민 국가"의 "국민" 측면)을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합니다. 민족주의(이야기를 중심으로 한 사회적 응집력)와 합리주의(엄연한 진실과 과학) 사이의 이 균형은 필수적인 것으로 제시됩니다.

신, 국가, 네트워크 – 진화하는 리바이어던: 이 장의 가장 인상적인 프레임워크 중 하나는 사회의 최상위 권위, 즉 리바이어던(홉스의 용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태를 바꾸었다는 아이디어입니다: 신에서 국가로, 그리고 이제는 네트워크로. 스리니바산은 이 진행 과정을 다음과 같이 스케치합니다:

  • 리바이어던으로서의 신 (종교의 시대): 수세기 동안 종교적 신념은 질서를 유지하는 최고 권위였습니다 – 사람들은 신의 감시와 지옥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행동했습니다. 신앙 공동체("신의 백성")가 우선이었습니다. 그는 1800년대에 엘리트들이 신의 처벌에 대한 두려움을 잃으면서 이것이 약화된 것을 표시하기 위해 니체의 "신은 죽었다" 를 인용합니다.
  • 리바이어던으로서의 국가 (민족주의의 시대): 세속화와 함께, 19세기와 20세기에 국민 국가가 신의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이제 "범죄를 저지르면 신이 당신을 벌하지는 않겠지만, 국가는 확실히 벌할 것입니다." "국가의 백성"(애국심과 법으로 묶인 시민)이 정의적인 정체성이 되었습니다. 이 시대는 산업 전쟁과 세계 대전의 부상 – 국가 권력의 폭력적인 신격화 – 을 목격했습니다.
  • 리바이어던으로서의 네트워크 (디지털 시대): 오늘날, 스리니바산은 낡은 종교 질서와 2차 세계대전 이후의 국민 국가 질서가 모두 침식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다음 리바이어던은 네트워크 – 인터넷과 암호화폐 네트워크입니다." 유비쿼터스 연결의 세계에서, 네트워크(또는 알고리즘)를 통제하는 자가 권력을 휘두릅니다. "범죄를 저지르면 네트워크가 당신을 벌할 것입니다" 라고 그는 제안하며, 이는 플랫폼에서 퇴출되거나, 디지털 감시, 또는 스마트 계약 코드가 경찰이 하던 규칙을 집행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는 심지어 도발적으로 "오늘날 가장 강력한 힘은 신이나 미군이 아닙니다. 그것은 블록체인입니다." 라고 주장합니다. 이는 강력한 암호화와 분산 원장이 국가가 할 수 있는 일을 제한하기 때문입니다 – "암호화 > 국가 폭력", 정부는 현대 암호화를 무차별 대입으로 깰 수 없으므로 암호화된 자산을 압수하거나 암호화된 통신을 감시할 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암호화폐 경제 > 명목 화폐 경제"(국가는 암호화폐를 쉽게 검열하거나 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없음)이고 "P2P > 국가 미디어"(인터넷은 정보 게이트키퍼를 우회함)입니다. 스리니바산은 "X > Y" 비교를 연달아 제시합니다: 예: 사회적 > 국가적(온라인 소셜 네트워크는 지리적으로 묶인 시민적 통합을 약화시킴), 이동성 > 정주성(사람들은 스마트폰/원격 근무로 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국경의 구속력이 약해짐), 가상 현실 > 물리적 근접성(VR은 자체 규칙을 가진 새로운 세계를 만들 수 있어 지역 법률로부터의 탈출을 제공함), 스마트 계약 > 법적 계약(코드는 전통적인 법보다 더 빠르고 예측 가능하게 실행됨), 암호학적 검증 > 공식 확인(블록체인 진실 대 정부 주장). 이 모든 것은 기술이 어떻게 전통적인 국가 권위를 희생시키면서 개인과 새로운 그룹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중요한 것은, 스리니바산이 국가가 이미 쓸모없어졌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네트워크 권력과 국가 권력 사이의 전환기적 충돌 속에 있다는 것입니다. 그는 국가가 여전히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중국 공산당의 영향력이나 심지어 서구 정부가 빅테크와의 협력을 통해 봉쇄를 강제하고 정보를 검열하는 능력과 같은 것들로 입증된다고 지적합니다. 그는 미국과 중국이 각각 다른 방식으로 국가와 네트워크 권력을 융합하고 있다는 평행선을 긋습니다: 미국 기득권층은 소셜 네트워크 및 미디어와 비공식적으로 협력하여(사실상의 "워크" 검열관과 팩트체커의 신정정치를 만들어냄), 반면 중국 정권은 명시적으로 기술을 통제하고 감시에 사용합니다. 두 경우 모두 정부와 네트워크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습니다. 그는 기존 국가와 네트워크 권력의 동맹을 "네트워크/국가"(슬래시 포함)라고 칭하고, 긍정적인 네트워크/국가 융합 – 예: "비트코인을 수용한 엘살바도르" 나 에스토니아의 전자정부(정부가 시민에게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네트워크 원칙을 채택) – 과 부정적인 네트워크/국가 융합 – 예: "감시와 통제를 위해 기술을 사용하는 중국" 이나 반대 의견을 억압하기 위해 빅테크를 사용하는 미국 정부 – 을 구분합니다. 이러한 예들은 우리가 새로운 네트워크 국가를 만들지 않으면, 기존 국가들이 권위주의적 목적을 위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경고 역할을 합니다.

궁극적으로, 2장은 네트워크 국가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신도 국가도 이제 완전히 제공하지 못하는 것, 즉 의미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스리니바산은 "네트워크 국가는 더 큰 효율성과 동의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아직 의미를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이것이 바로 하나의 계명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라고 씁니다. 즉, 기술은 도구(효율성, 암호학적 보안, 분산 합의)를 제공할 수 있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공유된 목적이나 도덕적 비전(종교나 거대 정치 이데올로기가 제공했던 종류의)을 갈망합니다. 하나의 계명은 각 새로운 스타트업 사회가 구성원들을 결속시키기 위해 채택해야 할 혁신적인 도덕 규칙 또는 원칙에 대한 그의 용어입니다. 주요 종교에 십계명이 있었던 것처럼, 그는 스타트업 사회에는 단 하나만 필요하다고 재치있게 말합니다 – "다른 나라들이 놓친" 그리고 역사적으로나 과학적으로 진실된 단 하나의 핵심 아이디어입니다.

하나의 계명 커뮤니티의 예시: 스리니바산은 각각 "하나의 계명"으로 정의된 가능한 스타트업 사회의 구체적인 예를 제시합니다:

  • 캔슬-프루프 사회: 캔슬 컬처가 잘못되었다는 원칙에 전념하는 순전히 디지털 네트워크 연합. 그 하나의 계명은 "너는 언론 때문에 다른 사람을 캔슬하지 말라"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 커뮤니티는 온라인에서 집단 공격을 받거나 플랫폼에서 퇴출된 회원을 방어하기 위해 연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저자는 이것이 불공정하게 캔슬된 사람이 있을 때마다 지원을 동원하는 디스코드 그룹으로 시작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 언론의 자유 규범을 강제하는 소규모 도덕 공동체입니다.
  • 케토 코셔 (반설탕 사회): 설탕이 현대 건강에 독이라는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구축된 네트워크 군도(디지털 + 물리적). 그 도덕적 입장은 "설탕은 나쁘다"(일부 종교가 특정 음식을 금지하는 것과 유사함)입니다. 회원들은 케토제닉/저탄수화물 생활 방식에 전념하며, 커뮤니티는 "국경"에서 설탕과 가공 식품이 금지된 아파트나 마을을 크라우드펀딩할 것입니다. 이 농담 섞인 예는 건강 기반의 하나의 계명을 보여줍니다 – 비만 유행에 대한 반응이자 국가의 공중 보건 실패에 대한 비판입니다. "케토 코셔"라는 이름은 식단에 대한 준종교적 접근(설탕에 대한 코셔 율법)을 암시합니다.
  • 디지털 안식일 사회: 끊임없는 연결이 해롭다고 주장하는 커뮤니티. 하나의 계명: "정기적으로 인터넷에서 벗어나라." 특정 시간에는 인터넷 접속이 차단되는 휴양지나 주거 지역을 운영하여 주기적인 디지털 단식을 강제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현대 생활의 일중독, 화면 중독 속도를 다룹니다 – 기술 사용 자체에 대한 도덕적 입장입니다.
  • "당신의 몸, 당신의 선택" – 탈-FDA 사회: 의료 분야의 개인의 자유를 목표로 하는 더 급진적인 예. 핵심 원칙: 개인은 모든 의료 제품을 구매하거나 판매할 절대적인 권리를 가져야 한다(완전한 의료 자유지상주의). 이를 실제로 실천하려면, 이러한 커뮤니티는 기존의 약물 및 안전법을 무시하기 때문에 외교적 인정과 법적 관할권("성역" 도시 또는 거점)이 필요합니다. 스리니바산은 이것이 논란의 여지가 있는 자유를 허용하기 위해 인정을 획득하는 네트워크 국가의 예로 제안합니다 – 효과적으로 시민들을 위한 선택적 규제 체제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러한 예들은 네트워크 국가의 정당성이 기존 국가가 무시하거나 잘못 다루는 도덕적 또는 정책적 틈새를 채우는 데서 비롯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또한 1장과 2장이 어떻게 상호 연결되는지 보여줍니다: 1장은 네트워크 국가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시했고, 2장은 활력을 불어넣는 정신(사명 또는 대의)을 제공합니다. 스리니바산의 견해는 성공적인 새로운 국가는 기술적 노하우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건강, 언론, 거버넌스 등)를 식별하고 해결책을 열정적으로 원하는 사람들을 결집시키는 "도덕적 기업가 정신" 에서 탄생할 것이라는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2장은 철학적 기반을 마련합니다: 국가가 선별된 역사로부터 도덕적 권위를 어떻게 도출하는지 비판하고, 인터넷 시대에는 그러한 서사가 무너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뉴스가 가짜라면... 역사는?"). 그런 다음, 새롭고 인터넷 기반의 커뮤니티가 기술(블록체인, 암호화)을 사용하여 진실과 신뢰를 확립할 수 있지만, 명확한 도덕적 제안을 통해 의미도 제공해야 한다고 가정합니다. 이는 다음 장들에서 더 현대적인 분석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며, 현재의 지정학적 "순간"과 네트워크 국가를 위한 공간을 만드는 미래 시나리오를 설명합니다.

3장: 3극 체제 – 미국, 중국, 비트코인의 경쟁 세력

2장이 새로운 국가를 정당화하기 위해 과거를 돌아봤다면, 3장은 현재의 세계 질서를 분석하며, 우리가 세 개의 주요 세력이 세계적 영향력을 두고 경쟁하는 "3극" 체제에 있다고 주장합니다. 스리니바산은 이 세 극점을 다음과 같이 식별합니다: (1) 미국 기득권층(과 그에 수반되는 미디어/문화 이데올로기), (2) 중국 공산당(권위주의적 국가 자본주의), 그리고 (3) 분산형 암호화폐 네트워크(비트코인과 웹3 커뮤니티로 대표됨). 각각은 서로 다른 조직 원칙을 대표합니다 – 각각 "워크 자본주의" 또는 자유 민주주의(스리니바산은 현재의 궤적에 비판적이지만), 공산주의/국가 자본주의, 그리고 분산형 기술 자본주의입니다. 이 장의 핵심 주장은 사실상 모든 사람이 이 세 권력 중심 사이에서 길을 찾아야 할 것이며, 그들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보편적으로 매력적인 미래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이 맥락은 네트워크 국가가 채울 수 있는 공백(네 번째 대안 또는 중립 지대)을 보여주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또한 "도덕적 힘 대 군사적 힘 대 금전적 힘" 과 같은 개념적 프레임워크와 각 영역에서 정당성이 어떻게 획득되는지를 소개합니다.

세 극점 – NYT, CCP, BTC: 스리니바산은 종종 이 극점들을 약칭으로 부릅니다. 기억에 남는 표에서 그는 다음을 비교합니다:

  • "NYT"(뉴욕 타임스) 세력 – 미국 기득권층. 여기서 "NYT"는 미국과 동맹국에서 서사와 정책을 형성하는 서구 미디어 및 제도적 엘리트를 의미합니다. 그는 이를 "워크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라고 부릅니다: 자본주의 경제와 진보적(때로는 검열적인) 사회적 가치의 혼합이며, 미군력(그가 냉소적으로 표현한 "드론 공습 민주주의")과 결합되어 있습니다. 이 극점의 진실의 원천은 "뉴욕 타임스"입니다 – 즉, 주류 미디어와 학계가 무엇이 진실이고 수용 가능한지를 정의합니다. 그 경제는 미국 달러(USD)로 운영되며, 그 정당성은 자유 민주주의적 주장에 기반합니다(스리니바산은 이것이 대체로 책임지지 않는 관료제가 되었다고 주장하지만).
  • "CCP" 세력 – 중국의 일당 독재 국가. 그 진실의 원천은 "당"(하향식 지시와 검열된 정보)입니다. 그 경제는 통제된 위안/RMB 시스템입니다. 그 이데올로기는 중앙집권적 또는 민족주의적 자본주의(명목상 공산주의지만, 사실상 한족 민족주의와 국가 주도 시장 경제)입니다. 이 극점은 군사적 힘(하드 파워, 감시, 영토 통제)과 민족주의적 단결을 강조합니다. 스리니바산은 이를 네트워크로도 묘사합니다 – 은 약 9,50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사회에 스며들어 있고 심지어 가입하기 위해 엄격한 신청 절차(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에세이, 후원자 보증, 수습 기간)를 요구하는 "네트워크"입니다. 사실상, CCP는 그것이 통제하는 중국 국가와는 구별되는 거대한 이데올로기적 연합과 같습니다 – 그래서 그는 이를 단순한 국가 기구가 아닌 "군사적 네트워크"라고 부릅니다.
  • "BTC" 세력 – 암호화폐 및 웹3 생태계. 그 진실의 원천은 "프로토콜"입니다 – 오픈소스 블록체인 합의(원장이 말하는 것이 진실). 그 경제는 암호화폐(비트코인이 가장 중요하지만 다른 것들도 포함)입니다. 그 이데올로기는 분산형 디지털 자유지상주의이며, 스리니바산은 이를 중립적이거나 "인종을 초월한 자유지상주의" 로 규정합니다(누구나 가입할 수 있고, 시스템은 인종이나 국적을 보지 않기 때문). 이 극점은 금전적 힘을 핵심으로 합니다 – 국가가 보유한 화폐 창출 및 거래 독점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미디어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그는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커뮤니티가 자체 뉴스 채널, 소셜 네트워크, 인플루언서를 만들기 시작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NYT와 같은 기관과 여론 형성에서 경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합니다.

스리니바산의 3극 모델은 단극 또는 양극 냉전 세계에서 새로운 권력의 삼각형으로의 전환을 강조하는 개념적 프레임워크입니다. 1990년 소련 붕괴 후, 세계는 미국 하의 단극 체제였습니다. 이제(2020년대), 그는 미국 내부조차 "양극"(두 국내 세력으로 분열)이며, 세계는 3극 체제라고 말합니다. 미국의 국내 분열은 중요합니다: 미국 기득권층 자체가 두 날개를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하나는 "NYT/워크" 세계관에 더 가깝고, 다른 하나는 암호화폐, 분산형 정신에 동조하는 쪽(기술 자유지상주의자, 비트코인 애호가 등)입니다. 이는 나중에 그 두 비전 사이에 미국 내부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그의 주장을 예고합니다.

도덕적, 군사적, 금전적 힘: 역사적 비유에서 스리니바산은 현재의 삼각 구도를 20세기에 수행된 역할과 비교합니다. 그는 1900년대에 다음과 같이 주장합니다: "도덕적 힘은 소련이었고, 금전적 힘은 미국이었으며, 군사적 힘은 나치였다". 즉, 공산주의는 이데올로기적/도덕적 매력(적어도 일부에게는 정의의 이념으로서)을 휘둘렀고, 미국은 재정적 힘을, 그리고 나치 독일은 비극적으로 순수한 군사력을 휘둘렀습니다. 이 세 가지 모두 국가였습니다. 오늘날, 그는 "이 힘들은 네트워크다" 라고 말합니다:

  • 도덕적 힘으로서의 NYT 주도 네트워크: 이것은 국가가 아니라 미디어, 대학, NGO의 복합체입니다 – 도덕적 권위(예: 인권, 민주주의 수사)를 주장하고 여론을 형성하여 정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네트워크입니다. 스리니바산은 뉴욕 타임스(주류 미디어를 상징)를 진실과 미덕의 중재자로서 "정부를 책임지게 하는" "도덕적 네트워크" 로 묘사합니다. 그러나 그는 "그들의 기사는 사실이 아니라 도덕적" 이라고 비판하며 – 활동가적 편향을 암시 – NYT 주도의 캔슬 캠페인을 소련의 이데올로기적 숙청에 비유합니다("소련이 '더 큰 선을 위해' 삶을 파괴했듯이 '민주주의를 위해' 캔슬한다").
  • 군사적 네트워크로서의 CCP: CCP가 명백히 국가(중국)를 통제하지만, 스리니바산은 그것이 일반적인 정부 관료제를 초월하는 네트워크화된 조직처럼 운영된다고 강조합니다. 거의 1억 명의 회원이 모두 이데올로기에 서약한 상태에서, 이는 모든 회사, 지역, 심지어 해외에도 세포를 가진 당-네트워크입니다. CCP는 강렬한 충성을 요구하며, 일반적인 정당보다는 거대한 조합이나 형제회처럼 구조화되어 있습니다(그는 상세한 신청 절차로 이를 설명합니다). 그는 시진핑 하에서 매우 군사 및 통제 중심이 되어 하드 파워와 감시 국가를 구축했기 때문에 오늘날의 "군사적 힘" 이라고 명명합니다.
  • 금전적 네트워크로서의 비트코인/암호화폐: 비트코인은 단지 코드로 시작했지만, 리더가 없고 국경이 없지만 프로토콜에 의해 정렬된 글로벌 커뮤니티를 낳았습니다 – 진정한 네트워크입니다. 그 힘은 **돈(금융)**에서 시작되었지만 미디어와 기술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스리니바산은 비트코인이 암호화폐 분야의 많은 회사와 크리에이터들이 콘텐츠를 만들고, 밈(자유에 대한 비트코인 커뮤니티의 서사와 같은)을 전파하며, 주류 미디어 보도에 도전함에 따라 "미디어 네트워크가 되어가고 있다" 고 지적합니다. 장기적으로 이 네트워크는 금융적 인센티브와 정보 배포를 결합하기 때문에 영향력 면에서 "NYT를 능가할 수도 있다" 고 그는 제안합니다.

삼각 구도를 제시한 후, 스리니바산은 각각이 어떻게 자신을 정당화하고 어떻게 충돌하는지 탐구합니다. **3.5절 "복종, 동정, 주권"**에서 그는 각 세력의 설득 방식 또는 권력 이데올로기를 요약합니다:

  • CCP의 메시지는 (특히 국내적으로) 본질적으로 "나에게 복종하라, 내가 더 강력하다" 입니다. 이것은 순수한 힘과 권위입니다 – 힘과 안정/번영 제공(자유를 희생하여)을 통한 정당성입니다. 이것은 직설적인 권위주의적 거래입니다.
  • NYT/워크 메시지"당신은 유죄(압제자)이므로, 희생자들에게 동정하고 양보해야 한다" 입니다. 이것은 도덕적 복종을 요구하는 사회 정의 또는 "워크" 논리를 요약합니다: 서구 사람들은 특정 집단에 권한을 부여하고 다른 집단을 침묵시킴으로써 다양한 역사적 또는 정체성 기반의 불의에 대해 속죄하라고 듣습니다. 스리니바산은 이것을 도덕화와 수치심을 통한 통제의 한 형태로 보며, CCP의 접근 방식과는 정반대이지만, 마찬가지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도덕적 서사에 대한) 복종을 요구합니다.
  • BTC/암호화폐 정신"자신에게 힘을 실어주고 통제에서 벗어나라 – 개인으로서 주권을 주장하라" 입니다. 이것은 다른 두 가지와 거의 정반대입니다: CCP가 복종을 원하고 NYT 세력이 회개를 원하는 반면, 암호화폐 세계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운명에 책임을 지라고 말합니다(자신의 키를 보유하고, 자신의 은행이 되고, 검열 불가능한 플랫폼에서 자유롭게 말하라). 이것은 매우 자유지상주의적인, "나를 밟지 마라" 는 이상적인 주권이며, 특히 다른 두 극점에 의해 억압받는다고 느끼는 사람들에게 매력적입니다.

이렇게 다른 가치관을 감안할 때, 갈등은 불가피합니다. **3.6절 "갈등과 동맹"**에서 스리니바산은 이 극점들이 어떻게 충돌하거나 동맹을 맺을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 그는 각 블록에도 내부 반대자가 있음을 인정합니다: 예를 들어, NYT 진영 내에서, 모든 서구인이 "워크"는 아닙니다 – 캔슬 컬처를 싫어하는 온건한 자유주의자나 자유지상주의자들이 미국에 있습니다(그는 그들을 "비-워크 민주당 유권자" 라고 부릅니다). 중국 내에서, 수십 년 전의 더 개방적인 중국(시진핑의 강경 노선 이전)을 선호했던 자본가나 자유주의자들이 있습니다. 암호화폐 내에서, 극단주의자가 아닌 사람들이 있습니다(그들은 비트코인을 보유하지만 일부 기관도 신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하위 세력들은 변화하는 동맹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는 미국-중국 양강 구도 밖의 많은 국가나 그룹이 한쪽을 선택하라는 압력을 받을 것이며 – 만약 둘 다 거부한다면, 기본적으로 "자연스럽게 BTC에 합류할 것" 이라고 가정합니다. 이것은 4장의 "국제적 중도" 동맹 아이디어를 예고합니다. 우리는 이미 희미한 조짐을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소규모 국가들(엘살바도르나 특정 동유럽 및 아프리카 국가들)은 두 초강대국의 시스템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비트코인이나 분산 기술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스리니바산은 본질적으로 제3의 극점(분산 네트워크)이 미국 주도 또는 중국 주도 질서를 원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피난처나 집결지가 되는 재편성을 예측하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3장은 네트워크 국가가 지지자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무대를 설정하기 위해 지정학적 분석을 사용합니다. 세계는 더 이상 단일한 자유 민주주의 모델 아래 통합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것은 (적어도) 세 가지 비전으로 분열되고 있으며, 이 혼란은 스타트업 사회를 위한 기회를 만듭니다. 특히, 스리니바산의 프레임은 미국 기득권층을 중국 정권을 비판하는 것과 유사한 비판적인 시각으로 묘사합니다 – 그는 둘 다 궁극적으로 순응을 요구하는 패권 세력(하나는 소프트 파워와 도덕주의를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감시와 민족주의를 사용)으로 봅니다. 이것은 반복되는 주제를 강조합니다: 탈출 대 목소리. 미국 대 중국(또는 좌파 대 우파) 전투에서 한쪽 편을 드는 대신, 스리니바산은 새로운 시스템으로 탈출하는 것을 옹호합니다 – 암호화폐 기술로 가능한 선택적 사회를 건설하는 것입니다. 3장의 3극 세계 묘사는 그것을 위한 전략적 배경입니다: 동양과 서양 모두에 불만족하는 사람들은 "탈출" 옵션을 찾을 것이며, 네트워크 국가는 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4장: 분산화, 재중앙화 – 미래 시나리오와 새로운 중심을 위한 주장

4장에서 스리니바산은 미래로 눈을 돌려, 3장에서 설명된 긴장이 어떻게 전개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한 시나리오를 탐구합니다. "분산화, 재중앙화"라는 제목은 핵심 통찰을 반영합니다: 역사는 낡은 국민 국가 현상 유지로부터 권력이 분산되는 단편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새로운 구조 – 잠재적으로 네트워크 국가 – 를 중심으로 한 "재중앙화" 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는 다양한 미래(미국의 무정부 상태, 중국의 통제 등)를 묘사하고, 미국 워크주의와 중국 권위주의를 모두 거부하는 사람들의 새로운 중도적 연합인 "국제적 중도" 라는 개념을 소개합니다. 이 "중도"는 본질적으로 새로운 세계 질서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국가 또는 동맹 정치체의 연합을 예고합니다. 이 장은 사변적인 사고 실험으로 가득 차 있지만, 모두가 세계적인 격변 속에서 왜 새로운 분산 국가를 건설하는 것이 필요하고 가능한지를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나가 아닌 여러 미래: 스리니바산은 결정론적 미래학자들과 달리, 결과는 인간의 행동에 달려 있기 때문에 많은 "가능한 미래" 를 본다고 서두에 밝힙니다 – "우리는 그것을 건설할 힘이 있다". 그는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네 가지 요인을 인용하며 선형적 예측에 대해 경고합니다:

  • 변동성: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는 높은 사회적 변동성(트렌드, 공황, 운동이 갑자기 급증할 수 있음)을 도입했고, 암호화폐는 높은 경제적 변동성을 도입했습니다. 따라서 급격한 변동이나 예상치 못한 사건(예: 바이럴 동원, 시장 붕괴)이 더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시: 해시태그 하나가 하룻밤 사이에 전국적인 시위를 촉발하거나, 암호화폐 붕괴가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미래를 덜 예측 가능하게 만드는 와일드카드입니다.
  • 재귀성: 시스템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이 시스템에 다시 피드백됩니다. 모두가 혼란을 예상하면, 혼란을 야기하는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습니다(자기실현적 예언). 사람들이 정부의 단속을 예상하면, 선제적으로 탈출하여 단속을 유발하는 바로 그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 루프는 직설적인 예측을 더 어렵게 만듭니다 – 어떤 예측이든 그것을 듣는 사람들의 행동을 바꿀 수 있습니다.
  • 경쟁하는 곡선: 여러 기술과 사회 운동이 동시에 발전하고 있습니다 – 네트워크 국가가 유일한 해결책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어쩌면 AI, 또는 강력한 AI가 지배하는 국가, 또는 다른 예상치 못한 혁신이 대신 지배할 수도 있습니다. 스리니바산은 네트워크 국가가 필연이 아니라 많은 경쟁자 중 하나임을 인정합니다.
  • 예측 가능성의 한계: 물리학이나 폐쇄 시스템을 제외하고, 사회적 예측은 위험이 따릅니다. 그는 "모든 모델은 틀렸지만, 일부는 유용하다" 는 격언을 되풀이하며, 그의 시나리오를 확실성이 아닌 스케치로 취급해야 함을 암시합니다.

이러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그는 추세를 식별합니다: 세 극점(미국, 중국, 암호화폐)의 충돌과 혼란 속에서 네트워크 국가의 부상. 즉, 세계적인 변동성이 낡은 질서를 흔들 수 있고, 네트워크 국가와 같은 것이 새로운 형태로 안정을 재중앙화할 수 있습니다. 그는 이 부상하는 극점을 "재중앙화된 중심" 또는 "국제적 중도" 라고 부릅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기존 초강대국의 양극단을 피하고 싶은 모든 사람을 포함합니다. 여기에는 특정 국가, 조직, 개인이 포함되며, 이들은 자유, 기술 발전, 자발적 결사를 중시하는 새로운 거버넌스 모델을 중심으로 뭉칠 수 있습니다(다른 극점에서 요구하는 강압이나 이데올로기적 순응과는 대조적으로). 이러한 이질적인 행위자들을 통합하는 방법은 더 나은 것을 혁신하는 것이라고 그는 말합니다 – 효과적으로 미국/중국 모델을 능가하는 긍정적인 비전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 긍정적인 비전이 바로 스리니바산의 관점에서 네트워크 국가가 구현하는 것입니다: 중국보다 더 큰 민주주의(또는 자발적 진입/탈출)와 분열된 미국보다 더 큰 문화적 응집력 및 기술적 역량을 가진 사회입니다.

변화의 동인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스리니바산은 두 세트의 "축": 사회정치적 축과 기술경제적 축을 소개합니다. 이것들은 낡은 좌우 정치나 동서 지리에 명확하게 매핑되지 않는 새로운 분열을 검토하는 렌즈입니다:

  • 사회정치적 축: 그가 드는 한 예는 "국제적 인도인" 입니다 – 인도의 부상을 강조합니다. 인도는 빠르게 현대화되고 있으며, 많은 기술 기업가를 배출하고 있고, 서구에 5백만 명의 강력한 디아스포라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종종 매우 영향력이 있습니다. 그는 인도(와 그 국외 거주자들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새로운 연합에서 핵심 플레이어가 될 것이라고 제안합니다. 이것은 인도가 미국이나 중국 어느 쪽에도 완전히 동조하지 않고, 잠재적으로 제3의 길로 기울거나 중도 연합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또 다른 사회정치적 축은 트랜스휴머니스트 대 아나코-원시주의자입니다: 본질적으로, 인류의 기술적 변형을 열정적으로 수용하는 사람들(바이오해커, AI 애호가, 세계경제포럼 유형) 대 더 단순한 삶으로 돌아가기 위해 현대 기술을 거부하는 사람들(생태-급진주의자, 아미쉬와 같은 운동)입니다. 특히, 두 진영 모두 좌파와 우파 변종이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좌우 스펙트럼이 이 문제에 대해 뒤섞여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좌파-트랜스휴머니스트는 기술관료적 통제를 추진할 수 있는 반면(일부 WEF 아이디어처럼), 우파-트랜스휴머니스트는 자유지상주의적 바이오해커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우파 아나코-원시주의자는 생존주의자일 수 있고, 좌파는 반기술 녹색 운동가일 수 있습니다. 이를 언급함으로써, 스리니바산은 국적을 초월하는 새로운 이데올로기적 분열이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전 세계 사람들이 기술의 궤적에 동조하거나 반대합니다. 네트워크 국가는 이러한 철학 중 하나에 명시적으로 부응할 수 있습니다(유전자 편집 자유를 실험하는 트랜스휴머니스트 네트워크 국가, 또는 특정 기술을 금지하는 신-러다이트 네트워크 국가를 상상해보십시오). 마지막으로, 그는 정체성 스택 개념을 소개합니다: 각 개인은 여러 층의 정체성(국적, 종교, 도시, 직업, 취미,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가지고 있지만, 하나가 그들의 주요 충성심으로 지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동성이 높고 네트워크화된 삶의 시대에, 그 주요 정체성은 더 이상 그들의 국가가 아닐 수 있습니다 – 그것은 온라인 커뮤니티, 이데올로기, 또는 다른 것일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은 적어도 한 가지에 대해 애국심을 가지고 있다" 고 그는 씁니다 – 그것이 국가이든, 비트코인이든, 하위문화이든. 스타트업 사회가 성공하려면, 누군가의 정체성 스택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해야 합니다 – 이상적으로는 그들의 최상위 정체성이 되어야 합니다("나는 무엇보다도 X 네트워크 국가의 시민이다"). 이것은 하나의 계명 아이디어와 연결됩니다: 강력한 도덕적 대의는 네트워크 국가를 구성원들의 마음속에서 그들의 낡은 국적을 넘어 주요한 중요성으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 기술경제적 축: 여기서 스리니바산은 기술(특히 인터넷)이 결과의 변동성을 어떻게 증폭시키고 있는지 논의합니다 – 우리는 사회적으로나 재정적으로 더 큰 호황과 불황을 겪습니다. "인터넷은 모든 것의 분산을 증가시킨다". 그는 소셜 미디어의 효과를 소련의 글라스노스트(갑작스러운 언론의 자유) 정책에, 암호화폐의 효과를 페레스트로이카(시장 자유화)에 비유합니다 – 이 개혁들은 소련에 불안정을 도입하여 궁극적으로 붕괴에 기여했습니다. 비유적으로, 인터넷의 개방성과 자유는 오늘날의 경직된 기관들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이 기관들은 그렇게 많은 정보와 자본의 자유로운 흐름을 처리하도록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실제로, "인터넷 이전에 태어난 기관 중 살아남을 것은 거의 없다" 고 그는 선언합니다, 왜냐하면 디지털 세계가 이제 주요하고 많은 기존 구조들이 디지털 압력 하에 무너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 가지 인상적인 구절: "이제는 단지 원격 근무가 아니라, 원격 생활이다." 팬데믹은 교육, 업무, 상업, 심지어 거버넌스까지 대부분 온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 즉, 지리가 덜 결정적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는 2020년까지 본질적으로 모든 부문(의료, 정부, 교육과 같이 디지털화에 저항했던 부문조차)이 COVID로 인해 온라인으로 전환해야 했다고 지적합니다. 이것은 "모든 가치는 디지털" 이거나 적어도 디지털로 매개된다는 추세를 가속화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역설을 관찰합니다: 발전된 기술에도 불구하고, 물리적 세계의 생산성은 정체되거나 심지어 감소했습니다(예: 건설은 더 느려지고, 인프라 프로젝트는 관료주의에 발목 잡혀 있습니다). 그는 이 "대정체" 에 대한 이론들을 나열합니다:

    • 대분산: 우리는 한 분야에서 기술로 시간을 절약하지만, 소셜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에 낭비합니다.
    • 대소실: 규제 및 준수 부담이 모든 이익을 잠식합니다(많은 서류 작업, 법적 절차).
    • 대딜레마: 문화와 법은 이제 무언가를 짓기 전에 수년간의 연구와 절차를 요구하여(과도한 신중함), 혁신을 늦춥니다.
    • 대우둔: 우리는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기관들이 어리석은 결정을 내립니다(예: 중국이 9시간 만에 기차역을 짓는 것과 서구 프로젝트가 수년이 걸리는 것을 대조).
    • 대지연: 아마도 이익은 실재하지만 완전히 실현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것일 수 있습니다 – 우리가 모든 것을 자동화하면 생산성이 급증하겠지만, 우리는 전환기에 있습니다.

    이 논의는 다소 부수적이지만, 새로운 거버넌스 접근 방식이 왜 필요한지를 강화합니다: 아마도 현재 정부들이 관료주의와 낡은 규칙으로 대소실과 대지연을 야기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새로 시작하는 네트워크 국가는 효율성을 최적화하고 기존의 관성을 타파함으로써 첨단 기술 생산성의 약속을 실제로 실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들이 좌절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 그들은 기술적 진보를 느끼지만 일상생활(저렴한 주택, 더 빠른 교통 등)에서는 보지 못하며, 이는 정치적 환멸로 이어집니다. 네트워크 국가는 다르게 일을 처리하는 시험장이 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낡은 규제를 우회하여 초현대적인 인프라를 단시간에 건설하는 헌장 도시, 또는 R&D를 더 빨리 조정하는 클라우드 커뮤니티.

이러한 축들을 분석한 후, 스리니바산은 4.5절과 4.6절에서 명시적인 시나리오로 넘어갑니다:

미국의 무정부 상태, 중국의 통제, 국제적 중도 (4.5절): 그는 세 가지 큰 시나리오를 그립니다:

  1. 미국의 무정부 상태: 미국은 극심한 양극화와 제도적 쇠퇴로 인해 내전으로 치달을 수 있습니다 – 본질적으로 두 번째 내전입니다. 그는 그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합니다: 양극화가 최고조에 달했고, 연방 권위는 불신받고 있으며, 경제 상황은 악화되고 있고, 소셜 미디어는 시기와 증오를 증폭시키며, 주들(적색 주 대 청색 주와 같이)은 연방 명령에 점점 더 반항하고 있습니다. 특히 흥미로운 점: 그는 파산한 미국 정부에 의한 비트코인 압수가 갈등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만약 미국이 (달러를 지탱하거나 통제를 위해) 암호화폐를 불법화하거나 몰수하려 한다면, 암호화폐에 동조하는 시민들은 말 그대로 반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 중 다수는 재정적 자유에 깊이 이념적으로 헌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의 프레임에서, "워크 국가"(기득권층)와 "비트코인 극단주의자" 는 상황이 심각해지면 충돌 과정에 있습니다. 이것은 추측이지만, 암호화폐 네트워크(3장의 3번 극점)가 미국 영토 내에서 미국 극점과 직접적인 갈등을 겪을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스리니바산은 분명히 이 폭력적인 결과를 피하고 싶어하지만(그래서 평화로운 탈퇴 네트워크 국가를 건설하자는 것), 그것이 가능하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2. 중국의 통제: 중국에서는 정반대지만 똑같이 디스토피아적인 결과를 상상합니다 – 완전한 기술-전체주의. 아마도 쿠데타 시도나 내부 불안으로 촉발되어, CCP는 훨씬 더 강하게 단속하고, 국가를 고도의 감시, AI 기반 독재 체제로 잠그고, 그 모델을 해외로 수출합니다. 그는 징후를 나열합니다: 시진핑은 이미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경쟁자들을 숙청했습니다(홍콩의 자유주의자들부터 부패한 관리들, 기술 억만장자들까지 – 당이 어떤 도전도 용납하지 않음을 보여줌). 중국은 포괄적인 감시 스택(동결될 수 있는 의무적인 디지털 위안, 이동을 통제하는 건강 QR 코드, 카메라와 안면 인식을 포함한 "스마트 시티" 키트)을 개발해 왔으며, COVID 봉쇄 기간 동안 이를 시험했습니다. 만약 이 아키텍처가 고정되고 "다른 국가에 판매된다면", 전 세계의 많은 권위주의 성향 정부들이 중국의 감시 기술과 방법을 채택할 수 있습니다(일부는 이미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는 지구의 넓은 지역이 CCP 프랜차이즈처럼 운영되는 것입니다 – 자유에 대한 악몽입니다. 스리니바산은 반전을 지적합니다: 중국 인구는 증가하는 민족주의 때문에 이 결과를 수용할 수 있습니다(그들은 과거보다 지금 정부를 더 신뢰함), 그래서 외부적으로는 무섭지만 내부적으로는 적어도 한동안은 안정적일 수 있습니다.

  3. 국제적 중도: 이것은 스리니바산이 선호하는 시나리오입니다 – 시나리오 1이나 2를 원하지 않는 모든 사람들로 구성된 세 번째 그룹이 등장합니다. 그는 이를 "재중앙화된 중심" 또는 간단히 "II"(국제적 중도) 라고 부릅니다. 여기에는 특정 국가들(잠재적으로 인도, 유럽 일부, 라틴 아메리카나 아프리카 일부), 전 세계 수백만 명의 개인들, 그리고 결정적으로 건설 중인 네트워크 국가와 스타트업 사회가 포함될 것입니다. 그들은 무정부 상태의 혼란과 독재의 억압을 모두 피하는 다른 질서를 지지하기 위해 연합합니다. 이것은 새로운 비동맹 운동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수동적인 대신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적극적입니다. 네트워크 국가 개념은 그들이 구축하는 것의 청사진을 제공합니다: 법치, 권리, 기술적 정교함을 갖춘 새로운 커뮤니티이지만, 미국과 중국 시스템의 부담은 없습니다. 스리니바산은 이것을 순수한 분산화(그는 일종의 무정부 상태와 동일시함)가 아니라, 더 나은 중심을 중심으로 한 "재중앙화" 로 규정합니다. 즉, 단편화 기간 후에 인간은 여전히 거버넌스와 응집력을 추구할 것입니다 – 목표는 그 새로운 중심들이 19세기 국경에 의해 정의되는 대신, 선택적이고 네트워크 기반이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승리 조건과 놀라운 결말 (4.6절): 다음으로, 스리니바산은 각 주요 플레이어가 어떻게 "승리"할 수 있는지 또는 예상치 못한 동맹이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지 추측합니다:

  • 미국 기득권층의 승리는 서구 자유주의 질서가 내부 갈등 후에도 다시 자리를 잡고 세계적 리더십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서구는 항상 이겼다... 다시 이기지 않을 이유가 없다" 고 그는 비꼬아 말합니다. 이것은 미국이 내부 무정부 상태와 기술적 도전을 극복한다고 가정합니다.
  • CCP의 승리는 중국이 지배적인 초강대국이 되어 내향적으로 변하고, 부유하지만 폐쇄적인 제국을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는 "럭셔리 공산주의" 를 언급합니다 – 진보된 자동화가 CCP가 정치적 자유 없이 높은 생활 수준을 제공하게 하여 그들의 모델을 매력적이거나 적어도 지속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는 아이디어입니다. 로봇(AI에 의해 지시됨)이 노동자를 대체하고, 국가가 풍부한 상품을 할당하여, 완전한 통제와 함께 번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 AI가 새로운 중앙 계획자인 공상 과학 버전의 공산주의입니다.
  • 놀라운 동맹: 그가 제기하는 한 가지 놀라운 가능성은 "CCP와 미국 기득권층이 BTC를 막기 위해 협력한다" 입니다. 이것은 두 오랜 라이벌이 공동의 위협에 맞서 팀을 이루는 것과 같습니다(그는 이를 걸프전에서 이라크를 물리치기 위해 미국과 소련이 잠시 동맹을 맺은 것에 비유합니다).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 워싱턴과 베이징이 모두 무국적 암호화폐를 위협으로 보고, 이를 무력화하기 위해 가혹한 글로벌 규제나 기술적 조치에 대해 협력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습니다. 만약 두 주요 강대국이 암호화폐 거래소를 폐쇄하고, 채굴을 공격하는 등에 동의한다면, 암호화폐 네트워크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비록 그 분산된 특성이 바로 그러한 단속에 저항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이 시나리오는 두 거대 리바이어던이 신흥 제3세력을 억누르기 위해 화해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 놀라운 결과: "BTC는 인간의 전쟁을 끝내지만, 로봇 전쟁은 끝내지 못한다." 이 상상력 풍부한 반전은 다음과 같이 제안합니다: 만약 비트코인(암호화폐의 약칭)이 세계 화폐가 되면, 국가는 전쟁을 위해 돈을 찍어내거나 군대를 지원하기 위해 자금을 압수할 수 없게 되어, 잠재적으로 인간의 갈등을 줄일 수 있습니다(돈이 없으면 전쟁도 없음). 그러나 국가나 그룹은 그 후 자율 로봇 군대(급여나 전통적인 물류가 필요 없음)를 만들고 여전히 싸울 수 있으며, 이는 전쟁이 다른 형태로 계속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드론, 직접적인 인간 병사 없이 싸우는 AI 봇). 이것은 기술이 갈등의 본질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한 미래학적 고찰입니다.

마지막으로, **4.7절 "재중앙화된 중심을 향하여"**에서 스리니바산은 해답이 혼란에 빠지거나 모든 기관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은 기관을 건설하는 것이라고 결론짓습니다. "우리 기관들은 실패하고 있다. 우리에게는 기관이 없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기관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네트워크 국가다.". 이 구절은 반복되는 주제를 요약합니다: 그는 순수한 허무주의나 무정부주의를 거부합니다 – 인간은 여전히 거버넌스, 커뮤니티, 질서("기관")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실패하고 있는 낡은 국민 국가 기관들(부패, 당파성, 느림 때문에) 대신, 우리는 디지털 시대에 맞는 새로운 기관을 만들어야 합니다. 네트워크 국가는 바로 그것으로 제시됩니다: 재창조된 거버넌스 기관, 민간 주도로 건설되고, 기술적 도구를 통합하며, 도덕적 원칙을 중심으로 한 자발적인 사회 계약에 기반합니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모든 시나리오에 대한 그의 대답입니다: 상황이 어떻게 되든, 네트워크 국가를 혼합에 포함시키는 것은 회복력을 제공합니다. 만약 미국이나 중국이 흔들리면, 네트워크 국가는 부분적으로 진보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만약 미국과 중국이 폭압적이 되면, 네트워크 국가는 탈출과 실험을 제공합니다. 만약 둘 다 강하게 남아 있다면, 네트워크 국가는 여전히 주변부에서 혁신하고 잠재적으로 개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4장은 현재와 미래를 연결합니다: 3장의 3극 긴장을 가져와 "다음은 무엇인가? 최악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라고 묻습니다. 스리니바산의 대답은 네트워크 국가의 재중앙화된 중심입니다 – 본질적으로 많은 정렬된 스타트업 사회로 구성된 새로운 평화로운 초강대국입니다. 이것은 5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며, 5장은 현재의 국민 국가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국가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내용으로 더 깊이 들어갑니다. 상호작용은 명확합니다: 3장과 4장은 거시적인 (세계는 격변 속에서 새로운 해결책이 필요하다)를 제시했고, 이제 5장은 구조적 수준에서 어떻게를 제시할 것입니다.

5장: 국민 국가에서 네트워크 국가로 – 낡은 시스템을 새로운 시스템으로 대체하기

마지막 장은 책의 제안들을 종합하고 국민 국가의 낡은 세계와 네트워크 국가의 새로운 세계를 대조합니다. 이것은 국민 국가가 무엇이며 왜 그런 모습인지 설명하는 서술적인 동시에, 네트워크 국가가 어떻게 다르며 왜 그 후계자가 될 수 있는지 설명하는 처방적이기도 합니다. 스리니바산은 두 시대(산업 시대 대 정보 시대)의 주권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효과적으로 공식화합니다. 그는 또한 실제로 네트워크 국가를 만드는 청사진을 요약하며, 1장의 빠른 시작으로 돌아가지만 이제는 완전한 철학적, 지정학적 맥락이 확립된 상태입니다.

왜 지금인가? 스리니바산은 먼저, 왜 지금이 새로운 국가를 시작하려는 시도를 할 때인지 묻습니다. 그는 정의로 돌아갑니다: 국민 국가란 무엇인가? 그리고 역사는 왜 우리가 오늘날 가지고 있는 국민 국가 시스템을 만들어냈는가?. 이를 분석함으로써, 그는 네트워크 국가가 재설계할 국민 국가의 강점과 제약을 모두 식별합니다.

국민 국가의 정의: 그는 기본적인 정의를 제시합니다(브리태니커 인용): "국민 국가는 영토적 정치체로서, 국민으로 식별되는 시민 공동체의 이름으로 통치된다." 더 간단히 말해, 정부와 (아마도) 공통의 정체성이나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을 가진 지도상의 국가입니다. 결정적으로, 그것은 지리에 묶여 있습니다. 스리니바산은 국민 국가 시스템(국가들의 세계 질서)이 특정 규칙을 가진 클럽처럼 운영된다고 강조합니다. 그는 현대 국제 질서를 정의하는 여덟 가지 규칙을 열거합니다(이것들은 저자 조슈아 키팅의 국가 "클럽 규칙" 설명에서 가져온 것으로, 스리니바산이 인용하고 의역합니다):

  • (1) 국경은 상호 인정된다. 각 국가는 정의된 영토를 가지며, 다른 국가들은 그 경계를 존중하기로 동의한다.
  • (2) 국가는 국경 내에서 무력 독점을 주장하는 국가(정부)와 거주 인구(시민)를 가져야 한다.
  • (3) 육지의 모든 지점은 어떤 국가에 의해 소유된다. 지구의 육지에는 미지의 땅이 남아 있지 않다 – 빈 공간이 없으며, 모두 분할되어 있다.
  • (4) 모든 사람은 적어도 하나의 국가의 시민이다. 이론적으로, 무국적은 예외적인 경우이며, 모든 사람은 시스템에 속해 있고, 국적을 갖는 것을 거부할 수 없다.
  • (5) 모든 국가는 법적으로 서류상으로는 주권적으로 평등하다. 작은 투발루와 거대한 중국은 국제법상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UN에서 한 국가, 한 표 등), 비록 힘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 (6) 피치자의 동의는 선호되지만 필수는 아니다. 민주주의 국가와 독재 국가 모두 여전히 국가로 인정된다. 정권이 비민주적이거나 도덕적으로 실패했다고 해서 국가 자격을 잃지는 않는다. 인권 유린이나 폭정으로 인해 "국가 클럽"에서 쫓겨나지는 않는다(예를 들어, 북한은 여전히 국가이다).
  • (7) 무력에 의한 국가 소멸은 없다(2차 세계대전 이후 규범). 국가들이 서로 침략할 수는 있지만, UN이 인정한 다른 국가를 완전히 소멸시키거나 합병하는 것은 규범이 아니다. 국경은 드물게 움직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쟁조차도 국가의 지위를 파괴하지는 않는다(예: 쿠웨이트는 이라크에 점령되었지만 쿠웨이트로 인정받았다). "클럽"은 지도를 다시 그리는 노골적인 정복이나 분리 독립을 매우 꺼린다.
  • (8) 새로운 국가는 없다(국경 고정). 현재의 국가와 국경 집합은 대부분 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분리 독립이나 새로운 국가 형성은 권장되지 않는다. 국제 사회는 일반적으로 분리주의 운동에 반대한다(따라서 탈식민지화나 상호 합의를 제외하고는 새로운 국가가 드물다).

이러한 규칙들은 국민 국가 시스템의 관성을 보여줍니다. 스리니바산은 이 규칙들이 UN과 같은 기관과 주요 강대국(특히 "지도학적 정체 상태" – 얼어붙은 지도 – 를 보증하는 미국)에 의해 시행된다고 지적합니다. 이 시스템은 "물리적 우선" 세계를 가정합니다: 지리가 우선이며, 정치적 권위는 땅에 매핑됩니다. 추가적으로, 그는 이러한 규칙들 때문에 우리가 하는 가정들을 나열합니다:

  • 세계는 완전히 발견되었다(탐험하거나 주장할 미지의 땅이 남아 있지 않다).
  • 주장되지 않은 땅은 없다(무주지); 사람이 살지 않는 바위조차도 누군가의 소유이다.
  • 땅은 지도상의 선에 의해 하향식으로 분할된다. 모든 평방 인치에는 정부 관할권이 있다.
  • 한 사람, 한 국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국적을 가지며, 이를 바꾸는 것은 드물고, 시민권은 보통 출생에 의해 주어진다(혈통주의 또는 속지주의).
  • 정당성은 통제와 아마도 선거에서 나온다: 국가는 내부적으로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면(폭력의 독점) 정당하며, 이상적으로는 국민의 동의에 의해 지지되고 권리를 존중한다(실제로는 종종 무력도 인정받지만).
  • 중앙집권적 행정: 국민 국가는 일반적으로 영토 전체에 걸쳐 법을 만들고 집행하는 계층적 정부(행정부, 입법부, 관료제, 사법부)를 가진다.
  • 국내 폭력 독점: 국가의 경찰/군대만이 무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적인 무력은 억제된다.
  • 국제적 주권은 군사력에 의해 뒷받침된다: 궁극적으로, 국가의 독립은 무력(자국 또는 동맹국의)에 의해 보장된다. 스리니바산은 "팍스 아메리카나" – 미군이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질서의 궁극적인 집행자였다고 지적한다.
  • 외교적 인정과 조약이 상호작용을 지배한다: 다른 나라로부터 인정받는 것(대사관, UN 의석 보유)이 중요하며, 인정 없이는 잠재적인 국가가 어려움을 겪는다(무역 없음, 안보 보장 없음).

그는 이로부터 국가의 여섯 가지 필수 부분을 추출합니다: 국경, 인구, 중앙 정부, 국제적 주권, 외교적 인정, 국내 무력 독점. 그리고 국민 국가는 구체적으로 두 가지 구성 요소를 가집니다: 국민(문화적/민족적 "사람들")과 국가(통치 기구). 이 둘이 일치할 때, 국민 국가가 됩니다(예: 일본, 일본인 = 일본 국가). 그는 초소형국민체와 같은 문제들이 실제 국민(사람들) 없이 국가(와 영토)를 선언하려 했기 때문에 실패했다고 관찰합니다. 반대로, 제국(로마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같은)은 부분적으로는 단일성이 부족한 많은 국민을 가진 국가였기 때문에 실패했습니다. 네트워크 국가를 위한 교훈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국민(커뮤니티)을 건설하고, 그 다음에 국가를 건설해야 한다 – 이것이 바로 그가 주장해 온 것입니다(클라우드 우선, 영토는 나중에).

이 시점까지, 5장은 기존 국가를 바꾸기 어려운 이유를 효과적으로 진단했습니다: 그들의 정의와 국제 규범 자체가 현상 유지를 고착시킵니다. 분리 독립은 권장되지 않고(규칙 8), 내부 개혁은 역사적 부담 때문에 느리며, 새로운 것을 시도할 빈 땅이 없습니다. 이것이 바로 스리니바산이 우리가 디지털 영역에서 혁신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입니다 – 국가 지위를 향한 허점이나 대안 경로를 찾기 위해서입니다.

네트워크 국가에 대하여: 이제 그는 네트워크 국가의 가정을 위와 체계적으로 대조합니다:

  • 디지털 우선: 영토 우선 대신, 네트워크 국가는 온라인에서 시작합니다. **커뮤니티(국민)**는 어떤 땅도 획득하기 전에 아이디어(하나의 계명)를 중심으로 클라우드에서 형성됩니다. 영토는 최종 목표이지 시작점이 아닙니다. 이것은 "물리적 우선" 규칙을 뒤집습니다.
  • 구성: 네트워크 국가는 여전히 국민과 국가가 필요하지만, 이 맥락에서 국민은 온라인 네트워크(공유된 가치를 가진 사람들의 디지털 커뮤니티)이고 국가는 "거버넌스 네트워크"입니다 – 본질적으로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리더십과 스마트 계약 인프라입니다. 그들은 땅에 묶인 사람들과 관료적 계층 구조가 아닌, 서로 얽힌 네트워크입니다.
  • 미지의 땅의 귀환: 지구의 물리적 땅은 모두 소유되었지만, 디지털 영역은 새로운 개척지와 같습니다 – 새로운 온라인 도메인, 가상 세계 측면에서 무한한 "영토"이며, 또한 일부 네트워크 커뮤니티는 충분히 강해질 때까지 은밀하게("incognito") 운영될 수 있다는 아이디어도 있습니다. 그는 심지어 네트워크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일부 측면을 비밀로 유지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예: 안전을 위해 익명인 회원).
  • 무주지의 귀환: 사이버 공간에는 항상 새로운 틈새나 주장되지 않은 "땅"이 있습니다 – 어떤 국가도 통제하지 않는 새로운 가치나 사회적 공간의 틈새입니다(예를 들어, 비트코인 네트워크 자체는 나타난 새로운 디지털 영토와 같았습니다). 또한, 필요하다면 네트워크 국가는 활용되지 않는 장소(아마도 시스테드, 사유지 구매, 또는 특별 구역)에서 물리적 발판을 찾을 수 있으며, 정치 지도에 존재하지 않았던 커뮤니티를 위한 새로운 "땅"을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하향식 자발적 이주: 출생에 의해 시민권이 부여되고 한 곳에 머물러야 하는 대신, 사람들은 자신의 네트워크 소속을 선택할 것입니다. 네트워크 국가의 회원은 자발적입니다 – 하나의 계명이나 사명에 동의하기 때문에 가입합니다. 마찬가지로, 더 이상 동조하지 않거나 거버넌스가 실패하면 탈퇴할 수 있습니다(암호화폐로 가능: 자산과 신원은 이동 가능). 이것은 큰 변화입니다: 네트워크 국가는 시민이 일종의 고객이기 때문에 "권력 역학을 뒤집습니다" – 그들은 떠날 수 있으므로, 거버넌스는 책임감 있고 매력적으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 다중 시민권 (시민당 N개의 네트워크): 네트워크 국가 세계에서는 한 사람이 동시에 여러 네트워크에 속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는 케토 코셔 커뮤니티의 일원이면서 동시에 디지털 아트 공동체의 일원이고 여전히 기존 국가 시민권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국민 국가의 배타성을 깨뜨립니다(오늘날 이중 국적은 일부 경우에 허용되지만, 일반적으로 하나의 주요 국가 정체성이 지배적입니다). 네트워크 국가에서는 정체성이 모듈식입니다 – 예를 들어, 의료와 과학 추구는 "탈-FDA" 네트워크 국가에, 문화 생활은 다른 네트워크에 바칠 수 있습니다. 이 다중심적 시민권은 새로운 아이디어입니다.
  • 단순히 무력이나 출생이 아닌, 동의와 가치로부터의 정당성: 네트워크 국가의 정당성은 사람들이 선택하여 가입하고(종종 그 허브로 물리적으로 이동하거나 재정적으로 기여함으로써) 가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남아 있는 데서 비롯됩니다 – "물리적 이주와 디지털 선택으로부터의 정당성". 이것은 역사적이거나 강압적인 것이 아닌 시장 주도적인 정당성입니다. 만약 네트워크 국가가 가치를 제공하지 못하면(예를 들어, 억압적이 되거나 사명에 실패하면), 사람들은 떠남으로써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피치자의 동의에 대한 매우 문자 그대로의 적용입니다.
  • 분산형 행정: 단일 중앙 정부가 종이 법을 쓰는 대신, 네트워크 국가는 스마트 계약, DAO(탈중앙화 자율 조직), 온체인 투표를 통해 통치할 수 있습니다. 스리니바산은 거버넌스가 더 참여적이고 알고리즘적으로 집행될 것이라고 상상합니다. 예를 들어, 규칙은 커뮤니티의 블록체인에 인코딩될 수 있고, 결정은 토큰 보유자 투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많은 기능이 자동화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리더십이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그는 인정받는 창립자/리더가 종종 존재한다고 언급함), 그러나 거버넌스의 기구가 관료제에 숨겨져 있지 않고 투명하고 분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국내 "루트 접근의 독점": 이것은 "폭력의 독점" 개념을 변형한 것입니다. 네트워크 국가에서는 강제력이 최소화되지만(자발적이기 때문에), 국가가 가진 "권력"은 디지털 인프라 – 서버, 암호화 키, 플랫폼 규칙 – 에 대한 통제입니다. 스리니바산은 네트워크 국가의 거버넌스가 네트워크의 디지털 영역 내에서 거의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시스템 관리자가 서버에서 루트 접근 권한을 갖는 것처럼). 그러나 그들이 그 권력을 남용하면, 회원들은 코드를 포크하거나 개인 키(자산/신원)를 가지고 떠날 수 있으므로, 내장된 견제 장치가 있습니다. 요컨대, 네트워크 국가는 무장 경찰이 아닌 코드와 커뮤니티 집행을 통해 질서를 유지하며, 리더십이 잘못 행동하면 사람들은 반란 대신 탈퇴합니다.
  • 암호학을 통한 국제적 주권: 전통적인 국가는 군대로 주권을 방어합니다; 네트워크 국가는 암호화로 자신을 방어합니다. 스리니바산은 강력한 암호화(와 분산화)가 네트워크 국가의 중요한 기능을 외부 세력으로부터 공격받지 않게 만든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의 자산이 비트코인에 있다면, 어떤 침략군도 키 없이는 그것을 압수할 수 없습니다. 통신이 암호화되어 있다면, 아무도 커뮤니티의 조정을 감시하거나 검열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암호화폐는 무국적 국가를 위한 "방패" 역할을 합니다. 그는 이것을 "암호학을 통한 국제적 주권" 이라고 부르며, 암호화가 군대가 하는 일, 즉 자율성을 보호하는 일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 디지털 외교적 인정: 스리니바산은 네트워크 국가들이 서로를 인정하고 상호 운용 가능한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사람들/자산의 쉬운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고 상상합니다. 예를 들어, 한 네트워크 국가를 떠나면, 디지털 재산과 평판을 온체인으로 다른 곳으로 가져갑니다 – 이는 여권과 조약이 국가 간 이동을 허용하는 것과 유사하지만, 이 경우에는 블록체인을 통해 신뢰 없이 이루어집니다. 이 시나리오에서 공개 블록체인은 일종의 중립 지대 또는 국제법 역할을 합니다 – 그는 "체인은 협력과 제약을 관리한다: 공개 블록체인은 국제법과 동등하다" 고 씁니다. 그리고 "팍스 비트코니카"(약간 농담조로)라는 개념은 비트코인이나 유사한 글로벌 암호화폐가 어떤 한 네트워크가 지배하는 것을 막고 상호 평화를 보장하는 중립적인 준비 자산이 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과거 "팍스 아메리카나"가 미국 금/달러에 의해 뒷받침되었던 것처럼, 여기서는 분산된 통화가 평화로운 질서를 뒷받침합니다).

이 모든 차이점은 스리니바산이 사용하는 한 구절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가 국민이고, 네트워크가 영토이며, 네트워크가 국가다." 네트워크 국가의 사람들은 말 그대로 소셜 네트워크입니다. 그 은 그 네트워크가 운영되는 모든 곳입니다(미래에는 VR이나 메타버스 공간의 가상 땅 포함). 그리고 그 정부는 규칙을 만드는 네트워크의 코드와 커뮤니티 자체입니다(리바이어던으로서의 네트워크). 그는 네트워크를 "리바이어던"이라고 부르며 신-국가-네트워크의 호를 완성합니다: 이제 네트워크는 신이나 국가가 그랬던 것처럼 암호화와 합의를 통해 보안과 질서를 제공합니다.

스리니바산은 지도의 문제를 다룹니다: "네트워크 국가는 지도에서 어떻게 보이는가?" 인접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점들로 나타날 것입니다 – 점선으로 연결된 거점들의 군도입니다(1장의 초기 그림에서 보여준 것처럼). 물리적으로는 흩어져 있지만, 디지털적으로는 빽빽한 클러스터입니다(소셜 네트워크 연결 그래프를 상상해보십시오 – 회원들은 대부분 서로 연결되어 글로벌 소셜 그래프 내에서 하위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그는 장점을 지적합니다: 디지털 국가는 더 높은 차원입니다 – 한 곳에 국한되지 않고,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아마도 한 사람이 두 곳에 속하거나, 두 네트워크 국가가 가상 수도를 공유할 수 있음), 더 빨리 확장할 수 있으며(소프트웨어는 관료제보다 빨리 확장됨), "새로운 땅"을 만드는 것이 쉽습니다(새 서버를 가동하거나, 새 집을 크라우드펀딩함) 지구의 유한한 땅과는 다릅니다. 또한, 네트워크 국가의 많은 부분은 외부인에게 보이지 않습니다 – 지구본에서 쉽게 가리킬 수 없습니다; 그것은 주머니와 클라우드에 존재하며, 이는 회복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는 결정론적인 물리적 분할(국민 국가는 공간을 분할함)과 "사람들을 하위 네트워크로 나누는 확률적 디지털 분할" 을 대조합니다 – 본질적으로 사람들이 선택한 온라인 커뮤니티로 스스로 분류하는 것입니다. 이 구절은 근본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포착합니다: 지리가 땅을 나누는 대신, 인터넷이 선호도에 따라 사람들을 나눕니다.

마지막으로, 스리니바산은 거기에 도달하는 경로를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본질적으로 빠른 시작을 정제된 용어로 재검토). 그는 네트워크 국가를 설립하는 것을 10억 달러 규모의 스타트업(유니콘)을 설립하는 것과 같다고 명시적으로 설명합니다 – 첫날에 선언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로 시작하여 그것을 향해 구축해 나갑니다. 그는 세 가지 발전 단계를 요약한 책 발췌문을 포함합니다(이는 이전의 7단계를 압축된 형태로 반영합니다):

  • 네트워크 연합: 온라인에서 집단 행동을 조직하는 전적으로 디지털 커뮤니티(이전의 1, 2단계와 같음). 초점은 조정 능력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 회원들은 공동의 대의를 위해 함께 행동합니다(이 "조직적 힘"이 핵심으로 강조됨).
  • 네트워크 군도: 그 네트워크 연합이 물리적 자산을 획득하고 연결하기 시작합니다(이전의 3-5단계). 물리적 상호작용(오프라인 모임, 함께 사는 것)은 3단계에서 강조했듯이 신뢰를 구축하는 데 중요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부분적으로 디지털 커뮤니티이고 부분적으로는 실제 커뮤니티의 집합입니다 – 법적 지위는 없지만 실질적인 존재감을 가진 원시 국가입니다.
  • 네트워크 국가: 네트워크 군도가 최소한 하나의 기존 국가로부터 외교적 인정을 받습니다(7단계). 이 공식적인 인정과 주권은 진정한 국가가 되는 데 중요합니다(간섭 없이 자치할 수 있게 함). 그 후, 점진적으로 인정과 권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그는 또한 네트워크 국가가 단순히 인구나 땅 외에도 여러 가지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 인구학적으로(더 많은 시민), 지리적으로(더 많은 노드), 디지털적으로(더 많은 온라인 영향력/서비스), 경제적으로(더 높은 GDP), 이데올로기적으로(매력을 넓히거나 신념을 심화), 기술적으로(기술 인프라 개선) 확장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거의 네트워크 국가 창립자가 추적할 지표와 같으며, 스타트업의 사용자 증가, 기능 증가 등과 유사합니다. 이것은 사회를 건설하는 다면적인 성격을 보여줍니다.

5장을 통해 스리니바산은 효과적으로 순환을 완성합니다: 그는 클라우드에서 새로운 국가를 시작할 수 있다는 대담한 주장으로 시작하여, 역사적, 도덕적 추론으로 이를 정당화하고, 낡은 질서의 현재 붕괴를 분석했으며, 이제 새로운 질서를 위한 청사진과 이론을 상세히 설명했습니다. 주요 반복 주제들이 여기서 함께 모입니다 – 분산화 대 중앙화, 기술 대 정치, 도덕적 목적, 스타트업 스타일의 성장. 국민 국가와 네트워크 국가의 가정을 병치함으로써, 그는 혁신을 강조합니다: 네트워크 국가는 지리를 부차적으로 취급하고, 시민을 고객/자원봉사자로 대하며, 기술을 거버넌스의 중추로 사용하고, 역사적 혈통이 아닌 개념 증명(견인력)을 통해 정당성을 획득합니다.

이 장에 암묵적으로 담긴 핵심 제안 중 하나는 네트워크 국가가 결국 오늘날의 국민 국가 시스템과 유사한 "네트워크 국가 시스템" 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단 하나의 네트워크 국가가 인정받으면, 많은 국가가 뒤따를 수 있으며, 그들은 자체 규범과 동맹을 발전시킬 것입니다(잠재적으로는 네트워크 국가들의 UN과 같은 것도). 이것은 "재중앙화된 중심" 아이디어가 실제 지정학적 현실로 구체화된 것입니다: 블록체인과 상호 인정을 통해 협력하는 다수의 새로운 초소형 국가들(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분산된). 스리니바산은 첫 번째 도미노가 넘어지면(첫 번째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국가), 그 모델이 빠르게 복제될 수 있다고 암시합니다 – 비트코인이 개념을 증명하자 수천 개의 암호화폐가 등장한 것처럼 말입니다.

5장 전반에 걸쳐, 예시와 참고 자료는 그의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예를 들어, 그는 에스토니아와 싱가포르가 "네트워크와 융합"한(전자정부) 긍정적인 예나,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법을 국가가 네트워크와 통합한 예로 언급합니다. 그는 초기 이스라엘(1948년 이전 디아스포라)이 본질적으로 신+네트워크 조합이었고, 국가가 형성되자 신+네트워크+국가가 되었다고 인용하며, 네트워크 국가가 신성 측면을 제외하고 디아스포라에서 인정받는 고향으로 비슷한 궤적을 따를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그는 심지어 VR을 미래의 "땅"으로 비유합니다 – 네트워크 국가는 언젠가 가상 현실에 수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추측이지만 그가 상상하는 물리적 제약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보여줍니다.

책이 끝날 무렵, 독자는 포괄적인 비전을 갖게 됩니다: 네트워크 국가는 인터넷, 블록체인, 스타트업 방법론의 도구를 사용하여 21세기를 위한 국가 건설을 재고하자는 제안입니다. 스리니바산의 장들은 논증의 조각들처럼 서로 맞물립니다:

  • 1장은 엘리베이터 피치와 계획을 제시했습니다: 스타트업처럼 국가를 시작할 수 있다.
  • 2장은 도덕적, 역사적 정당성을 제시했습니다: 현재 국가는 도덕적으로 실패하고 있으며 기술은 새로운 사회 실험을 허용한다; 사람들을 결집시키기 위해 도덕적 사명(하나의 계명)이 필요하다.
  • 3장은 현재에 대한 진단을 제공했습니다: 권력은 네트워크(미디어 네트워크, 정당 네트워크, 암호화폐 네트워크)로 이동하고 있으며 세계는 불안정하여 대안을 위한 공간이 열리고 있다.
  • 4장은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우리가 새로운 "중심"을 만들지 않으면 상황이 매우 나빠질 수 있으며(내전, 디지털 전체주의), 네트워크 국가는 더 나은 거버넌스를 혁신함으로써 그 평화로운 중간 길이 될 수 있다.
  • 5장은 구조적 청사진과 대조를 전달했습니다: 네트워크 국가가 국민 국가와 정확히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우리가 한 모델에서 다른 모델로 단계적으로 어떻게 전환할 수 있는지를 상세히 설명했습니다.

반복되는 주제와 상호 연결

몇 가지 반복되는 주제가 장들을 관통하며 일관된 서사를 만듭니다:

  • 분산화 대 중앙화: 역사적 주기(2장의 프론티어 논제와 "미래는 우리의 과거", 기술이 중앙화를 주도했다가 다시 분산화를 주도할 것이라고 주장)부터 4장의 인터넷 효과 설명(분산을 증가시키고 중앙집권적 기관을 파괴)에 이르기까지, 스리니바산은 우리 시대에 권력이 분산되고 있다는 아이디어로 돌아갑니다. 그러나 그는 혼란을 옹호하지 않습니다; 대신, 그는 새로운 단위(네트워크 국가)를 중심으로 한 재중앙화를 예견합니다. 분산화와 질서의 균형이 핵심입니다: 예를 들어, 2장의 결론인 기술적 진실(분산 데이터)은 사회적 서사(중앙 권위)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 또는 4장의 단편화 후 "재중앙화된 중심"에 대한 요구. 이 주제는 네트워크 국가가 제안된 이유를 강조합니다: 그들은 분산 기술(블록체인, 인터넷 커뮤니티)을 활용하지만, 그것들을 응집력 있는 새로운 사회로 포장합니다 – 분산 혁신과 중앙 집중적 목적의 종합입니다.
  • 주권의 결정 요인으로서의 기술: 스리니바산은 기술(특히 암호화와 인터넷)이 권력의 역학을 어떻게 바꾸는지 끊임없이 강조합니다. 2장에서 암호화와 블록체인은 진실과 재산의 새로운 보증인으로 나타나 국가의 정보 독점을 침식했습니다. 3장에서 권력 경쟁자들 중에는 국민 국가와 함께 **기술 네트워크(비트코인)**가 포함되었습니다. 5장에 이르러, 암호학은 네트워크 국가가 "국제적 주권"과 방어를 달성하는 명시적인 수단이 됩니다. 관통하는 선은 코드가 많은 영역에서 권력의 최종 보루로서 폭력을 대체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스리니바산이 작은 온라인 커뮤니티가 결국 국민 국가에 도전할 수 있다고 믿는 이유입니다: 기술이 개인과 네트워크에 과거에는 군대와 관료제만이 가졌던 영향력을 주기 때문입니다. 예시: 머스크가 데이터 로그를 사용하여 미디어 기사를 반박한 것(서사를 이기는 기술적 진실), 또는 비트코인이 분산 설계 덕분에 국민 국가의 금지를 견뎌낸 것.
  • 도덕적 목적과 "하나의 계명": 강력한 도덕적 명령이 각 장에 나타납니다. 1장은 네트워크 국가가 "가능한 최상의 사회를 건설"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하며 이를 언급했습니다. 2장은 국가의 도덕적 실패와 새로운 커뮤니티를 위한 도덕적 북극성(하나의 계명)의 필요성을 깊이 파고들었습니다. 3장에서 세력들조차 준-도덕적 비전(워크 정의, 민족주의적 조화, 자유지상주의적 자아 주권)에 의해 움직입니다. 5장에서 네트워크 국가 구성 요소를 나열할 때, "도덕적 혁신" 이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이유 중 첫 번째입니다. 이것은 스리니바산이 성공적인 사회는 기술만으로 건설되지 않는다고 믿는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그들은 사람들을 결속시키는 공유된 신념이 필요합니다. 2장의 케토 코셔나 캔슬-프루프 사회와 같은 반복적인 예는 5장의 사람들이 단지 돈 때문이 아니라 가치를 위해 가입한다는 개념에서 다시 나타납니다. 상호 연결은 명확합니다: 2장에서 식별된 대의는 1장의 스타트업 사회의 판매 포인트가 되고 5장에서 그 정체성의 핵심이 됩니다.
  • 탈출 대 목소리: 스리니바산은 "탈출"(시스템을 떠나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이 점점 더 실행 가능해지는 반면, "목소리"(내부에서 시스템을 바꾸려는 시도)는 종종 무익하다는 아이디어를 자주 암시합니다. 책 전체는 국민 국가 시스템을 탈출하여 새로 건설하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예를 들어, 3장의 미국 양극화 시나리오는 내전을 벌이는 대신(갈등을 통한 목소리), 탈출하여 다른 곳(물리적으로나 온라인으로)에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4장의 중도 연합은 본질적으로 두 초강대국의 비전으로부터의 탈출입니다. 그리고 5장은 탈출의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다중 시민권, 자발적 이주 등, 이전보다 탈출을 더 쉽게 만듭니다.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참고 자료는 주권적 개인 논제(분산 기술이 개인이 국가 통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줌)이며, 그는 2장에서 이를 명시적으로 인용합니다. 또 다른 언급은 비트코인이 부를 위한 "탈출구"를 제공한다는 것입니다(팍스 비트코니카 – 사람들은 어떤 국가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가치를 저장할 수 있음). 이 모든 것은 정부 간의 경쟁(시민 탈출을 통해)이 더 나은 거버넌스로 이어진다는 주제를 강조하며, 이는 네트워크 국가의 핵심 논리입니다.
  • 거버넌스에서의 스타트업 정신: 스리니바산은 지속적으로 기업가 정신의 비유를 사용합니다. 1장은 네트워크 국가를 명시적으로 스타트업 사회로 규정하고, 하나를 설립하는 것을 회사 설립에 비유합니다. 2장은 정치 및 기술 혁명가들을 비교하며, "스타트업 창업자와 정치 활동가는 그렇게 다르지 않다" 고 제안합니다. 4장에서 그는 혁신과 건설을 정치적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 나열합니다("어떻게 그들을 함께 모을 것인가? 혁신함으로써: 더 나은 것을 만들어라."). 그리고 5장은 "네트워크 국가를 설립하는 것은 유니콘을 설립하는 것과 같다" 고 단언합니다. 실리콘 밸리 원칙을 국가 건설에 적용하는 이 주제(빠르게 움직이고, 반복하고, 성장 지표에 집중하고, 거버넌스를 위한 제품-시장 적합성)는 실용적인 방법론과 이데올로기적인 이유를 연결합니다. 책 자체가 구성된 방식조차도 – 문제 식별(시장 수요), 해결책 제안(제품), 경쟁 분석(미국, 중국 등), 그리고 해결책의 기능 상세 설명 – 스타트업 피치 덱을 반영합니다. 기술 기업가로서의 스리니바산의 배경은 모든 주장에 스며들어, 거버넌스가 산업이 그랬던 것처럼 기업가 정신과 경쟁의 대상이 되어야 함을 암시합니다.
  • 서사와 현실의 상호작용: 그는 서사(신념)를 통제하는 것과 물리적 현실(힘/기술)을 통제하는 것이 동전의 양면임을 반복적으로 보여줍니다. 2장의 정치적 결정론 대 기술적 결정론 논의와 종합의 필요성이 한 예입니다. 3장의 NYT 대 CCP 대 BTC 묘사는 본질적으로 서사적 힘 대 물리적 힘 대 알고리즘적 힘이며, 각각이 서로를 견제합니다. 5장에 이르러, 네트워크 국가가 "국민 의식"(서사적 정체성)과 "통합된 암호화폐"(물질적-경제적 도구)를 모두 필요로 한다는 아이디어는 그가 성공적인 새로운 국가가 마음 정신(그리고 지갑)을 얻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뉴욕 타임스를 "도덕적 네트워크"로, 테슬라 로그블록체인을 진실로 사용하는 반복적인 예는 그 역학을 구체적인 용어로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스리니바산은 본질적으로 네트워크가 대안적인 서사(예: 새로운 이데올로기, 온라인 문화)와 대안적인 현실(기술 플랫폼과 가상 세계를 통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완전한 사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결론적으로, 네트워크 국가진단서이자 선언문입니다. 스리니바산은 역사, 기술, 정치를 서로 연결하여 우리가 아는 국민 국가가 변곡점에 도달했다고 주장합니다. 각 장은 이전 장을 기반으로 구축됩니다: 개념과 빠른 계획을 수립하는 것부터, 역사적 궤적과 도덕적 필요성으로 이를 정당화하고, 낡은 질서의 현재 붕괴를 분석하고, 미래의 결과를 상상하며,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국가를 새로운 질서를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으로 제시하는 것까지. 책의 주요 주장 – 클라우드 커뮤니티가 국가로 진화할 수 있고, 기술(블록체인 & 인터넷)이 이를 가능하게 하며, 도덕적 사명이 필수적이라는 것 – 은 7단계, 3극 세계, 리바이어던, 국민 국가 대 네트워크 국가 비교와 같은 프레임워크로 강화됩니다. 그 핵심 제안에는 "클라우드 우선, 영토는 나중에" 국가 건설 추구, 특정 가치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관할권 생성(하나의 계명 사회), 그리고 신뢰성을 확립하기 위해 온체인 인구 조사 및 암호화폐 경제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예시 – 역사적인 것(종교적 디아스포라, 미국 개척지, 소련 붕괴)부터 현대적인 것(비트코인, 에스토니아 전자 영주권, CityDAO, 캔슬 컬처, COVID 봉쇄)까지 – 은 이러한 아이디어를 현실에 기반을 두고 네트워크 국가 개념과의 유사점을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네트워크 국가가 성공할지 여부에 동의하든 안 하든, 스리니바산의 책은 디지털 시대의 주권을 재창조하기 위한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그것은 독자에게 색칠된 블록의 세계 지도가 아닌, 겹쳐진 디지털 커뮤니티의 세계 – 인터넷에서부터 구축된 "국가들의 소셜 네트워크" – 를 상상하도록 도전합니다. 장들을 종합해 보면, 이것은 유토피아적인 것이 아니라, 이전의 변화를 만들어낸 동일한 힘(기술, 이주, 그리고 의미와 개선을 향한 영원한 인간의 탐구)에 의해 주도되는 정치적 진화의 논리적인 다음 단계라고 주장합니다. 세계적인 불확실성의 시대에, 네트워크 국가는 미래의 정치체를 한 번에 하나의 온라인 커뮤니티씩 설립하기 위한 대담한 로드맵을 제공합니다.

출처:

  • Srinivasan, Balaji S. The Network State: How To Start a New Country. 1729.com/thenetworkstate (온라인 에디션).
  • Aure’s Notes – Summary of The Network State (인용문을 포함한 광범위한 장별 요약).
  • Bookey App – The Network State Summary (핵심 개념에 초점을 맞춘 장 요약).
  • Frawley, Andrew. “Balaji’s Network State: Reviewing Its Goodness and Feasibility.” Medium, 2022 (네트워크 국가 프레임워크에 대한 비판적 논의).
  • Tim Ferriss Show #606 – Interview with Balaji Srinivasan (2022) (책이 온라인에서 무료로 제공되며 핵심 아이디어를 논의한다고 언급).
  • Mirror.xyz – “Why CityDAO might Become the First Network City” (2022) (스리니바산의 7단계 프레임워크를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
  • New Atlantis – “Virtual Reality Reboots History” (2023) (자유주의와 기술에 대한 광범위한 논쟁 속에서 스리니바산의 아이디어를 맥락화).

Camp Network: AI의 수십억 달러 IP 문제를 해결하는 블록체인 🏕️

· 약 4분
Dora Noda
Software Engineer

생성형 AI의 급부상은 폭발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놀라운 디지털 아트부터 인간과 구분하기 어려운 텍스트까지, AI는 전례 없는 규모로 콘텐츠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성장 뒤에는 어두운 그림자가 있습니다. AI는 어디서 학습 데이터를 얻을까요? 대부분은 인터넷에 흩어져 있는 방대한 양의 예술, 음악, 글 등 인간이 만든 창작물에서 가져옵니다. 이 창작자들은 거의 인정도, 보상도 받지 못합니다.

여기에 Camp Network가 등장합니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새로운 블록체인 프로젝트입니다. 단순한 암호화폐 플랫폼이 아니라, AI 시대에 창작자에게 소유권과 통제권을 부여하기 위해 설계된 “자율 IP 레이어”입니다. Camp Network가 왜 주목받아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핵심 아이디어는?

Camp Network는 지식재산권(IP)을 위한 전 세계적인 검증 가능한 레지스트리 역할을 하는 블록체인입니다. 독립 아티스트부터 소셜 미디어 사용자까지 누구나 자신의 콘텐츠를 온체인에 등록할 수 있게 하여, 영구적이고 변조가 불가능한 소유권 및 출처 기록을 생성합니다.

왜 중요한가요? AI 모델이 Camp에 등록된 콘텐츠를 사용할 경우, 네트워크의 스마트 계약이 자동으로 라이선스 조건을 시행합니다. 즉, 원작자는 즉시 귀속 표시를 받고 로열티를 받을 수 있습니다. Camp는 보상이 사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프로토콜 자체에 내장된 새로운 크리에이터 경제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기술 스택 살펴보기

Camp는 개념에 머무르지 않고 고성능·개발자 친화성을 목표로 한 실질적인 기술을 갖추고 있습니다.

  • 모듈형 아키텍처: Camp는 데이터 가용성을 위해 Celestia를 활용한 주권 롤업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이 설계 덕분에 초당 50,000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목표로 매우 빠르고 저렴하면서도 이더리움(EVM) 도구와 완전 호환됩니다.
  • Proof of Provenance (PoP): Camp만의 합의 메커니즘으로, 에너지 집약적인 채굴 대신 콘텐츠 출처 검증에 기반한 보안을 제공합니다. 모든 트랜잭션은 네트워크 상 IP의 출처를 강화해 “디자인상 강제 가능한” 소유권을 구현합니다.
  • 듀얼 VM 전략: 성능 극대화를 위해 Solana Virtual Machine (SVM) 을 EVM 호환성과 병행하여 통합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실시간 AI 인터랙션과 같은 고처리량 사용 사례에 최적화된 환경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크리에이터·AI 툴킷: Camp는 두 가지 핵심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 Origin Framework: 크리에이터가 IP를 등록하고 NFT 형태로 토큰화하며 라이선스 규칙을 삽입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시스템.
    • mAItrix Framework: 개발자가 온체인 IP와 안전하고 권한이 부여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AI 에이전트를 구축·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툴킷.

팀, 파트너십, 진행 상황

아이디어는 실행력에 달려 있으며, Camp는 현재까지 좋은 실행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팀 및 펀딩

프로젝트는 The Raine Group(미디어·IP 딜), Goldman Sachs, Figma, CoinList 등에서 풍부한 경험을 가진 팀이 이끌고 있습니다. 이들의 금융·기술·암호공학 역량 덕분에 1kx, Blockchain Capital, Maven 11 등 주요 벤처캐피털로부터 3천만 달러의 펀딩을 확보했습니다.

성장하는 생태계

Camp는 파트너십 구축에 적극적입니다. 가장 눈에 띄는 협업은 KOR Protocol에 대한 전략적 지분 투자로, 이 플랫폼은 Deadmau5Black Mirror와 같은 대형 아티스트·프랜차이즈의 음악 IP를 토큰화합니다. 이를 통해 Camp는 방대한 고품질 권리 클리어된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즉시 확보했습니다. 주요 협업 파트너는 다음과 같습니다.

  • RewardedTV: Camp를 활용해 온체인 콘텐츠 권리를 관리하는 탈중앙화 비디오 스트리밍 플랫폼.
  • Rarible: IP 자산 거래를 위한 NFT 마켓플레이스와 통합.
  • LayerZero: 다른 블록체인과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크로스체인 프로토콜.

로드맵 및 커뮤니티

수만 명의 사용자를 끌어들인 인센티브 테스트넷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마친 뒤, Camp는 2025년 3분기 메인넷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네이티브 토큰 $CAMP의 토큰 생성 이벤트(TGE)가 진행되어 가스 요금, 스테이킹, 거버넌스 등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프로젝트는 이미 첫날부터 플랫폼을 구축·활용하고자 하는 열정적인 커뮤니티를 형성했습니다.


경쟁 구도와 차별점

Camp Network는 이 분야에서 유일한 존재는 아닙니다. a16z가 지원하는 Story Protocol이나 Sony와 연계된 Soneium 등 강력한 경쟁자가 있습니다. 그러나 Camp는 다음과 같은 핵심 포인트로 차별화됩니다.

  1. 하향식 접근: 경쟁 프로젝트가 대기업 IP 보유자를 주 타깃으로 삼는 반면, Camp는 독립 크리에이터와 암호 커뮤니티에 토큰 인센티브를 제공해 권한을 부여합니다.
  2. 통합 솔루션: IP 레지스트리부터 AI 에이전트 프레임워크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원스톱 서비스 제공.
  3. 성능·확장성: 모듈형 아키텍처와 듀얼 VM 지원으로 AI·미디어의 고처리량 요구에 최적화되었습니다.

요약

Camp Network는 Web3 시대에 지식재산권의 기반 레이어가 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혁신적인 기술, 강력한 팀, 전략적 파트너십, 커뮤니티 중심 철학을 결합해 생성형 AI가 야기한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에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진정한 시험은 메인넷 출시와 실제 채택 여부입니다. 지금까지 명확한 비전과 탄탄한 실행력을 보여준 Camp Network는 디지털 크리에이터를 위한 보다 공정한 미래를 구축하려는 핵심 프로젝트라 할 수 있습니다.

Web3 해커톤, 제대로 하기: 2025년 실용 가이드

· 약 7분
Dora Noda
Software Engineer

빠르게 실력을 갈고 닦고, 공동 창업자를 만나며, 아이디어를 압박 테스트하고 싶다면, 웹3 해커톤만큼 좋은 환경은 없습니다. 하지만 “재미있는 주말”과 “경력을 바꾸는 런치”를 가르는 차이는 바로 계획입니다.

이 가이드는 구체적인, 빌더‑퍼스트 플레이북을 제공합니다. 올바른 이벤트를 고르는 방법, 똑똑하게 준비하는 법, 빠르게 구축하는 법, 명확하게 발표하는 법—그리고 다음 해커톤에 바로 복사‑붙여넣기 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까지.

TL;DR

  • 이벤트를 의도적으로 선택하세요. 이미 사용 중인 생태계 혹은 심사위원·스폰서와 아이디어가 완벽히 맞는 생태계를 우선합니다.
  • 승리 조건을 정하세요. 학습, 특정 현상금, 파이널리스트 등 목표에 따라 팀 구성, 범위, 스택이 달라집니다.
  • 지루한 부분을 미리 준비하세요. 프로젝트 골격, 인증 흐름, 지갑 연결, 디자인 시스템, 데모 스크립트 초안을 시작 전에 완성합니다.
  • 가장 사랑받을 수 있는 최소 데모를 만들세요. 엔드‑투‑엔드로 동작하는 핵심 기능 하나만 보여 주세요. 나머지는 스토리와 슬라이드에 불과합니다.
  • 프로처럼 제출하세요. “새롭게 시작” 규칙을 준수하고, 목표 현상금 트랙을 모두 공식 등록한 뒤, 짧은 영상과 명확한 README에 충분한 시간을 투자합니다.

왜 웹3 해커톤이 주말을 투자할 가치가 있는가

  • 압축된 학습: 단 주말만에 인프라, 스마트 컨트랙트, 프론트‑엔드 UX, 배포 파이프라인을 모두 체험합니다. 48시간 안에 전체 개발 사이클을 경험하는 것이며, 이는 보통 몇 달이 걸리는 학습 곡선과 같습니다.
  • 고신호 네트워킹: 멘토·심사위원·스폰서 엔지니어는 웹사이트에 이름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한 방 혹은 Discord 서버에 모여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매일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핵심 개발자와 직접 연결될 수 있는 기회입니다.
  • 실질적인 자금 흐름: 자랑거리만이 아닙니다. 상금 풀과 후속 그랜트는 프로젝트를 지속시키는 실질적인 자본이 됩니다. 예를 들어 Solana Summer Camp은 최대 500만 달러의 상금·시드 펀딩을 제공해 주말 프로젝트를 스타트업으로 전환시켰습니다.
  • 증명 포트폴리오: 기능이 구현된 공개 GitHub 레포는 이력서의 한 줄보다 훨씬 큰 가치를 가집니다. 압박 속에서 아이디어를 구축·출시·설명할 수 있다는 구체적인 증거가 됩니다.

좋은 해커톤을 찾는 방법

  • ETHGlobal: 온·오프라인 모두를 아우르는 금본위제 행사. 견고한 심사 프로세스와 고품질 참가자, 공개 프로젝트 쇼케이스가 특징이며 영감 얻기에 최적입니다.
  • Devpost: 블록체인·특정 프로토콜·현상금 트랙을 강력히 필터링할 수 있는 종합 마켓플레이스. 생태계별 이벤트를 찾기에 좋습니다.
  • DoraHacks: 생태계 중심 웹3 해커톤·그랜트 라운드에 특화된 플랫폼으로, 글로벌·커뮤니티 중심 분위기가 특징입니다.

팁: 해커톤 기간은 다양합니다. ETHOnline 같은 장기 비동기 이벤트는 몇 주에 걸쳐 진행되는 반면, ETHDenver의 #BUIDLathon 같은 집중 스프린트는 최대 9일까지 지속됩니다. 프로젝트 범위를 그에 맞게 계획하세요.


규칙 해독 (DQ 방지)

  • “새롭게 시작” – 가장 흔하고 중요한 규칙입니다. 대부분의 행사에서는 모든 실질적인 작업이 공식 킥오프 이후에 시작되어야 합니다. 기존에 작성한 핵심 로직 코드를 사용하면 파이널 및 파트너 상금에서 실격될 수 있습니다. Boilerplate는 보통 허용되지만, 핵심 로직은 새로워야 합니다.
  • 심사 구조 – 퍼널을 이해하세요. 비동기 예선 라운드에서 수백 개 프로젝트가 파이널리스트 풀로 좁혀진 뒤 라이브 심사가 진행됩니다. 첫 라운드에서 영상·README를 최대한 명확히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팀 규모 – 10명 팀은 피하세요. ETHDenver와 같이 2~4인 팀을 기본으로 제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공정성을 유지하고 긴밀한 협업을 촉진합니다.
  • 현상금 메커니즘 – 등록하지 않은 현상금은 받을 수 없습니다. 스폰서 현상금을 목표로 한다면, 각 현상금마다 프로젝트를 공식 등록해야 합니다. 많은 팀이 간과하는 간단한 단계입니다.

심사 루브릭: “좋은” 프로젝트는 어떤가

주요 주최자들은 보통 네 가지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프로젝트를 평가합니다. 각각에서 점수를 얻을 수 있도록 범위와 데모를 설계하세요.

  • 기술성: 문제는 비트리비얼한가? 솔루션이 기술을 창의적·우아하게 활용했는가? 단일 스마트 컨트랙트 위에 프론트엔드 래퍼만 만든 것이 아닌가?
  • 독창성: 새로운 메커니즘, 독특한 사용자 경험, 기존 프리미티브의 기발한 재조합이 있는가? 백번 본 것이 아니라 신선한 시도인가?
  • 실용성: 오늘 바로 사용할 수 있는가? 좁지만 완전한 엔드‑투‑엔드 사용자 여정이, 넓지만 반쯤 완성된 기능보다 훨씬 가치 있다.
  • 사용성 (UI/UX/DX): 인터페이스가 명확하고 빠르며 쾌적한가? 개발자 도구라면 개발자 경험은 어떤가? 부드러운 온보딩과 명확한 오류 처리로 차별화될 수 있다.

팀 구성: 작고 날카롭고 보완적인 역할

속도와 정렬을 위해 2~4인 팀이 최적입니다. 작업을 병렬화하기엔 충분하고, 의사결정은 무한 토론 없이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 / 프로토콜: 온체인 로직 담당. 컨트랙트 작성·테스트·배포를 책임진다.
  • 프론트엔드 / DX: UI 구축 담당. 지갑 연결, 데이터 페칭, 오류 상태, 최종 데모 폴리시를 관리한다.
  • 프로덕트 / 스토리: 범위 관리와 내러티브 담당. 핵심 루프에 집중하도록 팀을 이끌고, 프로젝트 설명과 최종 데모 진행을 담당한다.
  • (선택) 디자이너: 전용 디자이너가 있으면 컴포넌트·아이콘·마이크로 인터랙션을 준비해 프로젝트 퀄리티를 크게 끌어올릴 수 있다.

아이디어 선정: P‑A‑C‑E 필터

코드를 한 줄도 쓰기 전에 아이디어를 압박 테스트하는 간단한 필터입니다.

  • Pain(고통): 실제 개발자·사용자 고통을 해결하는가? 지갑 UX, 데이터 인덱싱, MEV 방어, 수수료 추상화 등. 문제 없이 솔루션만 제시하지 마세요.
  • Atomicity(원자성): 48시간 안에 단일 원자 루프를 완전 구현·데모할 수 있는가? 전체 비전이 아니라 한 번에 만족스러운 사용자 행동 하나에 집중하세요.
  • Composable(조합성): 오라클, 계정 추상화, 크로스‑체인 메세징 등 기존 프리미티브를 활용하는가? 검증된 레고 블록을 사용하면 더 빨리 나아갈 수 있다.
  • Ecosystem fit(생태계 적합성): 이벤트 심사위원·스폰서·청중에게 프로젝트가 눈에 띄고 관련성이 있는가? 게임 트랙에 복잡한 DeFi 프로토콜을 제시하지 마세요.

현상금 중심이라면 주요 트랙 1개와 보조 트랙 1개만 선택하세요. 현상금을 너무 많이 노리면 깊이가 얇아지고 당첨 확률이 떨어집니다.


덜 방해받는 기본 스택

새로움은 무엇을 만드는가에, 어떻게 만드는가는 최소화하세요. 검증된, 지루하지만 믿을 수 있는 기술을 고수합니다.

EVM 트랙 (빠른 경로)

  • 컨트랙트: Foundry (테스트·스크립팅·로컬 노드 실행 속도가 빠름)
  • 프론트엔드: Next.js 또는 Vite + wagmi 또는 viem + RainbowKit / ConnectKit (모달·연결 관리)
  • 데이터/인덱싱: 필요 시 호스팅된 인덱서 또는 Subgraph 서비스. 자체 인프라 운영은 피하세요.
  • 오프체인 트리거: 간단한 잡 러너 또는 전용 자동화 서비스
  • 스토리지: IPFS 또는 Filecoin (자산·메타데이터), 세션 상태는 간단한 KV 스토어

Solana 트랙 (빠른 경로)

  • 프로그램: Anchor (보일러플레이트 감소, 안전한 기본값 제공)
  • 클라이언트: React 또는 Solana Mobile SDK 기반 모바일 프레임워크. RPC·프로그램 호출을 위한 간단한 훅 사용
  • 데이터: 직접 RPC 호출 또는 생태계 인덱서 활용. UI 반응성을 위해 적극 캐시
  • 스토리지: 필요 시 Arweave 또는 IPFS (영구 자산 저장)

현실적인 48시간 플랜

T‑24 → T‑0 (킥오프 전)

  • 승리 조건(학습, 현상금, 파이널)과 목표 트랙을 명확히 합의
  • 종이 혹은 화이트보드에 전체 데모 루프 스케치. 각 단계에서 온·오프체인에서 일어날 일 정확히 정의
  • 컨트랙트·프론트엔드 모두 포함한 깨끗한 모노레포 스캐폴드 포크
  • README 초안과 데모 스크립트 초안 미리 작성

0 → 6시간

  • 멘토·스폰서에게 스코프 검증. 현상금 기준 확인 및 아이디어 적합성 체크
  • 하드 제약 설정: 체인 1개, 핵심 사용 사례 1개, “와우” 순간 1개
  • 90분 스프린트로 작업 분할. 목표: 6시간 안에 핵심 루프 첫 번째 수직 슬라이스 완성

6 → 24시간

  • 핵심 경로 강화. 정상 흐름과 주요 엣지 케이스 모두 테스트
  • 관측성 추가. 기본 로그·UI 토스트·에러 바운더리 구현으로 빠른 디버깅 가능하게
  • 프로젝트 “왜”를 명확히 설명하는 최소 랜딩 페이지 제작

24 → 40시간

  • 핵심 기능이 안정되면 데모 영상 촬영 (짧고 임팩트 있게)
  • 목표 현상금 트랙을 모두 공식 등록
  • 남은 시간은 영상 편집·README 다듬기에 집중

40 → 48시간

  • 최종 체크리스트 실행
    • 새롭게 시작 규칙 위반 여부 재확인
    • 모든 현상금 트랙 등록 완료
    • 영상 길이 2–3분, README는 프로젝트 개요·아키텍처·배포 방법·다음 단계까지 포함
    • 제출 전 팀 전체 리뷰

체크리스트 (복사‑붙여넣기)

  • 목표 이벤트 3개 이상 사전 조사
  • 팀 승리 조건 및 트랙 명확히 정의
  • 프로젝트 골격(컨트랙트·프론트엔드) 사전 준비
  • 인증·지갑·디자인 시스템 미리 구현
  • 90분 스프린트 플랜 수립 및 담당자 지정
  • 핵심 루프 첫 번째 수직 슬라이스 완성 (6시간 이내)
  • 모든 주요 시나리오 테스트 (정상·엣지)
  • 로그·토스트·에러 바운더리 추가
  • “왜 이 프로젝트인가?”를 설명하는 랜딩 페이지 제작
  • 데모 영상 촬영·편집 (2–3분)
  • 현상금 트랙 공식 등록 (모두)
  • README 최종 검토 및 배포 가이드 포함
  • 제출 전 “새롭게 시작” 규칙 재확인

이 체크리스트를 그대로 복사해서 다음 해커톤에 바로 적용하면, 준비에 드는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해커톤을 기원합니다!

Enso 네트워크: 통합된 의도 기반 실행 엔진

· 약 31분

프로토콜 아키텍처

Enso 네트워크는 온체인 작업을 위한 통합된 의도 기반 실행 엔진으로 구축된 웹3 개발 플랫폼입니다. 이 아키텍처는 모든 온체인 상호작용을 여러 체인에서 작동하는 공유 엔진에 매핑하여 블록체인의 복잡성을 추상화합니다. 개발자와 사용자는 토큰 스왑, 유동성 공급, 수익 전략 등과 같은 높은 수준의 의도 (intents) (원하는 결과)를 지정하면, Enso 네트워크가 해당 의도를 충족시키기 위한 최적의 작업 순서를 찾아 실행합니다. 이는 **"액션 (Actions)"**과 **"숏컷 (Shortcuts)"**이라는 모듈식 설계를 통해 달성됩니다.

액션은 커뮤니티에서 제공하는 세분화된 스마트 계약 추상화 (예: Uniswap에서의 스왑, Aave에 예치)입니다. 여러 액션을 조합하여 일반적인 디파이 (DeFi) 작업을 나타내는 재사용 가능한 워크플로우인 숏컷을 만들 수 있습니다. Enso는 이러한 숏컷 라이브러리를 스마트 계약에 유지 관리하므로, 단일 API 호출이나 트랜잭션을 통해 복잡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의도 기반 아키텍처를 통해 개발자는 각 프로토콜과 체인에 대한 저수준 통합 코드를 작성하는 대신 원하는 결과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Enso의 인프라에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통합 계층 역할을 하는 탈중앙화 네트워크 (텐더민트 합의 기반)가 포함됩니다. 이 네트워크는 다양한 L1, 롤업, 앱체인의 데이터 (상태)를 공유 네트워크 상태 또는 원장으로 집계하여 크로스체인 구성 가능성과 정확한 멀티체인 실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실제로 이는 Enso가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든 통합된 블록체인에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어 개발자에게 단일 접근 지점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초기에 EVM 호환 체인에 집중했던 Enso는 비 EVM 생태계로 지원을 확장했습니다. 예를 들어, 로드맵에는 2025년 1분기까지 Monad (이더리움과 유사한 L1), Solana, Movement (Move 언어 체인) 통합이 포함됩니다.

네트워크 참여자: Enso의 혁신은 의도를 처리하는 방식을 탈중앙화하는 3계층 참여자 모델에 있습니다.

  • 액션 제공자 (Action Providers) – 특정 프로토콜 상호작용을 캡슐화하는 모듈식 계약 추상화 ("액션")를 제공하는 개발자입니다. 이러한 빌딩 블록은 다른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에 공유됩니다. 액션 제공자는 자신이 제공한 액션이 실행에 사용될 때마다 보상을 받아, 안전하고 효율적인 모듈을 게시하도록 장려됩니다.

  • 그래퍼 (Graphers) – 사용자 의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액션을 실행 가능한 숏컷으로 결합하는 독립적인 솔버 (알고리즘)입니다. 여러 그래퍼가 각 요청에 대해 가장 최적의 솔루션 (가장 저렴하거나, 가장 빠르거나, 가장 높은 수익률을 내는 경로)을 찾기 위해 경쟁하며, 이는 DEX 애그리게이터에서 솔버가 경쟁하는 방식과 유사합니다. 최상의 솔루션만 실행을 위해 선택되며, 우승한 그래퍼는 수수료의 일부를 받습니다. 이 경쟁 메커니즘은 온체인 경로와 전략의 지속적인 최적화를 장려합니다.

  • 검증인 (Validators) – 그래퍼의 솔루션을 검증하고 최종 확정하여 Enso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노드 운영자입니다. 검증인은 들어오는 요청을 인증하고, 사용된 액션/숏컷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며, 트랜잭션을 시뮬레이션하고, 최종적으로 선택된 솔루션의 실행을 확인합니다. 이들은 네트워크 무결성의 중추를 형성하여 결과가 정확하고 악의적이거나 비효율적인 솔루션을 방지합니다. 검증인은 텐더민트 기반 합의를 실행하며, 이는 각 의도의 결과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고 네트워크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데 BFT 지분 증명 프로세스가 사용됨을 의미합니다.

특히 Enso의 접근 방식은 체인에 구애받지 않으며 (chain-agnostic) API 중심적입니다. 개발자는 각 체인의 미묘한 차이를 다루는 대신 통합된 API/SDK를 통해 Enso와 상호작용합니다. Enso는 여러 블록체인에 걸쳐 250개 이상의 디파이 프로토콜과 통합되어, 분산된 생태계를 하나의 구성 가능한 플랫폼으로 효과적으로 전환합니다. 이 아키텍처는 디앱 팀이 새로운 통합마다 맞춤형 스마트 계약을 작성하거나 크로스체인 메시징을 처리할 필요를 없애줍니다. Enso의 공유 엔진과 커뮤니티 제공 액션이 그 무거운 작업을 처리합니다. 2025년 중반까지 Enso는 확장성을 입증했습니다. 네트워크는 Berachain 출시를 위해 3일 만에 31억 달러의 유동성 마이그레이션을 성공적으로 촉진했으며 (가장 큰 디파이 마이그레이션 이벤트 중 하나), 현재까지 150억 달러 이상의 온체인 트랜잭션을 처리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실제 환경에서 Enso 인프라의 견고함을 보여줍니다.

전반적으로 Enso의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웹3를 위한 "디파이 미들웨어" 또는 온체인 운영 체제를 제공합니다. 이는 인덱싱 (더 그래프 (The Graph)와 같은)과 트랜잭션 실행 (크로스체인 브릿지나 DEX 애그리게이터와 같은) 요소를 단일 탈중앙화 네트워크로 결합합니다. 이 독특한 스택을 통해 모든 애플리케이션, 봇 또는 에이전트가 하나의 통합을 통해 모든 체인의 모든 스마트 계약에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어 개발을 가속화하고 새로운 구성 가능한 사용 사례를 가능하게 합니다. Enso는 멀티체인 미래를 위한 핵심 인프라, 즉 각 앱이 블록체인 통합을 재창조할 필요 없이 수많은 앱을 구동할 수 있는 의도 엔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토크노믹스

Enso의 경제 모델은 네트워크 운영과 거버넌스에 필수적인 ENSO 토큰을 중심으로 합니다. ENSO는 총 공급량이 1억 개로 고정된 유틸리티 및 거버넌스 토큰입니다. 토큰의 설계는 모든 참여자의 인센티브를 일치시키고 사용과 보상의 플라이휠 효과를 창출합니다.

  • 수수료 통화 ("가스"): Enso 네트워크에 제출된 모든 요청에는 ENSO로 지불해야 하는 쿼리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사용자 (또는 디앱)가 의도를 트리거하면, 생성된 트랜잭션 바이트코드에 소액의 수수료가 포함됩니다. 이 수수료는 공개 시장에서 ENSO 토큰으로 경매된 후, 요청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참여자에게 분배됩니다. 사실상 ENSO는 Enso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온체인 의도 실행을 촉진하는 가스입니다. Enso의 숏컷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 수수료를 지불하기 위한 ENSO 토큰 수요가 증가하여 토큰 가치를 뒷받침하는 수요-공급 피드백 루프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수익 공유 및 스테이킹 보상: 수수료로 징수된 ENSO는 기여에 대한 보상으로 액션 제공자, 그래퍼, 검증인에게 분배됩니다. 이 모델은 토큰 수익을 네트워크 사용량과 직접적으로 연결합니다. 즉, 의도 처리량이 많을수록 분배할 수수료가 많아집니다. 액션 제공자는 자신의 추상화가 사용될 때 토큰을 벌고, 그래퍼는 우승 솔루션에 대해 토큰을 벌며, 검증인은 네트워크를 검증하고 보호함으로써 토큰을 법니다. 세 가지 역할 모두 참여하기 위해 ENSO를 담보로 스테이킹해야 하며 (부정 행위 시 삭감됨), 이는 네트워크 건전성과 인센티브를 일치시킵니다. 토큰 보유자는 자신의 ENSO를 검증인에게 위임하여 위임 지분 증명을 통해 네트워크 보안을 지원할 수도 있습니다. 이 스테이킹 메커니즘은 텐더민트 합의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다른 체인에서 채굴자/검증인이 가스 수수료를 버는 것과 유사하게 토큰 스테이커에게 네트워크 수수료의 일부를 제공합니다.

  • 거버넌스: ENSO 토큰 보유자는 프로토콜의 발전을 관리하게 됩니다. Enso는 개방형 네트워크로 출시되며 커뮤니티 주도 의사 결정으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토큰 가중 투표를 통해 보유자는 업그레이드, 파라미터 변경 (수수료 수준 또는 보상 할당 등), 재무부 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거버넌스 권한은 핵심 기여자들과 사용자들이 네트워크의 방향에 대해 일치하도록 보장합니다. 프로젝트의 철학은 빌더와 사용자 커뮤니티에 소유권을 부여하는 것이며, 이는 2025년 커뮤니티 토큰 세일의 주요 동기였습니다 (아래 참조).

  • 긍정적인 플라이휠: Enso의 토크노믹스는 자기 강화 루프를 만들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더 많은 개발자가 Enso를 통합하고 더 많은 사용자가 의도를 실행함에 따라, 네트워크 수수료 (ENSO로 지불)가 증가합니다. 이 수수료는 기여자에게 보상하여 (더 많은 액션, 더 나은 그래퍼, 더 많은 검증인을 유치), 이는 다시 네트워크의 기능 (더 빠르고, 저렴하며, 더 신뢰할 수 있는 실행)을 개선하고 더 많은 사용을 유치합니다. 이 네트워크 효과는 수수료 통화이자 기여 인센티브인 ENSO 토큰의 역할에 의해 뒷받침됩니다. 의도는 토큰 경제가 지속 불가능한 발행에 의존하기보다는 네트워크 채택과 함께 지속 가능하게 확장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토큰 분배 및 공급량: 초기 토큰 할당은 팀/투자자 인센티브와 커뮤니티 소유권의 균형을 맞추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아래 표는 제네시스 시점의 ENSO 토큰 분배를 요약한 것입니다.

할당비율토큰 (1억 개 중)
팀 (창립자 및 핵심 멤버)25.0%25,000,000
초기 투자자 (VC)31.3%31,300,000
재단 및 성장 펀드23.2%23,200,000
생태계 재무부 (커뮤니티 인센티브)15.0%15,000,000
공개 판매 (CoinList 2025)4.0%4,000,000
고문1.5%1,500,000

출처: Enso 토크노믹스.

2025년 6월의 공개 판매에서는 5% (4백만 토큰)를 커뮤니티에 제공하여 ENSO당 1.25달러의 가격으로 5백만 달러를 모금했습니다 (완전 희석 가치 약 1억 2,500만 달러). 특히, 커뮤니티 세일에는 락업이 없었으며 (TGE 시 100% 잠금 해제), 반면 팀과 벤처 투자자는 2년간의 선형 베스팅 일정을 따릅니다. 이는 내부자들의 토큰이 24개월에 걸쳐 블록 단위로 점진적으로 잠금 해제되어 장기적인 네트워크 성장에 기여하고 즉각적인 매도 압력을 완화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커뮤니티는 즉각적인 유동성과 소유권을 얻었으며, 이는 Enso의 광범위한 분배 목표를 반영합니다.

초기 할당 이후 Enso의 발행 일정은 인플레이션보다는 주로 수수료 기반으로 보입니다. 총 공급량은 1억 토큰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현재로서는 블록 보상을 위한 영구적인 인플레이션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검증인은 수수료 수익으로 보상받음). 이는 스테이커에게 보상하기 위해 공급량을 늘리는 많은 레이어-1 프로토콜과 대조됩니다. Enso는 참여자에게 보상하기 위해 실제 사용 수수료를 통해 지속 가능해지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초기 단계에서 네트워크 활동이 저조할 경우, 재단 및 재무부 할당을 사용하여 사용 및 개발 보조금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트스트랩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수요가 높을 경우, ENSO 토큰의 유틸리티 (수수료 및 스테이킹용)가 유기적인 수요 압력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ENSO는 Enso 네트워크의 연료입니다. 트랜잭션을 구동하고 (쿼리 수수료), 네트워크를 보호하며 (스테이킹 및 삭감), 플랫폼을 관리합니다 (투표). 토큰의 가치는 네트워크 채택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Enso가 디파이 애플리케이션의 백본으로 더 널리 사용됨에 따라, ENSO 수수료 및 스테이킹 규모가 그 성장을 반영해야 합니다. 신중한 분배 (TGE 이후 즉시 유통되는 부분은 소량)와 최고 투자자들의 강력한 지원 (아래 참조)은 토큰의 지원에 대한 신뢰를 제공하며, 커뮤니티 중심의 판매는 소유권의 탈중앙화에 대한 약속을 시사합니다.

팀 및 투자자

Enso 네트워크는 2021년Connor Howe (CEO)와 Gorazd Ocvirk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이들은 이전에 스위스의 암호화폐 은행 부문인 Sygnum Bank에서 함께 일했습니다. Connor Howe는 CEO로서 프로젝트를 이끌며 커뮤니케이션과 인터뷰에서 대외적인 얼굴 역할을 합니다. 그의 리더십 아래, Enso는 처음에 소셜 트레이딩 디파이 플랫폼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의 피봇을 거쳐 현재의 의도 기반 인프라 비전에 도달했습니다. 이러한 적응력은 2021년 인덱스 프로토콜에 대한 세간의 이목을 끈 "뱀파이어 공격 (vampire attack)" 실행부터 디파이 애그리게이터 슈퍼 앱 구축, 그리고 마침내 그들의 툴링을 Enso의 개발자 플랫폼으로 일반화하기까지 팀의 기업가적 회복력을 보여줍니다. 공동 창립자인 Gorazd Ocvirk (박사)는 양적 금융 및 웹3 제품 전략에 대한 깊은 전문 지식을 제공했지만,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그는 다른 벤처로 옮겼을 수 있습니다 (2022년에 다른 암호화폐 스타트업의 공동 창립자로 언급됨). 오늘날 Enso의 핵심 팀에는 강력한 디파이 배경을 가진 엔지니어운영자가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Peter Phillips와 Ben Wolf는 "블록엔드" (블록체인 백엔드) 엔지니어로 등재되어 있으며, Valentin Meylan이 연구를 이끌고 있습니다. 팀은 전 세계에 분산되어 있지만,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허브로 알려진 스위스 추크/취리히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Enso Finance AG는 2020년 스위스에 등록됨).

창립자 외에도 Enso는 상당한 신뢰도를 부여하는 주목할 만한 고문과 후원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최상위 암호화폐 벤처 펀드와 엔젤 투자자들의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Polychain CapitalMulticoin Capital을 주요 투자자로 두고 있으며, DialecticSpartan Group (둘 다 저명한 암호화폐 펀드), 그리고 IDEO CoLab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인상적인 엔젤 투자자 명단도 여러 라운드에 걸쳐 참여했습니다. 주요 웹3 프로젝트 출신의 70명 이상의 개인이 Enso에 투자했습니다. 여기에는 LayerZero, Safe (Gnosis Safe), 1inch, Yearn Finance, Flashbots, Dune Analytics, Pendle 등의 창립자 또는 임원이 포함됩니다. 기술계의 거물인 Naval Ravikant (AngelList 공동 창립자)도 투자자이자 지지자입니다. 이러한 이름들은 Enso의 비전에 대한 강력한 업계 신뢰를 나타냅니다.

Enso의 자금 조달 이력: 이 프로젝트는 2021년 초 소셜 트레이딩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5백만 달러의 시드 라운드를 유치했으며, 이후 제품을 발전시키면서 420만 달러의 라운드 (전략적/VC)를 유치했습니다 (이 초기 라운드에는 Polychain, Multicoin, Dialectic 등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2023년 중반까지 Enso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기에 충분한 자본을 확보했습니다. 특히, 인프라 피봇이 주목받기 전까지는 비교적 조용히 운영되었습니다. 2025년 2분기에 Enso는 CoinList에서 5백만 달러 규모의 커뮤니티 토큰 세일을 시작했으며, 수만 명의 참여자가 몰려 초과 구독되었습니다. 이 세일의 목적은 자금 조달뿐만 아니라 (이전 VC 지원을 고려하면 금액은 크지 않음) 소유권을 탈중앙화하고 성장하는 커뮤니티에 네트워크 성공의 지분을 제공하는 것이었습니다. CEO Connor Howe에 따르면, "우리는 초기 지지자, 사용자, 신봉자들이 Enso에 대한 실질적인 소유권을 갖기를 원합니다... 사용자를 옹호자로 바꾸는 것입니다." 이 커뮤니티 중심 접근 방식은 일치된 인센티브를 통해 풀뿌리 성장과 네트워크 효과를 주도하려는 Enso 전략의 일부입니다.

오늘날 Enso의 팀은 "의도 기반 디파이" 분야의 사상적 리더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그들은 개발자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예: Enso의 숏컷 스피드런은 게임화된 학습 이벤트로 70만 명의 참가자를 유치함) 통합에 대해 다른 프로토콜과 협력합니다. 피봇 능력이 입증된 강력한 핵심 팀, 우량 투자자 (blue-chip investors), 그리고 열정적인 커뮤니티의 조합은 Enso가 야심 찬 로드맵을 실행할 재능과 재정적 지원을 모두 갖추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채택 지표 및 사용 사례

비교적 새로운 인프라임에도 불구하고, Enso는 해당 분야에서 상당한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복잡한 온체인 통합이나 크로스체인 기능이 필요한 프로젝트를 위한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2025년 중반 기준 주요 채택 지표 및 마일스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태계 통합: 100개 이상의 라이브 애플리케이션 (디앱, 지갑, 서비스)이 온체인 기능을 구동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Enso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디파이 대시보드부터 자동화된 수익 최적화 도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Enso는 프로토콜을 추상화하므로, 개발자는 Enso의 API에 연결하여 제품에 새로운 디파이 기능을 신속하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는 주요 체인에 걸쳐 250개 이상의 디파이 프로토콜 (DEX, 대출 플랫폼, 수익 농장, NFT 마켓 등)과 통합되었습니다. 이는 Enso가 Uniswap 거래부터 Yearn 볼트 예치까지 사용자가 원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온체인 작업을 실행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 광범위한 통합은 Enso 고객의 개발 시간을 크게 단축시킵니다. 새로운 프로젝트는 각 통합을 독립적으로 코딩하는 대신 Enso를 사용하여 이더리움, 레이어-2, 심지어 솔라나의 모든 DEX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 개발자 채택: Enso의 커뮤니티는 현재 1,900명 이상의 개발자가 툴킷을 사용하여 적극적으로 빌드하고 있습니다. 이 개발자들은 직접 숏컷/액션을 만들거나 Enso를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에 통합할 수 있습니다. 이 수치는 Enso가 단지 폐쇄된 시스템이 아니라, 숏컷을 사용하거나 라이브러리에 기여하는 성장하는 빌더 생태계를 가능하게 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온체인 개발을 단순화하는 Enso의 접근 방식 (빌드 시간을 6개월 이상에서 일주일 미만으로 단축한다고 주장)은 웹3 개발자들에게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이는 해커톤과 커뮤니티 멤버들이 플러그 앤 플레이 숏컷 예제를 공유하는 Enso 템플릿 라이브러리에서도 입증됩니다.

  • 트랜잭션 규모: Enso의 인프라를 통해 누적 150억 달러 이상의 온체인 트랜잭션이 처리되었습니다. 2025년 6월에 보고된 이 지표는 Enso가 테스트 환경에서만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가치를 대규모로 처리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예는 Berachain의 유동성 마이그레이션입니다. 2025년 4월, Enso는 Berachain의 테스트넷 캠페인 ("Boyco")을 위한 유동성 이동을 지원했으며, 3일 동안 31억 달러의 트랜잭션을 실행하여 디파이 역사상 가장 큰 유동성 이벤트 중 하나를 촉진했습니다. Enso의 엔진은 이 부하를 성공적으로 처리하여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신뢰성과 처리량을 입증했습니다. 또 다른 예는 Enso와 Uniswap의 파트너십입니다. Enso는 Uniswap v3 LP 포지션을 이더리움에서 다른 체인으로 원활하게 마이그레이션하는 데 도움이 되는 Uniswap 포지션 마이그레이터 도구 (Uniswap Labs, LayerZero, Stargate와 협력하여)를 구축했습니다. 이 도구는 일반적으로 복잡한 크로스체인 프로세스 (브리징 및 NFT 재배포 포함)를 원클릭 숏컷으로 단순화했으며, 그 출시는 Enso가 최고의 디파이 프로토콜과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 실제 사용 사례: Enso의 가치 제안은 그것이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사용 사례를 통해 가장 잘 이해됩니다. 프로젝트들은 혼자서는 구축하기 매우 어려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Enso를 사용했습니다.

    • 크로스체인 수익 애그리게이션: PlumeSonic은 사용자가 한 체인에 자산을 예치하고 다른 체인의 수익 전략에 배포할 수 있는 인센티브 론칭 캠페인을 구동하기 위해 Enso를 사용했습니다. Enso는 크로스체인 메시징과 다단계 트랜잭션을 처리하여, 이 새로운 프로토콜들이 토큰 출시 이벤트 동안 사용자에게 원활한 크로스체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유동성 마이그레이션 및 합병: 앞서 언급했듯이, Berachain은 다른 생태계로부터의 "뱀파이어 공격"과 같은 유동성 마이그레이션을 위해 Enso를 활용했습니다. 마찬가지로, 다른 프로토콜들은 Enso 숏컷을 사용하여 경쟁 플랫폼에서 자신의 플랫폼으로 사용자 자금을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여러 플랫폼에 걸친 승인, 인출, 전송, 예치를 하나의 의도로 묶음으로써 가능합니다. 이는 프로토콜 성장 전략에서 Enso의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 디파이 "슈퍼 앱" 기능: 일부 지갑과 인터페이스 (예: Eliza OS 암호화폐 비서 및 Infinex 거래 플랫폼)는 원스톱 디파이 작업을 제공하기 위해 Enso를 통합합니다. 사용자는 한 번의 클릭으로 최상의 환율로 자산을 스왑하고 (Enso가 DEX 간 라우팅), 그 결과물을 대출하여 수익을 얻고, LP 토큰을 스테이킹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을 Enso가 하나의 숏컷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해당 앱의 사용자 경험과 기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 자동화 및 봇: Enso를 사용하는 **"에이전트"**와 심지어 AI 기반 봇의 등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Enso는 API를 노출하므로, 알고리즘 트레이더나 AI 에이전트는 높은 수준의 목표 (예: "모든 체인에서 X 자산의 수익 극대화")를 입력하고 Enso가 최적의 전략을 찾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각 프로토콜에 대한 맞춤형 봇 엔지니어링 없이 자동화된 디파이 전략 실험의 문을 열었습니다.
  • 사용자 성장: Enso는 주로 B2B/B2Dev 인프라이지만, 캠페인을 통해 최종 사용자 및 열성 팬 커뮤니티를 육성했습니다. 게임화된 튜토리얼 시리즈인 **숏컷 스피드런 (Shortcut Speedrun)**은 70만 명 이상의 참가자를 기록했으며, 이는 Enso의 기능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나타냅니다. Enso의 소셜 팔로잉은 몇 달 만에 거의 10배 증가했으며 (2025년 중반 기준 X 팔로워 248k), 암호화폐 사용자들 사이에서 강력한 인지도를 반영합니다. 이러한 커뮤니티 성장은 풀뿌리 수요를 창출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Enso를 아는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디앱에 통합을 장려하거나 Enso의 숏컷을 활용하는 제품을 사용할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Enso는 이론을 넘어 실제 채택으로 나아갔습니다. Uniswap, SushiSwap, Stargate/LayerZero, Berachain, zkSync, Safe, Pendle, Yearn 등 잘 알려진 이름을 포함한 100개 이상의 프로젝트로부터 통합 파트너 또는 Enso 기술의 직접 사용자로 신뢰를 받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 (DEX, 브릿지, 레이어-1, 디앱)에 걸친 이 광범위한 사용은 Enso가 범용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핵심적인 성과 지표인 150억 달러 이상의 트랜잭션은 이 단계의 인프라 프로젝트로서는 특히 인상적이며, 의도 기반 미들웨어에 대한 시장 적합성을 검증합니다. 투자자들은 Enso의 네트워크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안심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통합이 더 많은 사용을 낳고, 이는 다시 더 많은 통합을 낳습니다. 앞으로의 과제는 이 초기 모멘텀을 지속적인 성장으로 전환하는 것이며, 이는 경쟁사에 대한 Enso의 포지셔닝 및 로드맵과 관련이 있습니다.

경쟁 환경

Enso 네트워크는 디파이 애그리게이션,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개발자 인프라의 교차점에서 운영되므로 경쟁 환경이 다각적입니다. 동일한 제품을 제공하는 단일 경쟁자는 없지만, Enso는 여러 범주의 웹3 프로토콜과 경쟁합니다.

  • 탈중앙화 미들웨어 및 인덱싱: 가장 직접적인 비유는 **더 그래프 (The Graph, GRT)**입니다. 더 그래프는 서브그래프를 통해 블록체인 데이터를 쿼리하기 위한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제공합니다. Enso도 유사하게 데이터 제공자 (액션 제공자)를 크라우드소싱하지만, 데이터 가져오기 외에 트랜잭션 실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 단계 더 나아갑니다. 더 그래프의 약 9억 2,400만 달러 시가총액이 인덱싱만으로 구축된 반면, Enso의 더 넓은 범위 (데이터 + 액션)는 개발자들의 관심을 끄는 데 더 강력한 도구로 자리매김하게 합니다. 그러나 더 그래프는 잘 확립된 네트워크이므로, Enso는 유사한 채택을 달성하기 위해 실행 계층의 신뢰성과 보안을 입증해야 합니다. 더 그래프나 다른 인덱싱 프로토콜이 실행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는 Enso의 틈새 시장과 직접적으로 경쟁하게 될 것입니다.

  •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프로토콜: LayerZero, Axelar, Wormhole, Chainlink CCIP와 같은 프로젝트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이들은 체인 간 메시지 전달 및 자산 브리징에 중점을 둡니다. Enso는 실제로 일부를 내부적으로 사용하며 (예: Uniswap 마이그레이터에서 브리징을 위해 LayerZero/Stargate 사용), 더 높은 수준의 추상화 계층에 가깝습니다. 경쟁 측면에서, 이러한 상호운용성 프로토콜이 더 높은 수준의 "의도" API나 멀티체인 액션을 구성하기 위한 개발자 친화적인 SDK를 제공하기 시작하면 Enso와 겹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xelar는 크로스체인 호출을 위한 SDK를 제공하며, Chainlink의 CCIP는 크로스체인 함수 실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Enso의 차별점은 단순히 체인 간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통합된 엔진과 디파이 액션 라이브러리를 유지한다는 것입니다. Enso는 원시적인 크로스체인 프리미티브 위에 구축하도록 강요하는 대신, 기성 솔루션을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nso는 이러한 상호운용성 프로젝트들이 자금이 풍부하고 빠르게 혁신하는 더 넓은 블록체인 미들웨어 부문에서 시장 점유율을 놓고 경쟁할 것입니다.

  • 트랜잭션 애그리게이터 및 자동화: 디파이 세계에는 거래소 간 최적의 거래 경로를 찾는 데 중점을 둔 1inch, 0x API, CoW Protocol과 같은 기존 애그리게이터가 있습니다. Enso의 의도에 대한 그래퍼 메커니즘은 개념적으로 CoW Protocol의 솔버 경쟁과 유사하지만, Enso는 이를 스왑을 넘어 모든 액션으로 일반화합니다. "수익 극대화"라는 사용자 의도는 스왑, 대출, 스테이킹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순수 DEX 애그리게이터의 범위를 벗어납니다. 즉, Enso는 중복되는 사용 사례 (예: 복잡한 토큰 스왑 경로에 대한 Enso 대 1inch)에서 이러한 서비스와 효율성을 비교받게 될 것입니다. Enso가 그래퍼 네트워크 덕분에 지속적으로 더 나은 경로를 찾거나 더 낮은 수수료를 제공한다면, 전통적인 애그리게이터를 능가할 수 있습니다. **젤라토 네트워크 (Gelato Network)**는 자동화 분야의 또 다른 경쟁자입니다. 젤라토는 디앱을 대신하여 지정가 주문, 자동 복리, 크로스체인 전송과 같은 작업을 실행하는 탈중앙화 봇 네트워크를 제공합니다. 젤라토는 GEL 토큰과 특정 사용 사례에 대한 기존 고객 기반을 가지고 있습니다. Enso의 장점은 그 범위와 통합된 인터페이스입니다. 각 사용 사례에 대해 별도의 제품을 제공하는 대신 (젤라토처럼), Enso는 모든 로직을 숏컷으로 인코딩할 수 있는 일반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젤라토의 선점과 자동화와 같은 분야에서의 집중적인 접근 방식은 Enso를 사용할 수 있는 개발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습니다.

  • 개발자 플랫폼 (웹3 SDK): Moralis, Alchemy, Infura, Tenderly와 같이 블록체인 구축을 단순화하는 웹2 스타일의 개발자 플랫폼도 있습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읽기, 트랜잭션 전송을 위한 API 액세스를 제공하며, 때로는 더 높은 수준의 엔드포인트 (예: "토큰 잔액 가져오기" 또는 "체인 간 토큰 전송")를 제공합니다. 이들은 대부분 중앙 집중식 서비스이지만, 동일한 개발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경쟁합니다. Enso의 장점은 탈중앙화되고 구성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개발자는 단순히 데이터나 단일 기능을 얻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기여한 온체인 기능의 전체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성공한다면, Enso는 개발자들이 오픈 소스 코드처럼 숏컷을 공유하고 재사용하는 **"온체인 액션의 GitHub"**이 될 수 있습니다. 자금이 풍부한 서비스형 인프라 회사와 경쟁하려면 Enso는 광범위한 API와 문서를 통해 비교 가능한 신뢰성과 사용 편의성을 제공해야 합니다.

  • 자체 개발 솔루션: 마지막으로, Enso는 현상 유지, 즉 팀이 자체적으로 맞춤형 통합을 구축하는 것과 경쟁합니다. 전통적으로, 다중 프로토콜 기능을 원하는 프로젝트는 각 통합 (예: Uniswap, Aave, Compound를 별도로 통합)을 위해 스마트 계약이나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유지 관리해야 했습니다. 많은 팀은 여전히 최대한의 통제나 보안 고려 사항 때문에 이 경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Enso는 이 작업을 공유 네트워크에 아웃소싱하는 것이 안전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최신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을 개발자들에게 설득해야 합니다. 디파이 혁신의 속도를 고려할 때, 자체 통합을 유지하는 것은 부담스럽습니다 (Enso는 종종 팀이 수십 개의 프로토콜을 통합하기 위해 6개월 이상과 50만 달러의 감사를 지출한다고 언급합니다). Enso가 보안의 엄격함을 증명하고 액션 라이브러리를 최신 프로토콜로 유지할 수 있다면, 더 많은 팀을 사일로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Enso에서 발생한 중대한 보안 사고나 다운타임은 개발자들이 자체 솔루션을 선호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는 그 자체로 경쟁 리스크입니다.

Enso의 차별점: Enso의 주요 강점은 의도 중심의 커뮤니티 주도 실행 네트워크를 시장에 처음으로 선보였다는 점입니다. 데이터 인덱싱, 스마트 계약 SDK, 트랜잭션 라우팅, 크로스체인 브리징 등 여러 다른 서비스를 사용해야 하는 기능들을 하나로 결합했습니다. 인센티브 모델 (기여에 대해 제3자 개발자에게 보상) 또한 독특합니다. 이는 더 그래프의 커뮤니티가 긴 꼬리의 계약들을 인덱싱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많은 틈새 프로토콜이 단일 팀이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빨리 Enso에 통합되는 활기찬 생태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Enso가 성공한다면,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 해자를 누릴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액션과 숏컷은 경쟁사보다 Enso를 사용하는 것을 더 매력적으로 만들고, 이는 더 많은 사용자를 유치하여 더 많은 액션이 기여되도록 하는 선순환을 만듭니다.

즉, Enso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가장 가까운 유사체인 더 그래프는 탈중앙화하고 인덱서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수년이 걸렸습니다. Enso도 마찬가지로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그래퍼와 검증인 커뮤니티를 육성해야 합니다. 대규모 플레이어 (미래 버전의 더 그래프나 체인링크와 다른 플레이어들의 협력 등)가 기존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경쟁적인 의도 실행 계층을 출시하기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Enso는 그러한 경쟁이 구체화되기 전에 자신의 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해 신속하게 움직여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Enso는 여러 중요한 웹3 분야의 경쟁 교차로에 서 있습니다. *"모든 것의 미들웨어"*로서 틈새 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그 성공은 각 사용 사례에서 전문화된 경쟁자를 능가하거나 (또는 그들을 통합하고) 개발자들이 처음부터 구축하는 대신 Enso를 선택하도록 정당화하는 매력적인 원스톱 솔루션을 계속 제공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유명 파트너와 투자자의 존재는 Enso가 많은 생태계에 발을 들여놓았음을 시사하며, 이는 통합 범위를 확장함에 따라 유리할 것입니다.

로드맵 및 생태계 성장

Enso의 개발 로드맵 (2025년 중반 기준)은 완전한 탈중앙화, 멀티체인 지원, 커뮤니티 주도 성장을 향한 명확한 경로를 제시합니다. 주요 마일스톤 및 계획된 이니셔티브는 다음과 같습니다.

  • 메인넷 출시 (2024년 3분기) – Enso는 2024년 하반기에 메인넷 네트워크를 출시했습니다. 이는 텐더민트 기반 체인을 배포하고 검증인 생태계를 초기화하는 것을 포함했습니다. 초기 검증인은 네트워크가 부트스트랩되는 동안 허가되거나 선택된 파트너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메인넷 출시를 통해 실제 사용자 쿼리가 Enso의 엔진에 의해 처리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Enso의 서비스가 베타 기간 동안 중앙 집중식 API를 통해 접근 가능했음). 이 마일스톤은 Enso가 내부 플랫폼에서 공개 탈중앙화 네트워크로 전환했음을 의미합니다.

  • 네트워크 참여자 확장 (2024년 4분기) – 메인넷 이후, 초점은 참여의 탈중앙화로 옮겨졌습니다. 2024년 말, Enso는 외부 액션 제공자와 그래퍼를 위한 역할을 개방했습니다. 여기에는 개발자가 자신만의 액션 (스마트 계약 어댑터)을 만들고 알고리즘 개발자가 그래퍼 노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툴링과 문서 출시가 포함되었습니다. 이러한 참여자를 유치하기 위해 인센티브 프로그램이나 테스트넷 대회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습니다. 2024년 말까지 Enso는 라이브러리에 더 넓은 범위의 제3자 액션을 보유하고, 여러 그래퍼가 의도에 대해 경쟁하여 핵심 팀의 내부 알고리즘을 넘어서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이는 Enso가 중앙 집중식 서비스가 아니라 누구나 기여하고 ENSO 토큰을 벌 수 있는 진정한 개방형 네트워크임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였습니다.

  • 크로스체인 확장 (2025년 1분기) – Enso는 많은 블록체인을 지원하는 것이 가치 제안의 핵심임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2025년 초, 로드맵은 초기 EVM 세트를 넘어 새로운 블록체인 환경과의 통합을 목표로 했습니다. 구체적으로, Enso는 2025년 1분기까지 Monad, Solana, Movement 지원을 계획했습니다. Monad는 곧 출시될 고성능 EVM 호환 체인 (Dragonfly Capital의 지원을 받음)으로, 이를 조기에 지원하면 Enso가 해당 체인의 핵심 미들웨어로 자리매김할 수 있습니다. Solana 통합은 더 어렵지만 (다른 런타임과 언어), Enso의 의도 엔진은 오프체인 그래퍼를 사용하여 솔라나 트랜잭션을 구성하고 온체인 프로그램을 어댑터로 사용하여 솔라나와 작동할 수 있습니다. Movement는 Move 언어 기반 체인 (아마도 Aptos/Sui 또는 Movement라는 특정 체인)을 의미합니다. Move 기반 체인을 통합함으로써 Enso는 광범위한 생태계 (솔리디티와 Move, 그리고 기존 이더리움 롤업)를 포괄하게 됩니다. 이러한 통합을 달성하려면 솔라나의 CPI 호출이나 Move의 트랜잭션 스크립트를 이해하는 새로운 액션 모듈을 개발하고, 오라클/인덱싱을 위해 해당 생태계와 협력해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업데이트에서 Enso가 언급된 것은 이러한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 업데이트는 파트너십이나 보조금을 강조했으며 (검색 결과에서 "Eclipse 메인넷 라이브 + Movement 보조금" 언급은 Enso가 2025년 초까지 Eclipse 및 Movement와 같은 새로운 L1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었음을 시사함).

  • 단기 (2025년 중/후반) – 단일 페이지 로드맵에 명시적으로 구분되어 있지는 않지만, 2025년 중반까지 Enso의 초점은 네트워크 성숙도와 탈중앙화에 있습니다. 2025년 6월 CoinList 토큰 세일 완료는 주요 이벤트입니다. 다음 단계는 토큰 생성 및 배포 (2025년 7월경 예상)와 거래소 또는 거버넌스 포럼에 상장하는 것입니다. Enso는 커뮤니티가 새로 획득한 토큰을 사용하여 의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거버넌스 프로세스 (Enso 개선 제안, 온체인 투표)를 출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Enso는 아직 그렇지 않다면 "베타"에서 완전한 프로덕션 준비 서비스로 전환할 것입니다. 이 중 일부는 보안 강화가 될 것입니다. 관련된 대규모 TVL을 고려할 때 여러 스마트 계약 감사를 수행하고 버그 바운티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 생태계 성장 전략: Enso는 네트워크 주변에 생태계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한 가지 전략은 개발자들을 Enso 방식으로 빌드하도록 온보딩하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과 해커톤 (예: 숏컷 스피드런 및 워크숍)을 운영하는 것이었습니다. 또 다른 전략은 출시 시점에 새로운 프로토콜과 파트너십을 맺는 것입니다. 이는 Berachain, zkSync 캠페인 등에서 볼 수 있었습니다. Enso는 신흥 네트워크나 디파이 프로젝트를 위한 "온체인 론칭 파트너"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복잡한 사용자 온보딩 흐름을 처리함으로써 이를 계속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Enso의 거래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Berachain에서 볼 수 있듯이) Enso를 해당 생태계에 깊숙이 통합시킵니다. Enso가 더 많은 레이어-2 네트워크 (예: Arbitrum, Optimism은 이미 지원되었을 것이며, 다음은 Scroll이나 Starknet과 같은 새로운 네트워크) 및 기타 L1 (XCM을 통한 Polkadot, IBC 또는 Osmosis를 통한 Cosmos 등)과의 통합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장기적인 비전은 Enso가 체인에 구애받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즉, 모든 체인의 모든 개발자가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Enso는 더 나은 브릿지 없는 크로스체인 실행 (원자 스왑이나 체인 간 의도의 낙관적 실행과 같은 기술 사용)을 개발할 수도 있으며, 이는 2025년 이후의 R&D 로드맵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 미래 전망: 더 나아가, Enso 팀은 네트워크 참여자로서 AI 에이전트의 참여를 암시했습니다. 이는 인간 개발자뿐만 아니라 AI 봇 (아마도 디파이 전략을 최적화하도록 훈련된)이 Enso에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를 시사합니다. Enso는 AI 에이전트가 의도 엔진과 안전하게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SDK나 프레임워크를 만들어 이 비전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는 AI와 블록체인 자동화를 결합하는 획기적인 발전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2025년 말이나 2026년까지 Enso는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성능 확장 (네트워크를 샤딩하거나 영지식 증명을 사용하여 의도 실행 정확성을 대규모로 검증)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로드맵은 야심 차지만 지금까지의 실행은 강력했습니다. Enso는 메인넷 출시 및 실제 사용 사례 제공과 같은 주요 마일스톤을 달성했습니다. 중요한 다가오는 마일스톤은 네트워크의 완전한 탈중앙화입니다. 현재 네트워크는 전환 과정에 있습니다. 문서에 따르면 탈중앙화 네트워크는 테스트넷에 있으며, 2025년 초까지 프로덕션을 위해 중앙 집중식 API가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이제 메인넷이 가동되고 토큰이 유통됨에 따라 Enso는 모든 중앙 집중식 구성 요소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입니다. 투자자에게는 이 탈중앙화 진행 상황 (예: 독립적인 검증인 수, 커뮤니티 그래퍼 참여)을 추적하는 것이 Enso의 성숙도를 평가하는 데 핵심이 될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Enso의 로드맵은 **네트워크의 도달 범위 확장 (더 많은 체인, 더 많은 통합)**과 **네트워크 커뮤니티 확장 (더 많은 제3자 참여자 및 토큰 보유자)**에 중점을 둡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Infura가 디앱 연결에 필수적이 되었거나 더 그래프가 데이터 쿼리에 필수적이 된 것처럼, Enso를 웹3의 핵심 인프라로 확고히 하는 것입니다. Enso가 마일스톤을 달성할 수 있다면, 2025년 하반기에는 Enso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생태계가 꽃피우고 사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리스크 평가

모든 초기 단계 프로토콜과 마찬가지로, Enso 네트워크는 투자자들이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다양한 리스크와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 기술 및 보안 리스크: Enso의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복잡합니다. 오프체인 솔버와 검증인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블록체인에 걸쳐 수많은 스마트 계약과 상호작용합니다. 이 광범위한 공격 표면은 기술적 리스크를 야기합니다. 각각의 새로운 액션 (통합)은 취약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액션의 로직에 결함이 있거나 악의적인 제공자가 백도어 액션을 도입하면 사용자 자금이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모든 통합이 안전한지 확인하려면 상당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Enso 팀은 초기 단계에서 15개 프로토콜을 통합하기 위해 감사에 50만 달러 이상을 지출했습니다). 라이브러리가 수백 개의 프로토콜로 성장함에 따라 엄격한 보안 감사를 유지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또한 Enso의 조정 로직에 버그가 있을 위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래퍼가 트랜잭션을 구성하는 방식이나 검증인이 이를 확인하는 방식에 결함이 있으면 악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크로스체인 실행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일련의 작업이 여러 체인에 걸쳐 있고 한 부분이 실패하거나 검열되면 사용자의 자금이 불확실한 상태에 놓일 수 있습니다. Enso가 일부 경우에 재시도나 원자 스왑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지만, 의도의 복잡성은 알려지지 않은 실패 모드가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의도 기반 모델 자체는 대규모로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엔진이 잘못된 솔루션을 생성하거나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결과를 낳는 극단적인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중대한 익스플로잇이나 실패는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신뢰를 훼손할 수 있습니다. 완화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보안 감사, 강력한 버그 바운티 프로그램, 그리고 아마도 사용자를 위한 보험 메커니즘 (아직 자세히 설명되지 않음)이 필요합니다.

  • 탈중앙화 및 운영 리스크: 현재 (2025년 중반), Enso 네트워크는 여전히 참여자를 탈중앙화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이는 보이지 않는 운영상의 중앙 집중화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팀의 인프라가 여전히 많은 활동을 조정하고 있거나, 소수의 검증인/그래퍼만이 실제로 활동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두 가지 리스크를 제시합니다. 신뢰성 (핵심 팀의 서버가 다운되면 네트워크가 중단될 것인가?)과 신뢰 (프로세스가 아직 완전히 신뢰할 수 없다면, 사용자는 Enso Inc.가 선행 매매나 트랜잭션 검열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어야 함). 팀은 큰 이벤트 (예: 며칠 만에 30억 달러 규모 처리)에서 신뢰성을 입증했지만,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독립 노드를 통해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참여자가 나타나지 않을 위험도 있습니다. Enso가 충분히 숙련된 액션 제공자나 그래퍼를 유치하지 못하면, 네트워크는 핵심 팀에 의존하게 되어 탈중앙화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는 혁신을 늦추고 너무 많은 권력 (및 토큰 보상)을 소규모 그룹에 집중시킬 수 있으며, 이는 의도된 설계와 반대입니다.

  • 시장 및 채택 리스크: Enso는 인상적인 초기 채택을 보였지만, "의도 기반" 인프라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 더 넓은 개발자 커뮤니티가 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채택하는 데 더딜 위험이 있습니다. 전통적인 코딩 관행에 익숙한 개발자들은 핵심 기능을 외부 네트워크에 의존하는 것을 주저하거나, 대안 솔루션을 선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Enso의 성공은 디파이 및 멀티체인 생태계의 지속적인 성장에 달려 있습니다. 멀티체인 가설이 흔들리면 (예: 대부분의 활동이 단일 지배적인 체인에 통합되면), Enso의 크로스체인 기능에 대한 필요성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반대로, Enso가 신속하게 통합하지 못하는 새로운 생태계가 등장하면, 해당 생태계의 프로젝트는 Enso를 사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본질적으로, 모든 새로운 체인과 프로토콜에 대해 최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끝없는 도전입니다. 주요 통합 (예: 인기 있는 새로운 DEX나 레이어-2)을 놓치거나 지연하면 프로젝트가 경쟁사나 맞춤형 코드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Enso의 사용은 거시 경제 상황에 의해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심각한 디파이 침체기에는 더 적은 수의 사용자와 개발자가 새로운 디앱을 실험할 수 있으며, 이는 Enso에 제출되는 의도를 직접적으로 감소시켜 네트워크의 수수료/수익을 줄입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토큰의 가치가 하락하여 스테이킹의 매력을 떨어뜨리고 네트워크 보안이나 참여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 경쟁: 논의된 바와 같이, Enso는 여러 전선에서 경쟁에 직면해 있습니다. 주요 리스크는 더 큰 플레이어가 의도 실행 공간에 진입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Chainlink와 같은 자금이 풍부한 프로젝트가 기존 오라클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유사한 의도 서비스를 도입한다면, 브랜드 신뢰와 통합으로 인해 Enso를 빠르게 압도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인프라 회사 (Alchemy, Infura)는 탈중앙화되지는 않았지만 편의성으로 개발자 시장을 장악할 수 있는 단순화된 멀티체인 SDK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오픈 소스 모방의 위험도 있습니다. Enso의 핵심 개념 (액션, 그래퍼)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복제될 수 있으며, 코드가 공개되면 Enso의 포크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 중 하나가 강력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거나 더 나은 토큰 인센티브를 찾으면 잠재적인 참여자를 빼앗을 수 있습니다. Enso는 경쟁을 물리치기 위해 기술적 리더십 (예: 가장 큰 액션 라이브러리와 가장 효율적인 솔버 보유)을 유지해야 합니다. 경쟁 압력은 Enso의 수수료 모델을 압박할 수도 있습니다. 경쟁자가 유사한 서비스를 더 저렴하게 (또는 VC의 보조금으로 무료로) 제공하면, Enso는 수수료를 낮추거나 토큰 인센티브를 늘려야 할 수 있으며, 이는 토크노믹스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 규제 및 규정 준수 리스크: Enso는 규제 측면에서 회색 지대인 디파이 인프라 공간에서 운영됩니다. Enso 자체는 사용자 자금을 보관하지 않지만 (사용자는 자신의 지갑에서 의도를 실행), 네트워크는 프로토콜 전반에 걸쳐 복잡한 금융 거래를 자동화합니다. 규제 당국이 의도 구성 엔진을 무허가 금융 활동을 조장하거나, 자금을 은폐된 방식으로 체인 간에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경우 자금 세탁을 돕는 것으로 간주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Enso가 프라이버시 풀이나 제재 대상 관할권과 관련된 크로스체인 스왑을 가능하게 할 경우 특정 우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ENSO 토큰과 CoinList 세일은 글로벌 커뮤니티에 대한 배포를 반영합니다. 규제 당국 (미국의 SEC 등)은 이를 증권 제공으로 면밀히 조사할 수 있습니다 (Enso는 미국, 영국, 중국 등을 세일에서 제외하여 이 문제에 대해 신중함을 보임). ENSO가 주요 관할권에서 증권으로 간주되면, 거래소 상장이나 규제 기관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Enso의 탈중앙화된 검증인 네트워크도 규정 준수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법적 명령으로 인해 검증인이 특정 트랜잭션을 검열하도록 강요받을 수 있습니까? 이는 현재로서는 대부분 가설이지만, Enso를 통해 흐르는 가치가 증가함에 따라 규제 당국의 관심도 증가할 것입니다. 팀의 스위스 기반은 비교적 암호화폐 친화적인 규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지만, 글로벌 운영은 글로벌 리스크를 의미합니다. 이를 완화하려면 Enso가 충분히 탈중앙화되어 (단일 주체가 책임지지 않도록) 특정 기능을 필요한 경우 지리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정신에 어긋나지만).

  • 경제적 지속 가능성: Enso의 모델은 사용으로 생성된 수수료가 모든 참여자에게 충분히 보상할 것이라고 가정합니다. 특히 초기에는 수수료 인센티브가 네트워크를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위험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래퍼와 검증인은 비용 (인프라, 개발 시간)이 발생합니다. 쿼리 수수료가 너무 낮게 설정되면 이러한 참여자는 이익을 얻지 못하고 이탈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수수료가 너무 높으면 디앱이 Enso 사용을 주저하고 더 저렴한 대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양면 시장에서 균형을 맞추는 것은 어렵습니다. Enso 토큰 경제는 또한 토큰 가치에 어느 정도 의존합니다. 예를 들어, 스테이킹 보상은 토큰 가치가 높을 때 더 매력적이며, 액션 제공자는 ENSO로 가치를 얻습니다. ENSO 가격의 급격한 하락은 네트워크 참여를 감소시키거나 더 많은 매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격을 더욱 하락시킴). 투자자와 팀이 보유한 토큰의 상당 부분 (합쳐서 56% 이상, 2년에 걸쳐 베스팅)으로 인해 오버행 리스크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 관계자들이 신뢰를 잃거나 유동성이 필요하면, 베스팅 후 매도가 시장에 넘쳐나 토큰 가격을 훼손할 수 있습니다. Enso는 커뮤니티 세일을 통해 집중을 완화하려고 노력했지만, 단기적으로는 여전히 비교적 중앙 집중화된 토큰 분배입니다. 경제적 지속 가능성은 진정한 네트워크 사용량을 토큰 스테이커와 기여자에게 충분한 수익을 제공하는 수준으로 성장시키는 데 달려 있습니다. 즉, Enso를 단순한 투기성 토큰이 아닌 "현금 흐름" 생성 프로토콜로 만드는 것입니다. 이는 달성 가능하지만 (이더리움 수수료가 채굴자/검증인에게 보상하는 방식을 생각해보면), Enso가 광범위한 채택을 달성해야만 가능합니다. 그때까지는 재무부 자금 (15% 할당)에 의존하여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경제적 매개변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Enso 거버넌스는 필요한 경우 인플레이션이나 다른 보상을 도입할 수 있으며, 이는 보유자를 희석시킬 수 있음).

리스크 요약: Enso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으며, 이는 그에 상응하는 리스크를 동반합니다. 모든 디파이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하는 기술적 복잡성은 엄청납니다. 추가되는 각 블록체인이나 통합된 프로토콜은 관리해야 할 잠재적인 실패 지점입니다. 초기 좌절 (초기 소셜 트레이딩 제품의 제한된 성공 등)을 헤쳐나간 팀의 경험은 그들이 함정을 인식하고 신속하게 적응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들은 일부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완화했습니다 (예: 지나치게 VC 주도적인 거버넌스를 피하기 위해 커뮤니티 라운드를 통해 소유권 분산). 투자자들은 Enso가 탈중앙화를 어떻게 실행하는지, 그리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보호하기 위해 최고 수준의 기술 인재를 계속 유치하는지 지켜봐야 합니다. 최상의 경우, Enso는 웹3 전반에 걸쳐 필수적인 인프라가 되어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와 토큰 가치 축적을 낳을 수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 기술적 또는 채택상의 좌절로 인해 야심 차지만 틈새 시장의 도구로 전락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의 관점에서 Enso는 고수익, 고위험 프로필을 제공합니다. 현재 상태 (2025년 중반)는 실제 사용량과 명확한 비전을 가진 유망한 네트워크이지만, 이제 기술을 강화하고 경쟁적이고 진화하는 환경을 앞서나가야 합니다. Enso에 대한 실사에는 보안 실적, 시간 경과에 따른 쿼리량/수수료 성장, 그리고 ENSO 토큰 모델이 자립적인 생태계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인센티브화하는지 모니터링하는 것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현재로서는 모멘텀이 Enso에 유리하지만, 신중한 리스크 관리와 지속적인 혁신이 이 초기 리더십을 웹3 미들웨어 공간에서 장기적인 지배력으로 전환하는 데 핵심이 될 것입니다.

출처:

  • Enso 네트워크 공식 문서 및 토큰 세일 자료

    • CoinList 토큰 세일 페이지 – 주요 하이라이트 및 투자자
    • Enso 문서 – 토크노믹스 및 네트워크 역할
  • 인터뷰 및 미디어 보도

    • CryptoPotato의 Enso CEO 인터뷰 (2025년 6월) – Enso의 진화와 의도 기반 설계에 대한 배경
    • DL News (2025년 5월) – Enso의 숏컷 및 공유 상태 접근 방식 개요
  • 커뮤니티 및 투자자 분석

    • Hackernoon (I. Pandey, 2025) – Enso의 커뮤니티 라운드 및 토큰 분배 전략에 대한 통찰
    • CryptoTotem / CoinLaunch (2025) – 토큰 공급량 분석 및 로드맵 타임라인
  • Enso 공식 사이트 지표 (2025) 및 보도 자료 – 채택 수치 및 사용 사례 (Berachain 마이그레이션, Uniswap 협력).

Altera.al 채용: 디지털 인간 개발 선구자와 함께 ($600K-1M 보상)

· 약 2분

Altera.al은 디지털 인간 개발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보여준 혁신적인 AI 스타트업으로, 이번에 변혁적인 커리어 기회를 제공하게 되어 기쁩니다. 최근 MIT Technology Review에 소개된 바와 같이, Altera.al은 인간과 유사한 행동을 개발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며, 디지털 공간에서 의미 있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만드는 데 놀라운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Altera.al: 디지털 인간 개발 최전선에 합류하고 $600K-1M 보상을 받으세요

Altera.al 소개

MIT에서 계산 신경과학 조교수직을 떠나 이 비전을 실현하고자 설립한 Robert Yang이 창업한 Altera.al은 이미 A16Z와 Eric Schmidt의 신생 기술 벤처 캐피털 등 유명 투자자로부터 1,100만 달러 이상의 자금을 확보했습니다. 최근 Project Sid 시연에서는 AI 에이전트가 스스로 전문 역할을 개발하고, 사회적 연결을 형성하며, 마인크래프트 내에서 문화 시스템까지 구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규모에 맞춰 협업할 수 있는 진정한 자율 AI 에이전트를 만들겠다는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선 것입니다.

지금이 합류하기에 흥미로운 시점인 이유

Altera.al은 인간의 기본적인 특성을 갖춘 기계를 개발한다는 사명에서 중요한 기술적 돌파구를 달성했습니다. 이들의 작업은 전통적인 AI 개발을 넘어 다음과 같은 디지털 존재를 만들고 있습니다.

  • 커뮤니티와 사회적 계층 형성
  • 전문 역할 및 책임 개발
  • 문화적 패턴 생성 및 전파
  • 디지털 공간에서 인간과 의미 있게 상호작용

찾고 있는 인재

최근의 돌파구를 바탕으로 Altera.al은 팀을 확장하고 있으며, 다음 분야의 전문가에게 600,000에서600,000에서 1,000,000까지의 뛰어난 보상 패키지를 제공합니다.

  • AI 에이전트 연구 전문가
  • 다음 분야의 강력한 개인 기여자
    • 분산 시스템
    • 보안
    • 운영 체제

지원 방법

이 혁신적인 여정에 함께하고 싶으신가요? 아래 커리어 페이지를 통해 직접 지원하세요: https://jobs.ashbyhq.com/altera.al

디지털 인간 개발의 미래에 합류하세요

인공지능과 인간 행동 모델링의 교차점에서 일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이며, 이미 눈에 띄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팀과 함께 할 수 있습니다. AI와 인간‑기계 상호작용의 한계를 뛰어넘는 일에 열정을 가지고 있다면, Altera.al이 다음 모험이 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혁신적인 기술 및 블록체인 기회 소식을 원하시면 Twitter 또는 Discord 커뮤니티를 팔로우하세요.

이 게시물은 기술 산업에서 혁신을 지원하고 인재와 변혁적인 기회를 연결하기 위한 우리의 지속적인 약속의 일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