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가스 없는" 태그로 연결된 1개 게시물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모든 태그 보기

Sui Paymaster로 가스 없는 경험 구축: 아키텍처 및 구현 가이드

· 약 8분
Dora Noda
Software Engineer

사용자가 네이티브 토큰(SUI)을 전혀 보유하지 않아도 dApp과 원활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세상을 상상해 보세요. 이제 이는 먼 꿈이 아닙니다. Sui의 Gas Station(또는 Paymaster) 덕분에 개발자는 사용자를 대신해 가스 비용을 부담할 수 있어, Web3에 처음 진입하는 사용자들의 가장 큰 장벽을 완전히 제거하고 진정한 무마찰 온체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dApp을 가스 없는 형태로 업그레이드하는 전체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Sui Paymaster의 핵심 개념, 아키텍처, 구현 패턴 및 모범 사례를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1. 배경 및 핵심 개념: 스폰서드 트랜잭션이란?

블록체인에서는 모든 트랜잭션에 네트워크 수수료, 즉 “가스”가 필요합니다. Web2의 매끄러운 경험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이는 큰 인지적·운영상의 장벽이 됩니다. Sui는 프로토콜 수준에서 스폰서드 트랜잭션이라는 개념으로 이 문제를 해결합니다.

핵심 아이디어는 간단합니다: 한 당사자(스폰서)가 다른 당사자(사용자)의 트랜잭션에 대한 SUI 가스 비용을 대신 지불하도록 허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지갑에 SUI가 전혀 없어도 온체인 행동을 성공적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Paymaster ≈ Gas Station

Sui 생태계에서 트랜잭션을 스폰서하는 로직은 일반적으로 Gas Station 또는 Paymaster라 불리는 오프체인·온체인 서비스가 담당합니다.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트랜잭션 평가: 사용자의 가스 없는 트랜잭션 데이터(GasLessTransactionData)를 받습니다.
  2. 가스 제공: 트랜잭션에 필요한 가스 비용을 잠그고 할당합니다. 이는 보통 다수의 SUI Coin 객체로 구성된 가스 풀을 통해 관리됩니다.
  3. 스폰서 서명 생성: 스폰서를 승인한 뒤, Gas Station은 자신의 개인키(SponsorSig)로 트랜잭션에 서명하여 비용을 지불하겠다는 의사를 인증합니다.
  4. 서명된 트랜잭션 반환: 이제 가스 데이터와 스폰서 서명이 포함된 TransactionData를 반환해 사용자의 최종 서명을 기다립니다.

요컨대, Gas Station은 dApp 사용자의 “차량”(트랜잭션)이 Sui 네트워크 위를 부드럽게 달릴 수 있도록 연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2. 고수준 아키텍처 및 상호작용 흐름

가스 없는 트랜잭션은 사용자, dApp 프론트엔드, Gas Station, Sui Full Node 간의 협업으로 이루어집니다.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흐름 세부 설명

  1. 사용자가 dApp UI에서 행동을 수행하면 가스 정보가 없는 트랜잭션 데이터 패키지가 생성됩니다.
  2. dApp은 이 데이터를 지정된 Gas Station에 보내 스폰서십을 요청합니다.
  3. Gas Station은 요청의 유효성을 검증(예: 사용자가 스폰서 대상인지 확인)하고, 가스 코인을 채워 서명한 뒤 반쯤 완성된 트랜잭션을 dApp에 반환합니다.
  4. 사용자는 지갑에서 전체 트랜잭션 상세(예: “NFT 하나 구매”)를 확인하고 최종 서명을 제공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행동에 대한 동의를 유지하도록 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5. dApp은 사용자와 스폰서의 서명이 모두 포함된 완전한 트랜잭션을 Sui Full Node에 전송합니다.
  6. 트랜잭션이 체인에 최종 확정되면 Gas Station은 온체인 이벤트나 영수증을 청취해 이를 확인하고, 필요 시 웹훅을 통해 dApp 백엔드에 성공을 알릴 수 있습니다.

3. 세 가지 핵심 상호작용 모델

비즈니스 요구에 맞게 아래 세 모델을 개별적으로 혹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델 1: 사용자‑주도 → 스폰서‑승인 (가장 일반적)

대부분의 dApp 상호작용에 적합한 표준 모델입니다.

  1. 사용자가 GasLessTransactionData를 생성: dApp 내에서 행동을 수행합니다.
  2. 스폰서가 GasData를 추가하고 서명: dApp 백엔드가 트랜잭션을 Gas Station에 보내면, 스폰서는 가스 코인을 첨부하고 서명합니다.
  3. 사용자가 최종 서명: 사용자는 지갑에서 전체 트랜잭션을 확인하고 서명합니다. 이후 dApp이 네트워크에 전송합니다.

보안과 사용자 경험 사이의 균형이 뛰어납니다.

모델 2: 스폰서‑주도 에어드롭/인센티브

에어드롭, 사용자 인센티브, 배치 자산 배포에 최적화된 모델입니다.

  1. 스폰서가 TransactionData를 미리 채우고 서명: 프로젝트 팀이 대부분의 트랜잭션을 사전에 구성(예: 특정 주소에 NFT 에어드롭)하고 스폰서 서명을 붙입니다.
  2. 사용자의 두 번째 서명만으로 실행: 사용자는 “미리 승인된” 트랜잭션에 한 번만 서명하면 됩니다.

클릭 한 번으로 보상을 청구하거나 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전환율이 크게 상승합니다.

모델 3: 와일드카드 GasData (신용 한도 모델)

보다 유연하고 권한 기반의 모델입니다.

  1. 스폰서가 GasData 객체를 전송: 스폰서는 예산이 정해진 가스 코인 객체를 생성해 직접 사용자에게 소유권을 이전합니다.
  2. 사용자는 예산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사용: 사용자는 해당 가스 코인을 이용해 예산과 유효 기간 내에서 원하는 트랜잭션을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3. 가스 코인 반환: 소진되거나 만료되면 가스 코인 객체는 자동 파괴되거나 스폰서에게 반환되도록 설계할 수 있습니다.

한정된 시간·예산의 “가스 신용카드”를 제공하는 형태로, 게임 시즌 동안 무료 플레이 경험을 제공하는 등 높은 자율성이 요구되는 시나리오에 적합합니다.

4. 전형적인 적용 시나리오

Sui Paymaster는 가스 비용 문제를 해결할 뿐 아니라 비즈니스 로직과 깊게 결합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시나리오 1: 페이월

콘텐츠 플랫폼이나 dApp 서비스가 특정 조건(예: VIP NFT 보유, 멤버십 레벨) 충족 시에만 기능을 제공하도록 할 때 활용합니다.

  • 흐름: 사용자가 행동을 요청 → dApp 백엔드가 사용자의 자격(NFT 보유 등) 검증 → 자격이 있으면 Paymaster에 가스 스폰서를 요청, 없으면 서명 요청을 거부.
  • 장점: 봇 및 남용에 강합니다. 스폰서십 결정이 백엔드에서 이루어지므로 악의적인 사용자가 가스 풀을 고갈시키기 어렵습니다.

시나리오 2: 원클릭 체크아웃

이커머스나 인게임 구매 시 결제 과정을 최소화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 흐름: 사용자가 “지금 구매” 버튼을 클릭 → dApp이 비즈니스 로직(transfer_nft_to_user)을 포함한 트랜잭션을 구성 → 사용자는 비즈니스 트랜잭션만 서명하고, 가스는 스폰서가 부담합니다.
  • 장점: order_id와 같은 비즈니스 파라미터를 ProgrammableTransactionBlock에 직접 인코딩해 온체인에서 정확히 주문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시나리오 3: 데이터 어트리뷰션

정확한 데이터 추적은 비즈니스 최적화에 필수적입니다.

  • 흐름: 트랜잭션을 구성할 때 고유 식별자(order_hash)를 파라미터나 실행 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록합니다.
  • 장점: Gas Station이 성공 영수증을 받으면 이벤트 또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파싱해 order_hash를 추출할 수 있어 온체인 상태 변화와 백엔드 주문·사용자 행동을 정확히 매핑할 수 있습니다.

5. 코드 스켈레톤 (Rust SDK 기반)

아래는 핵심 상호작용 흐름을 보여주는 간단한 Rust 코드 예시입니다.

// Assume tx_builder, sponsor, and wallet have been initialized

// Step 1: On the user or dApp side, construct a gas-less transaction
let gasless_transaction_data = tx_builder.build_gasless_transaction_data(false)?;

// Step 2: On the Sponsor (Gas Station) side, receive the gasless_transaction_data,
// fill it with a Gas Coin, and return the transaction data with the Sponsor's signature.
// The sponsor_transaction_block function handles gas allocation and signing internally.
let sponsored_transaction = sponsor.sponsor_transaction_block(gasless_transaction_data, user_address, gas_budget)?;

// Step 3: The dApp sends the sponsored_transaction back to the user,
// who signs and executes it with their wallet.
let response = wallet.sign_and_execute_transaction_block(&sponsored_transaction)?;

전체 구현은 공식 Sui 문서의 **Gas Station 튜토리얼**을 참고하세요. 여기에는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코드 예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6. 위험 요소 및 보호 방안

강력하지만 프로덕션 환경에 Gas Station을 배포할 때는 다음 위험 요소를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 이중 서명(Equivocation) 위험: 악의적인 사용자가 동일한 가스 코인을 병렬로 여러 트랜잭션에 사용하려 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사용자·트랜잭션당 고유 가스 코인을 할당하고, 블랙리스트와 요청 속도 제한(rate‑limiting)을 적용합니다.
  • 가스 풀 관리: 동시성이 높은 상황에서 하나의 대형 가스 코인은 성능 병목이 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는 대형 SUI 코인을 자동으로 다수의 소액 가스 코인으로 분할하고, 사용 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어야 합니다. Shinami와 같은 전문 Gas Station 제공업체는 이러한 기능을 관리형으로 제공합니다.
  • 인증 및 속도 제한: 엄격한 인증·속도 제한 정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IP, 지갑 주소, API 토큰 기반으로 스폰서십 한도·빈도를 관리해 악의적인 대량 소모를 방지합니다.

7. 생태계 도구

Sui 생태계에는 Paymaster 개발·배포를 간소화하는 다양한 도구가 이미 준비되어 있습니다.

  • 공식 SDK (Rust / TypeScript): sponsor_transaction_block() 같은 고수준 API를 제공해 통합 복잡도를 크게 낮춥니다.
  • Shinami Gas Station: 가스 코인 자동 분할·회수, 상세 메트릭 모니터링, 웹훅 알림 등을 포함한 올인원 관리형 서비스를 제공해 개발자는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Enoki / Mysten Demo: 커뮤니티와 Mysten Labs가 제공하는 오픈소스 Paymaster 구현체는 자체 서비스를 구축할 때 좋은 참고 자료가 됩니다.

8. 구현 체크리스트

dApp을 가스 없는 시대에 맞게 업그레이드할 준비가 되셨나요? 시작하기 전에 아래 체크리스트를 확인하세요.

  • 펀딩 흐름 설계: 스폰서의 자금 출처, 예산, 보충 전략을 정의하고 가스 풀 잔액·소모율 등 핵심 지표에 대한 모니터링 및 알림을 설정합니다.
  • 어트리뷰션 필드 예약: 트랜잭션 파라미터 설계 시 order_id, user_id 등 비즈니스 식별자를 위한 필드를 미리 확보합니다.
  • 남용 방지 정책 적용: 실서비스 이전에 반드시 인증, 속도 제한, 로깅 메커니즘을 구현합니다.
  • 테스트넷에서 리허설: 자체 서비스를 구축하든 서드파티 Gas Station을 연동하든, 반드시 테스트넷·데브넷에서 동시성·스트레스 테스트를 충분히 수행합니다.
  • 지속적인 최적화: 출시 후에도 트랜잭션 성공률, 실패 원인, 가스 비용 등을 지속적으로 추적·분석해 예산·전략을 조정합니다.

결론

Sui Paymaster(또는 Gas Station)는 단순히 사용자의 가스 비용을 대신 부담하는 도구를 넘어, “SUI 없이 온체인” 사용자 경험과 “주문 수준 온체인 어트리뷰션”을 하나의 원자적 트랜잭션 안에서 결합하는 강력한 패러다임을 제공합니다. 이는 Web2 사용자가 Web3에 진입하도록 돕고, 개발자에게는 비즈니스 맞춤형 로직을 구현할 전례 없는 유연성을 부여합니다.

Sui 네트워크의 현재 낮은 가스 비용과 점점 성숙해지는 툴 체인 덕분에, 이제 dApp의 결제·상호작용 흐름을 가스 없는 시대로 전환하기에 최적의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