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web3" 태그로 연결된 27개 게시물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모든 태그 보기

크로스체인 UX에서의 체인 추상화와 인텐트 중심 아키텍처

· 약 38분
Dora Noda
Software Engineer

서론

레이어 1과 레이어 2 블록체인의 급격한 성장은 Web3 사용자 경험을 파편화시켰습니다. 오늘날 사용자들은 여러 체인에 걸친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지갑, 네트워크, 토큰 브릿지를 넘나들고 있습니다. 체인 추상화인텐트 중심 아키텍처는 이러한 환경을 단순화하기 위한 핵심 패러다임으로 부상했습니다. 체인별 세부 사항을 추상화하고 사용자가 명시적인 체인별 트랜잭션을 만드는 대신 인텐트(원하는 결과)에 따라 행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러한 접근 방식은 통합되고 원활한 크로스체인 경험을 약속합니다. 이 보고서는 체인 추상화의 핵심 원칙, 인텐트 중심 실행 모델의 설계, 실제 구현 사례(예: 웜홀 및 Etherspot), 기술적 기반(릴레이어, 스마트 월렛 등), 그리고 개발자와 최종 사용자를 위한 UX 이점을 심층적으로 다룹니다. 또한 체인 추상화와 인텐트가 뜨거운 주제였던 EthCC 2025의 인사이트를 요약하고, 다양한 프로토콜 접근 방식을 비교하는 표를 제공합니다.

체인 추상화의 원칙

체인 추상화는 여러 블록체인을 사용자와 개발자에게 마치 하나의 통합된 환경인 것처럼 제시하는 모든 기술 또는 프레임워크를 의미합니다. 그 동기는 체인의 이질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_마찰_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체인 추상화는 다음을 의미합니다:

  • 통합 인터페이스: 각 블록체인에 대해 별도의 지갑과 RPC 엔드포인트를 관리하는 대신, 사용자는 네트워크 세부 정보를 숨기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작용합니다. 개발자는 모든 체인에 별도의 컨트랙트를 배포하거나 각 네트워크에 대한 맞춤형 브릿지 로직을 작성하지 않고도 DApp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수동 브리징 불필요: 체인 간 자산이나 데이터 이동은 백그라운드에서 이루어집니다. 사용자는 수동으로 락/민트 브릿지 트랜잭션을 실행하거나 브릿지 토큰으로 스왑할 필요가 없으며, 추상화 레이어가 이를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유동성이 어느 체인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프로토콜에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시스템이 자금을 적절하게 라우팅합니다.
  • 가스비 추상화: 사용자는 더 이상 해당 체인의 가스비를 지불하기 위해 각 체인의 네이티브 토큰을 보유할 필요가 없습니다. 추상화 레이어는 가스비를 대신 지불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자산으로 가스를 지불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이는 ETH, MATIC, SOL 등을 별도로 획득할 필요가 없으므로 진입 장벽을 낮춥니다.
  • 네트워크에 구애받지 않는 로직: 애플리케이션 로직은 체인에 구애받지 않게 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나 오프체인 서비스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네트워크를 전환하거나 여러 트랜잭션에 서명할 필요 없이 필요한 모든 체인에서 사용자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협력합니다. 본질적으로, 사용자의 경험은 하나의 "메타 체인" 또는 블록체인에 구애받지 않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경험입니다.

핵심 아이디어는 사용자가 _어떤 체인_이나 어떻게 달성할지가 아닌, 무엇을 달성하고 싶은지에 집중하게 하는 것입니다. 익숙한 비유는 웹 애플리케이션이 서버 위치를 추상화하는 것입니다. 사용자가 자신의 요청이 어떤 서버나 데이터베이스에 닿는지 알 필요가 없는 것처럼, Web3 사용자도 어떤 체인이나 브릿지가 작업에 사용되는지 알 필요가 없어야 합니다. 통합된 레이어를 통해 트랜잭션을 라우팅함으로써, 체인 추상화는 오늘날 멀티체인 생태계의 파편화를 줄입니다.

동기: 체인 추상화에 대한 추진은 현재 크로스체인 워크플로우의 문제점에서 비롯됩니다. 체인별로 별도의 지갑을 관리하고 여러 단계의 크로스체인 작업(체인 A에서 스왑, 체인 B로 브리징, 체인 B에서 다시 스왑 등)을 수행하는 것은 지루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파편화된 유동성과 호환되지 않는 지갑 또한 생태계 전반에 걸친 DApp 성장을 제한합니다. 체인 추상화는 생태계를 _응집력 있게 연결_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합니다. 중요하게도, 이는 이더리움과 그 수많은 L2 및 사이드체인을 하나의 사용자 경험의 일부로 취급합니다. EthCC 2025에서는 이것이 주류 채택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연사들은 진정으로 사용자 중심적인 Web3 미래는 _"블록체인을 추상화해야만 한다"_고 주장하며, 멀티체인 세계를 단일 네트워크처럼 쉽게 느끼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인텐트 중심 아키텍처: 트랜잭션에서 인텐트로

전통적인 블록체인 상호작용은 트랜잭션 중심입니다. 사용자는 선택한 체인에서 특정 작업(컨트랙트 함수 호출, 토큰 전송 등)을 실행하는 트랜잭션을 명시적으로 만들고 서명합니다. 멀티체인 환경에서 복잡한 목표를 달성하려면 여러 네트워크에 걸쳐 많은 이러한 트랜잭션이 필요할 수 있으며, 각 트랜잭션은 사용자가 올바른 순서로 수동으로 시작해야 합니다. 인텐트 중심 아키텍처는 이 모델을 뒤집습니다. 트랜잭션을 미세하게 관리하는 대신, 사용자는 인텐트—높은 수준의 목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선언하고, 자동화된 시스템이 이를 이행하는 데 필요한 트랜잭션을 파악하도록 합니다.

인텐트 기반 설계 하에서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Base의 100 USDC를 Arbitrum의 100 USDT로 스왑해 줘". 이 인텐트는 무엇을 할 것인지(한 자산을 대상 체인의 다른 자산으로 스왑)를 요약하지만, 어떻게 할 것인지는 명시하지 않습니다. 그러면 **솔버(solver)**라고 불리는 전문 에이전트가 이를 완료하는 작업을 맡습니다. 솔버는 체인 간 스왑을 가장 잘 실행할 수 있는 _방법_을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빠른 브릿지를 사용하여 Base에서 Arbitrum으로 USDC를 브리징한 다음 USDT로 스왑하거나, 직접적인 크로스체인 스왑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최상의 결과를 내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사용자는 한 번의 승인에 서명하고, 솔버는 최적의 경로 찾기, 각 체인에서 필요한 트랜잭션 제출, 심지어 필요한 가스비를 선지급하거나 중간 위험을 감수하는 등 복잡한 시퀀스를 백엔드에서 처리합니다.

인텐트가 유연한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시스템에 _요청을 이행하는 방법_을 결정할 자유를 줌으로써, 인텐트 중심 설계는 고정된 사용자 트랜잭션보다 훨씬 더 스마트하고 유연한 실행 레이어를 가능하게 합니다. 몇 가지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최적의 라우팅: 솔버는 비용, 속도 또는 신뢰성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 솔버가 사용자의 인텐트를 이행하기 위해 경쟁할 수 있으며, 온체인 경매를 통해 최고의 가격(예: 최고의 환율 또는 가장 낮은 수수료)을 제공하는 솔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쟁은 사용자의 비용을 낮춥니다. 웜홀의 Mayan Swift 프로토콜은 각 인텐트에 대해 솔라나에서 온체인 영국식 경매를 포함하여, 경쟁을 "선착순" 경쟁에서 더 나은 사용자 결과를 위한 가격 기반 입찰로 전환하는 예입니다. 사용자를 위해 가장 수익성 있게 스왑을 실행할 수 있는 솔버가 입찰에서 이기고 계획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최대의 가치를 얻도록 보장합니다. 이러한 종류의 동적 가격 발견은 사용자가 일반 트랜잭션에서 단일 경로를 미리 지정할 때는 불가능합니다.
  • 복원력 및 유연성: 한 브릿지나 DEX가 현재 사용할 수 없거나 최적이 아닐 경우, 솔버는 대체 경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_인텐트_는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실행 레이어는 네트워크 조건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텐트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실행 전략(예: 주문 분할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한 재시도)을 허용하며, 이 모든 것은 목표 달성만을 신경 쓰는 최종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습니다.
  • 원자적 멀티체인 액션: 인텐트는 전통적으로 여러 체인에서 여러 트랜잭션이 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실행 프레임워크는 전체 시퀀스가 원자적으로 느껴지도록 하거나 최소한 실패 관리가 되도록 노력합니다. 예를 들어, 솔버는 모든 하위 트랜잭션(브릿지, 스왑 등)이 확인되었을 때만 인텐트가 이행된 것으로 간주하고, 무언가 실패하면 롤백하거나 보상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의 높은 수준의 작업이 완전히 완료되거나 전혀 완료되지 않도록 보장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킵니다.
  • 복잡성 오프로딩: 인텐트는 사용자의 역할을 극적으로 단순화합니다. 사용자는 어떤 브릿지나 거래소를 사용해야 하는지, 유동성을 어떻게 분할해야 하는지, 또는 작업을 어떻게 예약해야 하는지 이해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모든 것이 인프라에 오프로드됩니다. 한 보고서에서 말했듯이, "사용자는 어떻게가 아닌 무엇을에 집중합니다". 직접적인 이점은 사용자 경험입니다.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Web2 앱을 사용하는 것과 더 비슷해집니다(사용자가 단순히 결과를 요청하면 서비스가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방식).

본질적으로, 인텐트 중심 아키텍처는 추상화 수준을 낮은 수준의 트랜잭션에서 높은 수준의 목표로 끌어올립니다. 이더리움 커뮤니티는 이 모델에 매우 열광적이어서, 이더리움 재단은 크로스체인 인텐트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개방형 표준 및 참조 아키텍처인 **오픈 인텐트 프레임워크(OIF)**를 도입했습니다. OIF는 인텐트가 체인 간에 생성, 통신 및 정산되는 방식에 대한 표준 인터페이스(예: ERC-7683 인텐트 형식)를 정의하여, 다양한 솔루션(브릿지, 릴레이어, 경매 메커니즘)이 모듈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상호 운용 가능한 _솔버_와 _정산 프로토콜_의 전체 생태계를 장려합니다. 인텐트의 부상은 이더리움과 그 롤업들을 UX 관점에서 "단일 체인처럼" 느끼게 만들 필요성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즉, L2나 사이드체인을 넘나드는 것이 사용자 골칫거리 없이 몇 초 만에 이루어질 만큼 빠르고 마찰이 없어야 합니다. ERC-7683(표준화된 인텐트 형식 및 라이프사이클)과 같은 초기 표준은 비탈릭 부테린과 같은 리더들의 지지를 받으며 인텐트 중심 설계 뒤의 추진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주요 이점 요약: 요약하자면, 인텐트 중심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주요 이점을 제공합니다: (1) 단순화된 UX – 사용자는 원하는 것을 명시하고 시스템이 나머지를 처리합니다. (2) 크로스체인 유동성 – 여러 네트워크에 걸친 작업이 원활하게 처리되어, 사실상 많은 체인을 하나로 취급합니다. (3) 개발자 확장성 – DApp 개발자는 각 체인에 대해 바퀴를 재발명할 필요 없이 많은 체인에 걸쳐 사용자와 유동성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인텐트 레이어가 크로스체인 실행에 대한 표준화된 훅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_무엇을 해야 하는지_와 _어떻게/어디서 해야 하는지_를 분리함으로써, 인텐트는 사용자 친화적인 혁신과 그 이면의 복잡한 상호운용성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합니다.

크로스체인 추상화의 기술적 구성 요소

체인 추상화와 인텐트 기반 실행을 구현하려면 여러 기술적 메커니즘이 조화롭게 작동하는 _스택_이 필요합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크로스체인 메시징 릴레이어: 모든 멀티체인 시스템의 핵심에는 블록체인 간에 데이터와 가치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메시징 레이어가 있습니다. 웜홀, 하이퍼레인, 액셀러, 레이어제로 등과 같은 프로토콜은 소스 체인에서 하나 이상의 대상 체인으로 메시지(종종 증명이나 검증인 증명과 함께)를 릴레이함으로써 이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메시지는 대상 체인에서 "이 인텐트를 실행하라" 또는 "이 자산을 민팅하라"와 같은 명령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견고한 릴레이어 네트워크는 통합된 트랜잭션 라우팅에 매우 중요하며, 체인 간의 "우편 서비스"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웜홀의 19개 가디언 노드 네트워크는 연결된 체인의 이벤트를 관찰하고,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증명하기 위해 다른 체인에 제출할 수 있는 VAA(검증 가능한 액션 승인)에 서명합니다. 이는 액션을 단일 체인에서 분리하여 체인에 구애받지 않는 동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현대의 릴레이어는 보안을 위해 체인에 구애받지 않고(많은 체인 유형 지원) 분산화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예를 들어, 웜홀은 EVM 기반 체인을 넘어 솔라나, 코스모스 체인 등을 지원하여 크로스체인 통신을 위한 다재다능한 선택지가 됩니다. 메시징 레이어는 종종 크로스체인 트랜잭션의 순서 지정, 재시도 및 최종성 보장도 처리합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 월렛 (계정 추상화): 계정 추상화(예: 이더리움의 ERC-4337)는 외부 소유 계정을 맞춤형 검증 로직과 다단계 트랜잭션 기능으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 계정으로 대체합니다. 이는 체인 추상화의 기반이 됩니다. 왜냐하면 스마트 월렛이 모든 체인의 자산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단일 메타 계정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Etherspot과 같은 프로젝트는 스마트 컨트랙트 월렛을 사용하여 체인 간 트랜잭션 일괄 처리 및 세션 키와 같은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사용자의 인텐트는 단일 사용자 작업(4337 용어)으로 패키징될 수 있으며, 월렛 컨트랙트는 이를 다른 네트워크의 여러 하위 트랜잭션으로 확장합니다. 스마트 월렛은 또한 사용자를 대신하여 가스비를 지불하는 페이마스터(스폰서)를 통합하여 진정한 가스 추상화를 가능하게 합니다(사용자는 스테이블코인으로 지불하거나 전혀 지불하지 않을 수 있음). 세션 키(제한된 권한을 가진 임시 키)와 같은 보안 메커니즘을 통해 사용자는 여러 번의 프롬프트 없이 여러 작업을 포함하는 인텐트를 승인하면서도 위험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요컨대, 계정 추상화는 높은 수준의 인텐트를 해석하고 필요한 단계를 일련의 트랜잭션(종종 릴레이어를 통해)으로 조정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실행 컨테이너를 제공합니다.

  • 인텐트 오케스트레이션 및 솔버: 메시징 및 월렛 레이어 위에는 _인텐트를 이행하는 방법_을 파악하는 두뇌인 인텐트 솔버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일부 아키텍처에서는 이 로직이 온체인에 있습니다(예: 웜홀의 Mayan Swift를 위한 솔라나 경매처럼 인텐트 주문과 솔버를 매칭하는 온체인 경매 컨트랙트). 다른 경우에는 인텐트 멤풀이나 오더북을 모니터링하는 오프체인 에이전트입니다(예: 오픈 인텐트 프레임워크는 새로운 인텐트 이벤트를 수신한 다음 이를 이행하기 위해 트랜잭션을 제출하는 참조 TypeScript 솔버를 제공함). 솔버는 일반적으로 다음을 처리해야 합니다: 유동성 경로 찾기(DEX, 브릿지 전반), 가격 발견(사용자가 공정한 환율을 받도록 보장), 때로는 중간 비용 부담(담보 게시 또는 최종성 위험 감수 - 크로스체인 전송이 완전히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에게 자금을 전달하여 솔버에게 약간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UX를 가속화). 잘 설계된 인텐트 중심 시스템은 종종 솔버 간의 경쟁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인텐트가 최적으로 실행되도록 보장합니다. 솔버는 경제적으로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습니다(예: 인텐트를 이행하는 데 대한 수수료나 차익 거래 이익을 얻음). 솔버 경매일괄 처리와 같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 사용자가 유사한 인텐트를 가지고 있는 경우, 솔버는 이를 일괄 처리하여 사용자당 브릿지 수수료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통합 유동성 및 토큰 추상화: 체인 간 자산을 이동하는 것은 파편화된 유동성과 래핑된 토큰이라는 고전적인 문제를 야기합니다. 체인 추상화 레이어는 종종 토큰 자체를 추상화하여, 사용자에게 여러 체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일 자산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한 가지 접근 방식은 옴니체인 토큰(토큰이 여러 호환되지 않는 래핑 버전 대신 하나의 총 공급량 하에 여러 체인에 네이티브하게 존재할 수 있음)입니다. 웜홀은 전통적인 락앤민트 브릿지의 진화로 **네이티브 토큰 전송(NTT)**을 도입했습니다. 무한한 "브릿지된" IOU 토큰 대신, NTT 프레임워크는 여러 체인에 배포된 토큰을 공유된 민트/번 컨트롤을 가진 하나의 자산으로 취급합니다. 실제로 NTT 하에서 자산을 브리징하는 것은 소스에서 _소각_하고 대상에서 _민팅_하여 단일 유통 공급량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종류의 유동성 통합은 체인 추상화가 여러 토큰 표현으로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하지 않고 자산을 "텔레포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다른 프로젝트는 유동성 네트워크나 풀(예: Connext 또는 Axelar)을 사용하여 각 체인에서 유동성 공급자가 자본을 공급하여 자산을 스왑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는 효과적으로 한 체인의 자산을 다른 체인의 동등한 자산으로 한 단계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Securitize SCOPE 펀드 예는 이를 잘 보여줍니다. 기관 펀드 토큰이 멀티체인으로 만들어져 투자자가 이더리움이나 옵티미즘에서 구독하거나 상환할 수 있으며, 백그라운드에서 웜홀의 프로토콜이 토큰을 이동시키고 심지어 수익을 창출하는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를 위해 _수동 브릿지나 여러 지갑의 필요성을 제거_합니다.

  • 프로그래밍 가능한 실행 레이어: 마지막으로, 특정 온체인 혁신은 더 복잡한 크로스체인 워크플로우를 가능하게 합니다. 원자적 멀티콜 지원트랜잭션 스케줄링은 다단계 인텐트를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수이(Sui) 블록체인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트랜잭션 블록(PTB)**은 여러 작업(스왑, 전송, 호출 등)을 하나의 원자적 트랜잭션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이는 모든 단계가 함께 발생하거나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하고, 한 번의 사용자 서명으로 수이에서 크로스체인 인텐트 이행을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에서는 EIP-7702(EOA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와 같은 제안이 사용자 계정의 기능을 확장하여 기본 레이어에서도 스폰서 가스 및 다단계 로직과 같은 것을 지원합니다. 또한, 전문화된 실행 환경 또는 크로스체인 라우터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시스템은 모든 인텐트를 특정 L2 또는 허브를 통해 라우팅하여 크로스체인 작업을 조정합니다(사용자는 해당 허브와만 상호작용할 수 있음). 예로는 **Push Protocol의 L1 (Push Chain)**과 같은 프로젝트가 있으며, 이는 체인에 구애받지 않는 작업을 위한 전용 _정산 레이어_로 설계되어 범용 스마트 컨트랙트와 초당 최종성을 특징으로 하여 크로스체인 상호작용을 가속화합니다. 보편적으로 채택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은 체인 추상화를 실현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의 스펙트럼을 보여줍니다. 순전히 오프체인 오케스트레이션에서부터 크로스체인 인텐트 실행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새로운 온체인 인프라 배포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요약하자면, 체인 추상화는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계층화하여 달성됩니다: 라우팅 레이어(체인 간 메시징 릴레이어), 계정 레이어(어떤 체인에서든 작업을 시작할 수 있는 스마트 월렛), 그리고 실행 레이어(인텐트를 수행하는 솔버, 유동성 및 컨트랙트). 각 부분은 사용자 관점에서 여러 블록체인에 걸쳐 DApp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단일 체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만큼 원활하도록 보장하는 데 필요합니다.

사례 연구 1: 웜홀 – 인텐트 기반, 체인 불가지론적 라우팅

**웜홀(Wormhole)**은 토큰 브릿지에서 인텐트 기반 기능을 갖춘 포괄적인 메시지 전달 네트워크로 발전한 선도적인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프로토콜입니다. 웜홀의 체인 추상화 접근 방식은 20개 이상의 체인(EVM 체인 및 솔라나와 같은 비EVM 체인 포함)을 연결하는 _통일된 메시지 라우팅 레이어_를 제공하고, 그 위에 _체인 불가지론적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_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웜홀 아키텍처의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 메시지 레이어: 웜홀의 핵심은 일반적인 발행/구독 브릿지입니다. 검증인(가디언)은 각 연결된 체인의 이벤트를 관찰하고, 다른 체인에서 이벤트를 재현하거나 대상 컨트랙트를 호출하기 위해 제출할 수 있는 VAA(검증 가능한 액션)에 서명합니다. 이 일반적인 설계는 개발자가 토큰 전송뿐만 아니라 임의의 지침이나 데이터를 크로스체인으로 보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웜홀은 메시지가 일관되게 전달되고 검증되도록 보장하여, 소스가 이더리움이었는지, 솔라나였는지, 아니면 다른 체인이었는지를 추상화합니다.

  • 체인 불가지론적 토큰 전송: 웜홀의 원래 토큰 브릿지(포털)는 락앤민트(lock-and-mint) 접근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최근 웜홀은 멀티체인 토큰을 위한 개선된 프레임워크인 **네이티브 토큰 전송(NTT)**을 도입했습니다. NTT를 사용하면 자산을 각 체인에 _네이티브하게 발행_할 수 있어(파편화된 래핑 토큰을 피함), 웜홀이 체인 간 소각 및 발행 회계를 처리하여 공급량을 동기화합니다. 사용자에게는 이것이 토큰이 체인 간에 "텔레포트"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즉, 한 체인에 입금하고 다른 체인에서 동일한 자산을 인출하며, 웜홀이 민트/번 장부 관리를 담당합니다. 이것은 각 체인의 다른 토큰 표준과 주소의 복잡성을 숨기는 토큰 추상화의 한 형태입니다.

  • 인텐트 기반 xApp 프로토콜: 토큰 브리징이 크로스체인 UX의 한 부분에 불과하다는 것을 인식한 웜홀은 스왑이나 가스비 관리가 포함된 전송과 같은 사용자 _인텐트_를 이행하기 위해 더 높은 수준의 프로토콜을 개발했습니다. 2023-2024년에 웜홀은 크로스체인 DEX 애그리게이터인 Mayan과 협력하여 웜홀 생태계에서 종종 xApp(크로스체인 앱)이라고 불리는 두 가지 인텐트 중심 프로토콜을 출시했습니다: Mayan SwiftMayan MCTP(멀티체인 전송 프로토콜).

    • _Mayan Swift_는 _"유연한 크로스체인 인텐트 프로토콜"_로 설명되며, 본질적으로 사용자가 체인 A에서 체인 B로의 토큰 스왑을 요청할 수 있게 합니다. 사용자는 소스 체인에서 자금을 잠그고 원하는 결과(예: "시간 T까지 대상 체인에서 토큰 Y를 최소 X개 원함")를 지정하는 단일 트랜잭션에 서명합니다. 이 인텐트(주문)는 솔버에 의해 처리됩니다. 독특하게도, 웜홀 스위프트는 인텐트에 대한 _경쟁적인 가격 발견_을 수행하기 위해 솔라나에서 온체인 경매를 사용합니다. 솔버들은 특별한 솔라나 컨트랙트를 모니터링합니다. 새로운 인텐트 주문이 생성되면, 그들은 얼마나 많은 출력 토큰을 전달할 수 있는지 약속하며 입찰합니다. 짧은 경매 기간(예: 3초) 동안 입찰은 가격을 경쟁적으로 올립니다. 가장 높은 입찰자(사용자에게 가장 유리한 환율을 제공하는)가 낙찰되어 스왑을 이행할 권리를 얻습니다. 그런 다음 웜홀은 해당 솔버가 사용자에게 토큰을 전달하도록 승인하는 메시지를 대상 체인으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잠긴 자금을 솔버에게 지불로 해제하는 또 다른 메시지를 다시 보냅니다. 이 설계는 사용자의 인텐트가 분산된 방식으로 최상의 가격으로 이행되도록 보장하며, 사용자는 소스 체인과만 상호작용하면 됩니다. 또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크로스체인 스왑을 두 단계(자금 잠금, 대상에서 이행)로 분리합니다. 여기에서의 인텐트 중심 설계는 추상화가 어떻게 _스마트한 실행_을 가능하게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사용자가 특정 브릿지나 DEX를 선택하는 대신, 시스템이 자동으로 최적의 경로와 가격을 찾습니다.

    • _Mayan MCTP_는 가스 및 수수료 관리가 포함된 크로스체인 자산 전송에 중점을 둡니다. 이는 Circle의 CCTP(크로스체인 전송 프로토콜)—네이티브 USDC를 한 체인에서 소각하고 다른 체인에서 발행할 수 있게 함—를 가치 전송의 기반으로 활용하고, 조정을 위해 웜홀 메시징을 사용합니다. MCTP 전송에서 사용자의 인텐트는 단순히 "내 USDC를 체인 A에서 체인 B로 이동(그리고 선택적으로 B에서 다른 토큰으로 스왑)"일 수 있습니다. 소스 체인 컨트랙트는 토큰과 원하는 목적지를 수락한 다음, CCTP를 통해 소각을 시작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목적지 주소, 목적지에서 원하는 토큰, 심지어 가스 드롭(브릿지된 자금의 일부를 목적지의 네이티브 가스로 변환할 금액)과 같은 메타데이터를 담은 웜홀 메시지를 게시합니다. 목적지 체인에서 Circle이 USDC를 발행하면, 웜홀 릴레이어는 인텐트 메타데이터가 전달되고 검증되도록 보장합니다. 그런 다음 프로토콜은 자동으로 예를 들어 USDC의 일부를 네이티브 토큰으로 스왑하여 가스비를 지불하고, 나머지를 사용자의 지갑(또는 지정된 컨트랙트)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_한 단계로 가스가 포함된 브릿지_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새로운 체인에서 가스를 획득하거나 가스를 위해 별도의 스왑을 수행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모든 것이 인텐트에 인코딩되어 네트워크에 의해 처리됩니다. 따라서 MCTP는 체인 추상화가 어떻게 _수수료 추상화_와 신뢰할 수 있는 전송을 하나의 흐름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웜홀의 역할은 인텐트와 자금이 이동했다는 증명(CCTP를 통해)을 안전하게 전송하여 사용자의 요청이 종단 간으로 이행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웜홀의 인텐트 중심 스왑 아키텍처(Mayan Swift) 그림. 이 설계에서 사용자는 소스 체인에 자산을 잠그고 결과(인텐트)를 정의합니다. 솔버들은 해당 인텐트를 이행할 권리를 얻기 위해 온체인 경매에서 입찰합니다. 낙찰된 솔버는 웜홀 메시지를 사용하여 자금 잠금 해제와 목적지 체인에서의 결과 전달을 조정하며, 이 모든 과정에서 사용자가 스왑에 대해 최상의 가격을 받도록 보장합니다.

  • 통합 UX 및 원클릭 플로우: 웜홀 기반 애플리케이션은 점점 더 _원클릭 크로스체인 액션_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웜홀 커넥트는 DApp과 지갑이 통합하여 사용자가 한 번의 클릭으로 자산을 브리징할 수 있게 하는 프론트엔드 SDK입니다. 백그라운드에서는 웜홀 토큰 브리징과 (선택적으로) 대상 체인에 가스를 입금하는 릴레이어를 호출합니다. Securitize SCOPE 펀드 사용 사례에서, 옵티미즘의 투자자는 원래 이더리움에 있는 펀드 토큰을 수동으로 브리징하지 않고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웜홀의 유동성 레이어가 자동으로 토큰을 이동시키고 심지어 수익을 창출하는 형태로 변환하므로, 사용자는 통합된 투자 상품만 보게 됩니다. 이러한 예는 체인 추상화 정신을 강조합니다: 사용자는 높은 수준의 액션(펀드 투자, X를 Y로 스왑)을 수행하고 플랫폼은 크로스체인 메커니즘을 조용히 처리합니다. 웜홀의 표준 메시지 릴레이와 자동 가스 전달(웜홀의 자동 릴레이어나 일부 플로우에 통합된 Axelar의 가스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를 통해)은 사용자가 종종 자신의 출발 체인에서 단 한 번의 트랜잭션에 서명하고 추가 개입 없이 목적지 체인에서 결과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발자 관점에서 웜홀은 체인 간 컨트랙트를 호출할 수 있는 통일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크로스체인 로직을 구축하는 것이 더 간단해집니다.

요약하자면, 웜홀의 체인 추상화 접근 방식은 다른 사람들이 체인 불가지론적 경험을 만들 수 있도록 인프라(분산된 릴레이어 + 각 체인의 표준화된 컨트랙트)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체인을 지원하고 더 높은 수준의 프로토콜(인텐트 경매 및 가스 관리 전송 등)을 제공함으로써, 웜홀은 애플리케이션이 블록체인 생태계를 연결된 전체로 취급할 수 있게 합니다. 사용자는 자신이 어떤 체인에 있는지나 어떻게 브리징해야 하는지에 대해 더 이상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얻습니다. 유동성을 이동하든 멀티체인 스왑을 하든, 웜홀의 인텐트 중심 xApp은 이를 단일 체인 상호작용처럼 쉽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웜홀의 공동 창립자인 로빈슨 버키는 이러한 종류의 인프라가 _"기관 규모의 성숙도"_에 도달했다고 언급하며, 규제된 자산 발행자조차도 네트워크 전반에서 원활하게 운영하고 사용자를 위해 체인별 제약을 추상화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사례 연구 2: Etherspot – 계정 추상화와 인텐트의 만남

Etherspot은 지갑과 개발자 도구의 관점에서 크로스체인 UX 문제에 접근합니다. 개발자가 사용자에게 통합된 멀티체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통합할 수 있는 계정 추상화 SDK와 인텐트 프로토콜 스택을 제공합니다. 사실상, Etherspot은 스마트 컨트랙트 지갑체인 추상화 로직을 결합하여 사용자의 단일 스마트 계정이 최소한의 마찰로 여러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Etherspot 아키텍처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모듈형 스마트 월렛 (계정 추상화): Etherspot의 모든 사용자는 여러 체인에 배포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 지갑(ERC-4337 스타일)을 갖게 됩니다. Etherspot은 이러한 지갑이 상호 운용 가능하고 업그레이드 가능하도록 ERC-7579(최소 모듈형 스마트 계정 인터페이스)와 같은 표준에 기여했습니다. 지갑 컨트랙트는 사용자의 대리인 역할을 하며 모듈로 사용자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모듈은 통합 잔액 보기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즉, 지갑은 모든 체인에 걸친 사용자 자금의 총액을 보고할 수 있습니다. 다른 모듈은 세션 키를 활성화하여 사용자가 한 번의 서명으로 일련의 작업을 승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지갑이 각 체인에 존재하기 때문에, 필요할 때 로컬에서 직접 트랜잭션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Etherspot의 백엔드 번들러와 릴레이어가 크로스체인 조정을 오케스트레이션함).

  • 트랜잭션 번들러 및 페이마스터: Etherspot은 스마트 지갑에서 사용자 작업을 수집하는 번들러 서비스(Skandha)와 가스비를 대신 지불할 수 있는 페이마스터 서비스(Arka)를 운영합니다. 사용자가 Etherspot을 통해 인텐트를 트리거하면, 사실상 자신의 지갑 컨트랙트에 메시지를 서명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Etherspot 인프라(번들러)가 이를 관련 체인의 실제 트랜잭션으로 변환합니다. 결정적으로, 이는 여러 작업을 번들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체인에서의 DEX 스왑과 다른 체인으로의 브릿지 전송을 사용자의 지갑 컨트랙트가 단계별로 실행할 하나의 메타 트랜잭션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페이마스터는 사용자가 L1 가스를 지불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음을 의미합니다. 대신, DApp이나 제3자가 이를 부담하거나, 수수료를 다른 토큰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실제로 가스 추상화를 실현합니다(큰 사용성 향상). 사실, Etherspot은 EIP-7702와 같은 다가오는 이더리움 기능을 통해 외부 소유 계정조차도 컨트랙트 지갑과 유사한 가스 없는 기능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하지만, Etherspot의 스마트 계정은 이미 오늘날 페이마스터를 통해 가스 없는 인텐트를 허용합니다.

  • 인텐트 API 및 솔버 (Pulse): 계정 레이어 위에서 Etherspot은 Etherspot Pulse로 알려진 높은 수준의 인텐트 API를 제공합니다. Pulse는 개발자가 DApp에서 크로스체인 인텐트를 활성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Etherspot의 체인 추상화 엔진입니다. 2024년 말 Etherspot Pulse 데모에서, 그들은 사용자가 간단한 React 앱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한 번의 클릭으로 이더리움에서 Base의 자산으로 토큰 스왑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여주었습니다. 내부적으로 Pulse는 멀티체인 트랜잭션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했습니다. Pulse의 주요 기능에는 통합 잔액(사용자는 체인에 관계없이 모든 자산을 하나의 포트폴리오로 봄), 세션 키 보안(특정 작업에 대한 제한된 권한으로 지속적인 승인을 피함), 인텐트 기반 스왑, 및 _솔버 통합_이 포함됩니다. 즉, 개발자는 Etherspot SDK를 통해 swap(Chain1의 tokenA -> 사용자를 위해 Chain2의 tokenB)와 같은 인텐트를 호출하기만 하면, Pulse가 Socket과 같은 유동성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팅하든 크로스체인 DEX를 호출하든 그 방법을 알아냅니다. Etherspot은 최적의 경로를 찾기 위해 다양한 브릿지 및 DEX 애그리게이터와 통합했습니다(Etherspot이 이더리움 인텐트 커뮤니티에 참여하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오픈 인텐트 프레임워크 개념 중 일부를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교육 및 표준: Etherspot은 체인 추상화 표준의 강력한 지지자였습니다. 인텐트와 **"사용자는 원하는 결과를 선언하고, 솔버는 백엔드 프로세스를 처리한다"**는 방식을 설명하는 교육 콘텐츠를 발표하여, 단순화된 UX와 크로스체인 유동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들은 사용자가 브리징이나 가스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고, DApp이 여러 체인에 쉽게 접근하여 확장성을 얻는 것과 같은 이점을 열거합니다. Etherspot은 또한 생태계 프로젝트와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재단의 오픈 인텐트 프레임워크를 참조하고 새로운 크로스체인 메시징 표준(ERC-7786, 7787 등)이 등장함에 따라 이를 통합하는 것을 탐색합니다. 공통 표준에 부합함으로써, Etherspot은 자사의 인텐트 형식이나 지갑 인터페이스가 개발자가 선택한 다른 솔루션(예: Hyperlane, Connext, Axelar 등)과 함께 작동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 사용 사례 및 개발자 UX: 개발자에게 Etherspot을 사용하는 것은 바퀴를 재발명하지 않고도 크로스체인 기능을 추가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DeFi DApp은 사용자가 자산을 보유한 어떤 체인에서든 자금을 입금할 수 있게 하고, Etherspot이 체인 차이를 추상화합니다. 게임 앱은 사용자가 한 번의 트랜잭션에 서명하여 L2에서 NFT를 클레임하고, 거래를 위해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이더리움으로 브리징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Etherspot의 SDK는 본질적으로 체인 불가지론적 함수 호출을 제공합니다. 개발자는 높은 수준의 메서드(통합된 transfer() 또는 swap() 등)를 호출하면, SDK가 사용자 자금 위치 파악, 필요한 경우 이동, 체인 간 상태 업데이트를 처리합니다. 이는 멀티체인 지원을 위한 개발 시간을 크게 줄여줍니다(팀은 자사의 체인 추상화 플랫폼을 사용할 때 개발 시간을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또 다른 측면은 Etherspot이 AA 플로우를 위해 구축한 RPC 플레이그라운드와 디버깅 도구로, 여러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는 복잡한 사용자 작업을 더 쉽게 테스트할 수 있게 합니다. 이 모든 것은 체인 추상화 통합을 Web2에서 결제 API를 통합하는 것만큼 간단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최종 사용자 관점에서, Etherspot 기반 애플리케이션은 훨씬 더 원활한 온보딩과 일상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신규 사용자는 소셜 로그인이나 이메일로 로그인하여(DApp이 Etherspot의 소셜 계정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자동으로 스마트 계정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각 체인에 대한 시드 문구를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들은 어떤 체인에서든 자신의 단일 주소(스마트 지갑의 주소는 모든 지원되는 체인에서 동일함)로 토큰을 받을 수 있고, 이를 하나의 목록에서 볼 수 있습니다. 자산이나 가스가 없는 체인에서 작업(스왑, 대출 등)을 수행하고 싶다면, 인텐트 프로토콜이 자동으로 자금과 작업을 라우팅하여 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폴리곤에 USDC를 보유한 사용자가 이더리움 DeFi 풀에 참여하고 싶다면, 단순히 "풀에 투자하기"를 클릭하면 됩니다. 앱(Etherspot을 통해)은 USDC를 필요한 자산으로 스왑하고, 이더리움으로 브리징하고, 풀 컨트랙트에 입금하며, 심지어 USDC의 아주 작은 부분을 사용하여 가스비를 처리하는 모든 것을 하나의 흐름으로 처리합니다. 사용자는 결코 _"X 네트워크로 전환해 주세요"_나 _"가스를 위해 ETH가 필요합니다"_와 같은 오류에 직면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백그라운드에서 처리됩니다. 이 원클릭 경험이 바로 체인 추상화가 추구하는 것입니다.

Etherspot의 CEO인 마이클 메셀은 EthCC 2025에서 _"고급 체인 추상화"_에 대해 이야기하며, Web3를 진정으로 블록체인 불가지론적으로 만드는 것이 상호운용성, 확장성, UX를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단일 인텐트 크로스체인 스왑의 Pulse 데모와 같은 Etherspot 자체의 기여는 크로스체인 상호작용을 극적으로 단순화하는 기술이 이미 여기에 있음을 보여줍니다. Etherspot이 제시하는 것처럼, 인텐트는 멀티체인 생태계의 혁신적인 가능성과 최종 사용자가 기대하는 사용성 사이의 다리입니다. 그들의 솔루션과 같은 것을 통해, DApp은 체인 차이가 배경으로 사라지는 "마찰 없는" 경험을 제공하여 Web3의 주류 채택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및 개발자 경험 개선 사항

체인 추상화와 인텐트 중심 아키텍처는 궁극적으로 멀티체인 세계에서 더 나은 **사용자 경험(UX)**과 **개발자 경험(DX)**을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주목할 만한 개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원활한 온보딩: 신규 사용자는 자신이 어떤 블록체인에 있는지 걱정하지 않고 온보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는 어디서나 작동하는 단일 스마트 계정이 주어질 수 있으며, 이는 소셜 로그인으로 생성될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혼란 없이 어떤 체인에서든 이 계정으로 토큰이나 NFT를 받을 수 있습니다. 더 이상 신규 사용자가 메타마스크에서 네트워크를 전환하는 방법을 배우거나 여러 시드 문구를 보호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DApp 사용이 Web2 앱 가입과 더 비슷하게 느껴지므로 진입 장벽을 크게 낮춥니다. 계정 추상화를 구현하는 프로젝트는 종종 이메일이나 OAuth 기반 지갑 생성을 허용하며, 결과적으로 생성된 스마트 계정은 체인에 구애받지 않습니다.

  • 원클릭 크로스체인 액션: 아마도 가장 눈에 띄는 UX 이점은 이전에 여러 단계, 여러 앱이 필요했던 워크플로우를 한두 번의 클릭으로 압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전의 크로스체인 토큰 스왑은 체인 1에서 토큰 A를 브리징 가능한 자산으로 스왑하고, 브릿지 UI로 이동하여 체인 2로 보내고, 체인 2에서 토큰 B로 스왑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으며, 양쪽 체인에서 가스비를 관리해야 했습니다. 인텐트 중심 시스템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단순히 "체인 1의 A를 체인 2의 B로 스왑"을 요청하고 한 번 확인하면 됩니다. 중간의 모든 단계(필요한 경우 체인 2에서 가스 획득 포함)는 자동화됩니다. 이는 시간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오류(잘못된 브릿지 사용, 잘못된 주소로 전송 등)의 가능성을 줄여줍니다. 이는 여러 구간의 항공편을 각 구간별로 수동으로 구매하는 대신 하나의 여행 사이트를 통해 예약하는 편리함과 유사합니다.

  • 네이티브 가스비 걱정 해소: 사용자는 더 이상 트랜잭션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소량의 ETH, MATIC, AVAX 등을 계속해서 스왑할 필요가 없습니다. 가스비 추상화는 DApp이 가스를 부담하거나(그리고 아마도 거래된 토큰이나 구독 모델을 통해 수수료를 부과), 시스템이 사용자 자산의 일부를 자동으로 변환하여 수수료를 지불함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큰 심리적 영향을 미칩니다. 혼란스러운 프롬프트(더 이상 "가스 부족" 오류 없음)를 제거하고 사용자가 관심 있는 작업에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여러 EthCC 2025 강연에서는 가스 추상화를 우선순위로 언급했으며, 예를 들어 이더리움의 EIP-7702는 미래에 EOA 계정조차도 가스를 후원받을 수 있게 할 것입니다. 오늘날 실제로 많은 인텐트 프로토콜은 출력 자산의 소량을 사용자를 위해 목적지 체인의 가스로 드롭하거나, 사용자 작업에 연결된 페이마스터를 활용합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예를 들어 Arbitrum에서 Polygon으로 USDC를 이동할 때 양쪽에서 ETH를 전혀 건드리지 않고도, 도착 즉시 Polygon 지갑이 트랜잭션을 할 수 있게 됩니다.

  • 통합 자산 관리: 최종 사용자에게는 여러 체인에 걸친 _자산 및 활동의 통합된 보기_가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체인 추상화는 결합된 포트폴리오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인넷의 1 ETH와 옵티미즘의 2 ETH 상당의 브릿지된 stETH가 모두 "ETH 잔액"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다섯 개의 다른 체인에 USD 스테이블코인이 있다면, 체인 불가지론적 지갑은 총 USD 가치를 보여주고 수동으로 브리징하지 않고도 지출할 수 있게 합니다. 이것은 (자금이 백그라운드에서 여러 계정에 분산되어 있더라도) 단일 잔액을 보여주는 전통적인 은행 앱과 더 비슷하게 느껴집니다.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가장 저렴한 네트워크 사용" 또는 "수익률 극대화"와 같은 기본 설정을 지정할 수 있으며, 시스템은 자동으로 트랜잭션을 적절한 체인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한편, 모든 거래 내역은 체인에 관계없이 하나의 타임라인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일관성은 더 넓은 채택에 중요합니다. 익숙한 비유 아래 블록체인의 복잡성을 숨깁니다.

  • 개발자 생산성 향상: 개발자 측면에서, 체인 추상화 플랫폼은 _더 이상 각 통합에 대해 체인별 코드를 작성할 필요가 없음_을 의미합니다. 자산과 네트워크의 범위를 보장하기 위해 다섯 개의 다른 브릿지와 여섯 개의 거래소를 통합하는 대신, 개발자는 이를 추상화하는 하나의 인텐트 프로토콜 API를 통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발 노력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줄여줍니다. 새로운 체인이나 브릿지가 등장하면, 추상화 레이어의 유지 관리자가 통합을 처리하고, DApp은 그 혜택을 누리기만 하면 됩니다. Etherspot의 주간 다이제스트는 Okto의 체인 추상화 플랫폼과 같은 솔루션이 주요 체인에 대한 즉시 사용 가능한 지원과 유동성 최적화와 같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멀티체인 DApp 개발 시간을 최대 90%까지 단축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본질적으로, 개발자는 크로스체인 전송이나 가스 관리의 복잡성보다는 애플리케이션 로직(예: 대출 상품, 게임)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더 많은 Web2 개발자가 Web3에 진입할 수 있는 문을 엽니다. 각 체인에 대한 깊은 블록체인 전문 지식 대신 더 높은 수준의 SDK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새로운 조합 가능한 경험: 인텐트와 체인 추상화를 통해 개발자는 이전에는 시도하기 너무 복잡했던 경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크로스체인 수익 농사 전략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내 자산의 수익률 극대화"를 클릭하면, 인텐트 프로토콜이 자산을 체인 간에 최고의 수익 농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자율이 변경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게임은 플레이어가 수동으로 아이템을 브리징할 필요 없이 여러 체인에 걸친 자산과 퀘스트를 가질 수 있습니다. 게임의 백엔드(인텐트 프레임워크 사용)가 아이템 텔레포트나 상태 동기화를 처리합니다. 거버넌스도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DAO는 사용자가 한 번 투표하면 크로스체인 메시지를 통해 모든 관련 체인의 거버넌스 컨트랙트에 해당 투표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효과는 조합 가능성입니다. 단일 체인의 DeFi가 프로토콜의 레고 같은 구성을 허용한 것처럼, 크로스체인 인텐트 레이어는 다른 체인의 프로토콜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합니다. 사용자 인텐트는 여러 체인의 여러 DApp에서 작업을 트리거할 수 있으며(예: 한 체인에서 NFT를 언래핑하고 다른 체인의 마켓플레이스에서 판매), 이는 고립된 단일 체인 작업보다 더 풍부한 워크플로우를 만듭니다.

  • 안전망 및 신뢰성: 종종 과소평가되는 UX 측면은 오류 처리입니다. 초기 크로스체인 상호작용에서는 무언가 잘못되었을 때(브릿지에 자금이 갇히거나, 자금을 보낸 후 트랜잭션이 실패하는 등), 사용자는 여러 플랫폼에 걸쳐 문제 해결의 악몽에 직면했습니다. 인텐트 프레임워크는 _재시도 로직, 보험 또는 사용자 보호 메커니즘_을 내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솔버는 최종성 위험을 감수할 수 있습니다. 즉, 사용자의 자금을 목적지에 즉시(몇 초 내에) 전달하고, 더 느린 소스 체인의 최종성을 스스로 기다립니다. 이는 사용자가 확인을 위해 몇 분 또는 몇 시간을 기다리지 않아도 됨을 의미합니다. 인텐트가 부분적으로 실패하면 시스템은 자동으로 롤백하거나 환불할 수 있습니다. 전체 흐름이 알려진 단계로 조정되기 때문에, 무언가 고장났을 때 사용자를 온전하게 만들 수 있는 범위가 더 넓습니다. 일부 프로토콜은 인텐트 실행의 일부로 크로스체인 작업에 대한 에스크로 및 보험을 탐색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여러 단계를 거치는 경우에는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그들은 그 위험을 혼자 감수해야 했을 것입니다. 요컨대, 추상화는 전반적인 경험을 더 원활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평균적인 사용자에게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개선 사항은 하나의 추세를 가리킵니다: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줄이고 _블록체인 배관_을 배경으로 추상화하는 것입니다. 제대로 수행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어떤 체인을 사용하고 있는지조차 깨닫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단지 기능과 서비스에 접근할 뿐입니다. 반면에 개발자는 단일 코드베이스에서 여러 네트워크의 유동성과 사용자 기반을 활용하는 앱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복잡성이 가장자리(사용자 앱)에서 중간(인프라 프로토콜)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기술이 성숙함에 따라 자연스러운 진행 과정입니다. EthCC 2025의 분위기는 이러한 정서를 반영했으며, _"원활하고 조합 가능한 인프라"_가 이더리움 커뮤니티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언급되었습니다.

EthCC 2025에서 얻은 인사이트

EthCC 2025 컨퍼런스(2025년 7월 칸에서 개최)는 체인 추상화와 인텐트 기반 설계가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얼마나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는지를 강조했습니다.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사용자 경험을 통합하는 데 초점을 맞춘 전용 세션 블록이 있었습니다. 행사에서 얻은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추상화에 대한 커뮤니티의 공감대 형성: 업계 리더들의 여러 강연에서 동일한 메시지가 반복되었습니다. 즉, 멀티체인 경험을 단순화하는 것이 차세대 Web3 채택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마이클 메셀(Etherspot)은 _"블록체인에 구애받지 않는 미래를 향하여"_에 대해 이야기했고, 알렉스 배쉬(Zerion 월렛)는 _"추상화와 인텐트로 이더리움의 UX 통합하기"_에 대해 논의했으며, 다른 이들은 스테이블코인 체인 추상화를 위한 ERC-7811과 같은 구체적인 표준을 소개했습니다. 한 강연의 제목인 _"체인 추상화 없이는 Web3 미래도 없다"_는 커뮤니티의 정서를 잘 요약했습니다. 즉, 크로스체인 사용성을 해결하지 않으면 Web3가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지 못할 것이라는 데 광범위한 합의가 있습니다. 이는 L1 또는 L2 확장이 주요 초점이었던 이전 몇 년과는 다른 변화를 나타냅니다. 이제 많은 L2가 활성화되었으므로, 사용자를 위해 이를 연결하는 것이 새로운 개척지입니다.

  • 허브로서의 이더리움의 역할: EthCC 패널에서는 이더리움이 여러 체인 중 하나가 아니라 _멀티체인 생태계의 기반_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이더리움의 보안과 메인넷의 4337 계정 추상화는 다양한 L2 및 사이드체인 활동의 기반이 되는 공통 기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롤업과 경쟁하는 대신, 이더리움(그리고 이더리움 커뮤니티)은 전체 체인 네트워크를 통합된 것처럼 느끼게 만드는 프로토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더리움 재단이 많은 체인과 롤업에 걸쳐 있는 오픈 인텐트 프레임워크와 같은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것에서 잘 드러납니다. EthCC의 분위기는 이더리움의 성숙도가 **"생태계의 생태계"**를 수용하는 데서 나타나며, 사용자 중심 설계(체인에 관계없이)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었습니다.

  • 촉매제로서의 스테이블코인 및 실물 자산: 흥미로운 주제는 체인 추상화와 **스테이블코인 및 RWA(실물 자산)**의 교차점이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DeFi에서 "기반을 다지는 힘"으로 반복적으로 언급되었으며, 여러 강연(예: ERC-7811 스테이블코인 체인 추상화)에서는 스테이블코인 사용을 체인에 구애받지 않게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아이디어는 일반 사용자가 자신의 USDC나 DAI가 어느 체인에 있는지 신경 쓸 필요가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동일한 가치를 가져야 하며 어디서나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Securitize의 펀드가 웜홀을 사용하여 멀티체인으로 전환하여, 사실상 기관 제품을 여러 체인에 걸쳐 추상화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EthCC 토론에서는 스테이블코인과 RWA에 대한 크로스체인 UX를 해결하는 것이 더 넓은 블록체인 기반 금융으로 나아가는 큰 걸음이라고 제안했습니다. 이러한 자산은 기관 및 주류 사용자의 채택을 위해 원활한 사용자 경험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 개발자의 흥분과 도구: 워크숍과 사이드 이벤트(멀티체인 데이 등)에서는 개발자들에게 새로운 도구를 소개했습니다. 해커톤 프로젝트와 데모는 인텐트 API와 체인 추상화 SDK(다양한 팀에서 제공)를 사용하여 며칠 만에 크로스체인 DApp을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었습니다. Web3 UX의 "성배"인 여러 네트워크를 인식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손에 닿을 수 있다는 것에 대한 palpable한 흥분이 있었습니다. 오픈 인텐트 프레임워크 팀은 참조 솔버와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인텐트 지원 앱을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초보자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과거에 브리징과 멀티체인 배포에 어려움을 겪었던 개발자들은 이러한 솔루션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이는 Q&A 세션에서 분명하게 드러났습니다(컨퍼런스 기간 동안 소셜 미디어에 비공식적으로 보고된 바에 따르면).

  • 발표 및 협력: EthCC 2025는 이 분야의 프로젝트 간 협력을 발표하는 무대 역할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지갑 제공업체와 인텐트 프로토콜 간의 파트너십이나 브릿지 프로젝트와 계정 추상화 프로젝트 간의 파트너십이 암시되었습니다. 한 가지 구체적인 발표는 웜홀이 스택스 생태계와 통합하여 비트코인 유동성을 크로스체인 흐름으로 가져오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이더리움에 대한 직접적인 체인 추상화는 아니었지만, 전통적으로 분리된 암호화폐 생태계 전반에 걸친 _연결성 확장_을 예시했습니다. 제리온(지갑), 세이프(스마트 계정), 코넥스트, 소켓, 액셀러 등과 같은 프로젝트들이 모두 상호운용성에 대해 논의하며 참석한 것은 퍼즐의 많은 조각들이 맞춰지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전반적으로, EthCC 2025는 사용자 중심의 크로스체인 혁신을 중심으로 커뮤니티가 결집하는 모습을 그렸습니다. _"조합 가능한 인프라"_라는 문구는 목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즉, 이 모든 L1, L2, 프로토콜은 애플리케이션이 임시방편으로 이것저것 꿰맬 필요 없이 구축할 수 있는 응집력 있는 구조를 형성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컨퍼런스는 체인 추상화와 인텐트가 단순한 유행어가 아니라 진지한 인재와 투자를 유치하는 활발한 개발 분야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이 분야에서 이더리움의 리더십—자금 지원, 표준 설정, 견고한 기본 레이어 제공을 통해—은 행사에서 재확인되었습니다.

체인 추상화 및 인텐트에 대한 접근 방식 비교

아래 표는 크로스체인 사용자/개발자 경험 문제를 다루는 몇 가지 주요 프로토콜과 프레임워크를 비교하며, 그들의 접근 방식과 주요 특징을 강조합니다:

프로젝트 / 프로토콜체인 추상화 접근 방식인텐트 중심 메커니즘주요 기능 및 결과
웜홀 (상호운용성 프로토콜)_체인에 구애받지 않는 메시지 전달 레이어_로, 가디언 검증인 네트워크를 통해 25개 이상의 체인(EVM 및 비EVM)을 연결합니다. 네이티브 토큰 전송(NTT) 표준(체인 간 통합 공급량)과 일반적인 크로스체인 컨트랙트 호출로 토큰 전송을 추상화합니다.xApp을 통한 인텐트 이행: 메시징 위에 더 높은 수준의 프로토콜(예: 크로스체인 스왑을 위한 Mayan Swift, 가스비를 포함한 전송을 위한 Mayan MCTP)을 제공합니다. 인텐트는 소스 체인에서 주문으로 인코딩되며, 오프체인 또는 온체인 에이전트(솔라나에서의 경매)에 의해 해결되고, 웜홀은 체인 간 증명을 릴레이합니다.범용 상호운용성: 한 번의 통합으로 여러 체인에 접근 가능.
최적가 실행: 솔버들이 경매에서 경쟁하여 사용자 수익을 극대화(비용 절감).
가스 및 수수료 추상화: 릴레이어가 대상 체인에서 자금과 가스를 전달하여 원클릭 사용자 플로우를 가능하게 함.
이기종 지원: 매우 다른 체인 환경(이더리움, 솔라나, 코스모스 등)에서 작동하여 개발자에게 다용도성을 제공.
Etherspot (AA + ChA SDK)_계정 추상화 플랫폼_으로, 여러 체인에 스마트 컨트랙트 지갑과 통합 SDK를 제공합니다. 모든 사용자 계정 및 잔액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단일 API를 제공하여 체인을 추상화합니다. 개발자는 이 SDK를 통합하여 즉시 멀티체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인텐트 프로토콜 ("Pulse"): 높은 수준의 API를 통해 사용자가 명시한 목표(예: X를 Y로 크로스체인 스왑)를 수집합니다. 백엔드는 사용자의 스마트 지갑을 사용하여 필요한 단계를 실행합니다: 트랜잭션 번들링, 브릿지/스왑 선택(통합된 솔버 로직 또는 외부 애그리게이터 사용), 페이마스터를 통한 가스 후원.스마트 월렛 통합: 하나의 사용자 계정으로 모든 체인의 자산을 제어하여, 통합 잔액 및 원클릭 멀티체인 액션과 같은 기능을 가능하게 함.
개발자 친화적: 사전 구축된 모듈(4337 번들러, 페이마스터) 및 React TransactionKit으로 멀티체인 DApp 개발 시간을 크게 단축.
가스리스 및 소셜 로그인: 가스 후원 및 대체 로그인 지원(주류 사용자의 UX 개선).
단일 인텐트 스왑 데모: 하나의 사용자 작업으로 크로스체인 스왑을 시연하여, 사용자가 "무엇을"에 집중하고 Etherspot이 "어떻게"를 처리하는 방식을 보여줌.
오픈 인텐트 프레임워크 (이더리움 재단 및 협력자)인텐트 기반 크로스체인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한 개방형 표준(ERC-7683) 및 참조 아키텍처. 모든 브리징/메시징 레이어에 연결할 수 있는 기본 컨트랙트 세트(예: 각 체인의 Base7683 인텐트 레지스트리)를 제공합니다. 단일 제공업체와 무관하게 인텐트 표현 및 해결 방법을 표준화하여 체인을 추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플러그인 가능한 솔버 및 정산: OIF는 하나의 솔버 네트워크를 강제하지 않으며, 여러 정산 메커니즘(Hyperlane, LayerZero, Connext의 xcall 등)을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인텐트는 솔버가 모니터링하는 컨트랙트에 제출되며, 개발자가 실행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참조 솔버 구현(TypeScript 봇)이 제공됩니다. Across Protocol의 메인넷 라이브 인텐트 컨트랙트는 ERC-7683의 한 가지 구현 예입니다.생태계 협력: 수십 개의 팀이 공공재로 구축하여 공유 인프라를 장려(솔버는 모든 프로젝트의 인텐트를 서비스할 수 있음).
모듈성: 개발자는 인텐트 형식을 변경하지 않고 신뢰 모델(예: 옵티미스틱 검증, 특정 브릿지, 다중 서명)을 선택할 수 있음.
표준화: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갑 및 UI(예: Superbridge)가 모든 OIF 기반 프로토콜의 인텐트를 지원할 수 있어 통합 노력을 줄임.
커뮤니티 지원: 비탈릭 등이 이 노력을 지지하며, 초기 채택자(Eco, Uniswap의 Compact 등)가 이를 기반으로 구축하고 있음.
Axelar + Squid (크로스체인 네트워크 및 SDK)분산된 검증인 세트가 체인 간 메시지와 토큰을 전달하는 코스모스 기반 상호운용성 네트워크(Axelar). 개발자가 Axelar 네트워크를 통해 EVM 체인, 코스모스 체인 등에서 전송이나 컨트랙트 호출을 시작하는 데 사용하는 통합된 크로스체인 API(Squid SDK)를 제공하여 체인 홉을 추상화합니다. Squid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쉬운 크로스체인 유동성(스왑) 제공에 중점을 둡니다."원스텝" 크로스체인 작업: Squid는 "체인 X의 토큰 A를 체인 Y의 토큰 B로 스왑"과 같은 인텐트를 해석하고, 이를 자동으로 온체인 단계로 분할합니다: 체인 X에서의 스왑(DEX 애그리게이터 사용), Axelar 브릿지를 통한 전송, 체인 Y에서의 스왑. Axelar의 일반 메시지 전달은 임의의 인텐트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Axelar는 또한 가스 서비스를 제공하여, 개발자가 사용자가 소스 토큰으로 가스를 지불하게 하고 목적지 트랜잭션이 지불되도록 보장하여 사용자를 위한 가스 추상화를 달성합니다.개발자 단순성: 하나의 SDK 호출로 멀티체인 스왑을 처리. DEX + 브릿지 + DEX 로직을 수동으로 통합할 필요 없음.
빠른 최종성: Axelar는 자체 합의(초 단위)로 최종성을 보장하여 크로스체인 작업이 신속하게 완료됨(종종 옵티미스틱 브릿지보다 빠름).
DApp과의 조합 가능성: 많은 DApp(예: 탈중앙화 거래소, 수익 애그리게이터)이 Squid를 통합하여 크로스체인 기능을 제공하며,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아웃소싱함.
보안 모델: Axelar의 지분 증명 보안에 의존. 사용자는 Axelar 검증인이 자산을 안전하게 브리징할 것을 신뢰함(옵티미스틱 또는 라이트 클라이언트 브릿지와는 다른 모델).
Connext (xCall & Amarok)보안을 위해 옵티미스틱 보증 모델(감시자가 사기를 감시)을 사용하는 유동성 네트워크 브릿지. xcall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체인을 추상화합니다. 개발자는 크로스체인 함수 호출을 일반 함수 호출처럼 취급하고, Connext는 유동성을 제공하고 목적지에서 호출을 실행하는 라우터를 통해 호출을 라우팅합니다. 목표는 다른 체인의 컨트랙트를 호출하는 것을 로컬 컨트랙트를 호출하는 것만큼 간단하게 만드는 것입니다.함수 호출 인텐트: Connext의 xcall은 "체인 B의 컨트랙트 C에서 함수 F를 데이터 X로 호출하고 결과를 반환하라"와 같은 인텐트를 받습니다. 이는 사실상 크로스체인 RPC입니다. 내부적으로 유동성 공급자는 체인 A에 채권을 잠그고 체인 B에 대표 자산을 발행하거나(또는 사용 가능한 경우 네이티브 자산 사용) 가치 전송을 수행합니다. 인텐트(반환 처리 포함)는 구성 가능한 지연 시간(사기 감지를 허용하기 위해) 후에 이행됩니다. 솔버 경쟁은 없으며, 대신 사용 가능한 모든 라우터가 실행할 수 있지만, Connext는 라우터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가장 저렴한 경로를 보장합니다.신뢰 최소화: 외부 검증인 세트 없음. 보안은 온체인 검증과 채권이 있는 라우터에서 비롯됨. 사용자는 다중 서명에 보관을 위임하지 않음.
네이티브 실행: 목적지 체인에서 임의의 로직을 트리거할 수 있음(스왑 중심 인텐트보다 일반적임). 이는 크로스체인 DApp 조합 가능성에 적합함(예: 원격 프로토콜에서 작업 시작).
라우터 유동성 모델: 라우터가 유동성을 선지급하고 나중에 정산하므로, 최종성을 기다리지 않고 전송을 위한 즉각적인 유동성(전통적인 브릿지처럼).
지갑/브릿지 통합: 단순성과 보안 자세 때문에 간단한 브리징을 위해 지갑에서 내부적으로 자주 사용됨. 최종 사용자 UX 플랫폼보다는 맞춤형 크로스체인 호출을 원하는 프로토콜 개발자를 대상으로 함.

(표 범례: AA = 계정 추상화, ChA = 체인 추상화, AMB = 임의 메시징 브릿지)

위의 각 접근 방식은 약간 다른 각도에서 크로스체인 UX 문제를 해결합니다. 일부는 사용자의 지갑/계정에, 다른 일부는 네트워크 메시징에, 또 다른 일부는 개발자 API 레이어에 중점을 둡니다. 하지만 모두 블록체인 상호작용을 체인에 구애받지 않고 인텐트 중심으로 만드는 공통된 목표를 공유합니다. 특히, 이러한 솔루션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사실 종종 서로를 보완합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Etherspot의 스마트 지갑 + 페이마스터를 사용하고, 오픈 인텐트 표준으로 사용자의 인텐트를 형식화한 다음, Axelar나 Connext를 내부 실행 레이어로 사용하여 실제로 브리징하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추세는 _체인 추상화 도구 자체의 조합 가능성_이며,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는 블록체인의 인터넷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결론

블록체인 기술은 고립된 네트워크와 수동 작업에서 통합되고 인텐트 중심적인 경험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겪고 있습니다. 체인 추상화와 인텐트 중심 아키텍처는 이 변화의 핵심에 있습니다. 여러 체인의 복잡성을 추상화함으로써, 사람들이 자신이 어떤 체인을 사용하고 있는지, 자산을 어떻게 브리징해야 하는지, 또는 각 네트워크에서 가스를 어떻게 획득해야 하는지 이해할 필요 없이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_사용자 중심의 Web3_를 가능하게 합니다. 인프라—릴레이어, 스마트 계정, 솔버, 브릿지—는 사용자가 경로를 알지 못해도 인터넷의 기본 프로토콜이 패킷을 라우팅하는 것처럼 이러한 세부 사항을 협력하여 처리합니다.

사용자 경험에서의 이점은 이미 가시적입니다: 더 원활한 온보딩, 원클릭 크로스체인 스왑, 그리고 생태계 전반에 걸친 진정으로 원활한 DApp 상호작용. 개발자들 또한 멀티체인 세계를 위한 구축을 극적으로 단순화하는 더 높은 수준의 SDK와 표준에 의해 힘을 얻고 있습니다. EthCC 2025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발전이 단지 흥미로운 향상 기능이 아니라 차세대 Web3 성장을 위한 근본적인 요구 사항이라는 강력한 커뮤니티 합의가 있습니다. 웜홀과 Etherspot과 같은 프로젝트는 탈중앙화와 무신뢰성을 유지하면서 Web2와 같은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앞으로, 우리는 이러한 접근 방식의 추가적인 융합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ERC-7683 인텐트 및 ERC-4337 계정 추상화와 같은 표준은 널리 채택되어 플랫폼 간 호환성을 보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 많은 브릿지와 네트워크가 개방형 인텐트 프레임워크와 통합되어, 솔버가 사용자 인텐트를 이행할 수 있는 유동성과 옵션을 증가시킬 것입니다. 결국, "크로스체인"이라는 용어는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 상호작용이 더 이상 별개의 체인 관점에서 생각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마치 웹 사용자가 자신의 요청이 어떤 데이터 센터에 도달했는지 생각하지 않는 것처럼 말입니다. 대신, 사용자는 단순히 _통합된 블록체인 생태계_에서 서비스를 호출하고 자산을 관리하게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체인 추상화와 인텐트 중심 설계는 멀티체인의 꿈을 현실로 만들고 있습니다: 파편화 없이 다양한 블록체인 혁신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사용자 인텐트를 중심으로 설계를 하고 나머지를 추상화함으로써, 업계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오늘날의 중앙화된 서비스만큼 직관적이고 강력하게 만드는 데 큰 발걸음을 내딛고 있으며, 더 넓은 청중을 위한 Web3의 약속을 이행하고 있습니다. 인프라는 여전히 진화하고 있지만, 그 궤적은 분명합니다. 원활하고 인텐트 중심적인 Web3 경험이 곧 다가오고 있으며, 이는 우리가 블록체인을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재정의할 것입니다.

출처: 이 보고서의 정보는 프로토콜 문서, 개발자 블로그 게시물, EthCC 2025 강연 등 다양한 최신 자료에서 수집되었습니다. 주요 참고 자료에는 웜홀의 크로스체인 인텐트 프로토콜에 대한 공식 문서, Etherspot의 계정 및 체인 추상화에 대한 기술 블로그 시리즈, 이더리움 재단의 오픈 인텐트 프레임워크 릴리스 노트 등이 포함되며, 본문 전체에 걸쳐 인용되었습니다. 각 인용은 【출처†줄】 형식으로 표시하여 진술을 뒷받침하는 원본 자료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도록 했습니다.

마찰 없는 온‑램프 with zkLogin

· 약 5분
Dora Noda
Software Engineer

지갑 마찰을 없애고, 사용자를 지속시키며, 성장 가능성을 예측하는 방법

Web3 앱이 최신 Web2 서비스와 같은 원활한 회원가입 흐름을 제공한다면 어떨까요? 이것이 바로 zkLogin이 Sui 블록체인에서 제공하는 핵심 약속입니다. zkLogin은 Sui용 OAuth와 같은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Google, Apple, X 등 익숙한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후 영지식 증명이 해당 Web2 신원을 온체인 Sui 주소와 안전하게 연결합니다 — 지갑 팝업도, 시드 구문도, 사용자 이탈도 없습니다.

그 효과는 실질적이고 즉각적입니다. 이미 수십만 개의 zkLogin 계정이 활성화된 상황에서, 사례 연구에 따르면 전통적인 지갑 장벽을 제거한 후 사용자 전환율이 **17%에서 42%**로 크게 상승했습니다. 이제 작동 원리와 프로젝트에 가져다줄 수 있는 혜택을 살펴보겠습니다.


왜 지갑이 첫 번째 전환을 방해하는가

혁신적인 dApp을 만들었지만 사용자 확보 퍼널이 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원인은 거의 항상 “Connect Wallet” 버튼입니다. 표준 Web3 온보딩은 확장 프로그램 설치, 시드 구문 경고, 암호화 용어 퀴즈 등 복잡한 미로와 같습니다.

신규 사용자는 큰 장벽에 직면합니다. UX 연구자들은 지갑 프롬프트가 나타나는 순간 **87%**가 이탈한다는 충격적인 수치를 발견했습니다. 한 실험에서는 해당 프롬프트를 결제 과정의 후반부로 옮기기만 해도 완료율이 **94%**로 급상승했습니다. 암호화에 호기심이 있는 사용자조차도 “잘못된 버튼을 누르면 자금이 사라질까 봐”라는 두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단일하고 위협적인 단계를 제거하는 것이 기하급수적 성장을 여는 열쇠입니다.


zkLogin 작동 방식 (쉽게 설명)

zkLogin은 모든 인터넷 사용자가 이미 신뢰하는 기술을 활용해 지갑 문제를 우아하게 회피합니다. 몇 가지 간단한 단계로 마법이 이루어집니다:

  1. 임시 키 페어: 사용자가 로그인하려면 브라우저에서 일시적인 단일 세션 키 페어가 로컬에서 생성됩니다. 이는 이번 세션에만 유효한 임시 패스키와 같습니다.
  2. OAuth 흐름: 사용자는 Google, Apple 등 소셜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앱은 이 로그인 요청에 고유값(nonce)을 삽입합니다.
  3. ZKP 서비스: 로그인 성공 후, ZKP(Zero‑Knowledge Proof) 서비스가 암호학적 증명을 생성합니다. 이 증명은 “이 OAuth 토큰이 임시 패스키 소유자를 인증한다”는 것을 온체인에 공개하지 않고 확인합니다.
  4. 주소 파생: OAuth 제공자의 JWT(JSON Web Token)와 고유 salt를 결합해 영구적인 Sui 주소를 결정적으로 생성합니다. salt는 클라이언트 측이나 안전한 백엔드에 비공개로 보관됩니다.
  5. 트랜잭션 제출: 앱은 임시 키로 트랜잭션에 서명하고 ZK 증명을 첨부합니다. Sui 검증자는 온체인에서 증명을 검증해 전통적인 지갑 없이도 트랜잭션의 정당성을 확인합니다.

단계별 통합 가이드

구현 준비가 되셨나요? TypeScript SDK를 활용한 빠른 가이드를 소개합니다. Rust나 Python에서도 원리는 동일합니다.

1. SDK 설치

@mysten/sui 패키지에 필요한 모든 zklogin 헬퍼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pnpm add @mysten/sui

2. 키와 Nonce 생성

먼저 임시 키페어와 현재 Sui 네트워크 epoch에 연결된 nonce를 생성합니다.

const keypair = new Ed25519Keypair();
const { epoch } = await suiClient.getLatestSuiSystemState();
const nonce = generateNonce(keypair.getPublicKey(), Number(epoch) + 2, generateRandomness());

3. OAuth 리다이렉트

사용 중인 제공자(예: Google, Facebook, Apple)에 맞는 OAuth 로그인 URL을 구성하고 사용자를 리다이렉트합니다.

4. JWT 디코드 및 사용자 Salt 조회

사용자가 로그인하고 돌아오면 URL에서 id_token을 가져옵니다. 이를 이용해 백엔드에서 사용자 전용 salt를 조회한 뒤 Sui 주소를 파생합니다.

const jwt = new URLSearchParams(window.location.search).get('id_token')!;
const salt = await fetch('/api/salt?jwt=' + jwt).then(r => r.text());
const address = jwtToAddress(jwt, salt);

5. ZK 증명 요청

JWT를 증명 서비스에 보내 ZK 증명을 받습니다. 개발 단계에서는 Mysten의 퍼블릭 prove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덕션에서는 자체 호스팅하거나 Enoki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const proof = await fetch('/api/prove', {
method:'POST',
body: JSON.stringify({ jwt, ... })
}).then(r => r.json());

6. 서명 및 전송

이제 트랜잭션을 구성하고, 발신자를 사용자의 zkLogin 주소로 설정한 뒤 실행합니다. SDK가 zkLoginInputs(증명)를 자동으로 첨부합니다. ✨

const tx = new TransactionBlock();
tx.moveCall({ target:'0x2::example::touch_grass' }); // 任意的 Move 调用
tx.setSender(address);
tx.setGasBudget(5_000_000);

await suiClient.signAndExecuteTransactionBlock({
transactionBlock: tx,
zkLoginInputs: proof // 여기서 마법이 일어납니다
});

7. 세션 유지

보다 부드러운 사용자 경험을 위해 키페어와 salt를 IndexedDB 또는 로컬 스토리지에 암호화하여 저장합니다. 보안을 강화하려면 몇 epoch마다 회전시키는 것을 잊지 마세요.


KPI 예측 템플릿

zkLogin이 가져오는 차이는 정성적인 것이 아니라 정량적인 것입니다. 일반 온보딩 퍼널과 zkLogin 적용 퍼널을 비교해 보세요:

퍼널 단계지갑 팝업 사용 시 일반zkLogin 사용 시차이
Landing → Sign-in100 %100 %
Sign-in → Wallet Ready15 % (설치, 시드 구문)55 % (소셜 로그인)+40 pp
Wallet Ready → First Tx\ 23 %\ 90 %+67 pp
전체 Tx 전환율\ 3 %≈ 25‑40 %\ 8‑13×

👉 의미: 10,000명의 고유 방문자를 유도하는 캠페인이라면, 첫날 온체인 행동이 300건에서 2,500건 이상으로 증가합니다.


모범 사례 & 주의점

보다 매끄러운 경험을 위해 다음 팁을 기억하세요:

  • 스폰서드 트랜잭션 사용: 사용자의 첫 몇 번 트랜잭션 수수료를 여러분이 부담하세요. 모든 마찰이 사라지고 강력한 “아하” 순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Salt 관리에 신중: 사용자의 salt를 변경하면 새로운 주소가 생성됩니다. 복구 경로를 확실히 제어할 수 있을 때만 수행하세요.
  • Sui 주소 노출: 가입 후 사용자의 온체인 주소를 보여 주세요. 이는 고급 사용자가 원한다면 전통적인 지갑으로 가져갈 수 있게 합니다.
  • 리프레시 루프 방지: JWT와 임시 키페어를 만료될 때까지 캐시해 두어 반복 로그인 요청을 피하세요.
  • Prover 지연 모니터링: 증명 생성 라운드 트립 시간이 2초를 초과하면 지역 프로버를 호스팅해 응답성을 유지하세요.

BlockEden.xyz가 제공하는 가치

zkLogin이 사용자 경험을 완성한다면, 이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백엔드 과제가 등장합니다. 여기서 BlockEden.xyz가 역할을 합니다.

  • API 레이어: 고처리량, 지리적 라우팅이 적용된 RPC 노드가 사용자 위치와 무관하게 zkLogin 트랜잭션을 최소 지연으로 처리합니다.
  • 관찰 가능성: 증명 지연, 성공/실패 비율, 전환 퍼널 건강 지표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대시보드를 제공합니다.
  • 컴플라이언스: fiat 연동 앱을 위해 선택 가능한 KYC 모듈이 있어, 검증된 사용자 신원에서 직접 온‑램프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바로 배포할 준비가 되셨나요?

거추장스럽고 위협적인 지갑 흐름은 이제 끝났습니다. zkLogin 샌드박스를 띄우고 BlockEden의 풀노드 엔드포인트를 연결하면, 사용자는 “지갑”이라는 단어조차 듣지 못한 채 가입 그래프가 상승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블록체인 API의 현황 2025 – 핵심 인사이트 및 분석

· 약 28분
Dora Noda
Software Engineer

블록체인 API의 현황 2025 보고서(BlockEden.xyz 작성)는 블록체인 API 인프라 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시각을 제공합니다. 이 보고서는 새로운 트렌드, 시장 성장, 주요 제공업체, 지원되는 블록체인, 개발자 채택, 그리고 보안, 탈중앙화, 확장성과 같은 중요한 요소들을 검토합니다. 또한 블록체인 API 서비스가 다양한 사용 사례(DeFi, NFT, 게임, 엔터프라이즈)를 어떻게 지원하는지 조명하고, 업계 방향에 대한 논평을 포함합니다. 아래는 보고서의 결과를 구조적으로 요약한 것으로, 선도적인 API 제공업체 비교와 검증을 위한 직접적인 출처 인용을 포함합니다.

블록체인 API 인프라의 트렌드 (2025)

2025년 블록체인 API 생태계는 몇 가지 핵심 트렌드와 기술 발전에 의해 형성됩니다:

  • 멀티체인 생태계: 단일 지배적인 블록체인의 시대는 끝났습니다. 수백 개의 레이어-1, 레이어-2, 그리고 앱 특정 체인이 존재합니다. QuickNode와 같은 선도적인 제공업체는 현재 약 1525개의 체인을 지원하지만, 실제로는 "세계에 500600개의 블록체인(그리고 수천 개의 하위 네트워크)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파편화는 복잡성을 추상화하고 통합된 멀티체인 접근을 제공하는 인프라에 대한 수요를 촉진합니다. 새로운 프로토콜을 조기에 수용하는 플랫폼은 선점 우위를 확보할 수 있으며, 더 확장 가능한 체인이 새로운 온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개발자들이 점점 더 여러 체인에 걸쳐 구축하기 때문입니다. 2023년에만 약 131개의 다른 블록체인 생태계가 새로운 개발자들을 유치하며 멀티체인 트렌드를 강조했습니다.

  • 개발자 커뮤니티의 회복력과 성장: Web3 개발자 커뮤니티는 시장 주기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규모와 회복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3년 말 기준으로 월간 활성 오픈소스 암호화폐 개발자는 22,000명 이상이었으며, 2021년의 과열 이후 약간의 감소(전년 대비 약 25%)가 있었지만, 주목할 점은 경험 많은 "베테랑" 개발자의 수가 약 15% _증가_했다는 것입니다. 이는 진지하고 장기적인 빌더들이 공고해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개발자들은 특히 자금 조달 환경이 빠듯해진 상황에서 신뢰할 수 있고 확장 가능한 인프라와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요구합니다. 주요 체인에서 트랜잭션 비용이 하락하고(L2 롤업 덕분에) 새로운 고처리량 체인이 등장하면서, 온체인 활동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견고한 노드 및 API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더욱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 Web3 인프라 서비스의 부상: 블록체인 인프라는 자체적인 분야로 성숙하여 상당한 벤처 자금과 전문 제공업체를 유치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QuickNode는 일부 경쟁사보다 2.5배 빠른 성능과 99.99% 가동 시간 SLA를 보고하며 Google 및 Coinbase와 같은 기업 고객을 확보했습니다. Alchemy는 시장 정점에서 100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달성하여 투자자들의 열정을 반영했습니다. 이러한 자본 유입은 관리형 노드, RPC API, 인덱싱/분석 및 개발자 도구에서 빠른 혁신을 촉발했습니다. 전통적인 클라우드 거대 기업(AWS, Azure, Google Cloud)도 블록체인 노드 호스팅 및 관리형 원장 서비스로 이 분야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 기회를 입증하지만, 소규모 제공업체가 신뢰성, 확장성 및 엔터프라이즈 기능을 제공해야 하는 기준을 높입니다.

  • 탈중앙화 추진 (인프라): 대형 중앙화 제공업체의 추세와 반대로, Web3의 정신에 부합하는 탈중앙화된 인프라로의 움직임이 있습니다. **Pocket Network, Ankr, Blast (Bware)**와 같은 프로젝트는 암호 경제적 인센티브를 갖춘 분산 노드 네트워크를 통해 RPC 엔드포인트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탈중앙화 API는 비용 효율적이고 검열에 저항할 수 있지만, 종종 성능과 사용 편의성 면에서 중앙화된 서비스에 뒤처집니다. 보고서는 _"현재 중앙화된 서비스가 성능 면에서 앞서지만, Web3의 정신은 탈중개화를 선호한다"_고 언급합니다. BlockEden의 개방형 "API 마켓플레이스" 비전은 무허가 접근(궁극적으로 토큰 거버넌스)을 통해 전통적인 인프라의 신뢰성과 탈중앙화 네트워크의 개방성을 결합하고자 하는 이 움직임과 일치합니다. 개방형 셀프서비스 온보딩(예: 넉넉한 무료 티어, 즉각적인 API 키 가입)을 보장하는 것은 풀뿌리 개발자를 유치하기 위한 업계 모범 사례가 되었습니다.

  • 서비스의 융합 및 원스톱 플랫폼: 제공업체들은 기본적인 RPC 엔드포인트를 넘어 제품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향상된 API 및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덱싱된 데이터(더 빠른 쿼리를 위해), GraphQL API, 토큰/NFT API, 분석 대시보드, 심지어 오프체인 데이터나 AI 서비스 통합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BlockEden은 복잡한 쿼리를 단순화하기 위해 Aptos, Sui, Stellar Soroban용 GraphQL 인덱서 API를 제공합니다. QuickNode는 NFT API 도구(예: Icy Tools)를 인수하고 애드온 마켓플레이스를 출시했습니다. Alchemy는 NFT, 토큰, 전송을 위한 전문 API와 계정 추상화 SDK까지 제공합니다. 이러한 "원스톱 샵" 트렌드는 개발자들이 단일 플랫폼에서 노드 + 인덱싱 + 스토리지 + 분석을 모두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BlockEden은 인프라 내에서 "무허가 LLM 추론"(AI 서비스)까지 탐색했습니다. 목표는 개발자들이 여러 벤더를 조합할 필요가 없도록 풍부한 도구 모음으로 유치하는 것입니다.

시장 규모 및 성장 전망 (2025)

이 보고서는 2025년 이후 블록체인 API/인프라 시장의 견고한 성장을 예측합니다:

  • 글로벌 Web3 인프라 시장은 2024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약 **49%의 성장률(CAGR)**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이 분야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수요를 나타냅니다. 이는 전체 시장 규모가 그 속도로 약 1.5~2년마다 두 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참고로, 보고서에서 인용한 외부 Statista 예측에 따르면, 더 넓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는 2025년 말까지 약 45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인프라가 지원해야 하는 암호화폐 경제의 규모를 강조합니다.)

  • 이러한 성장을 이끄는 것은 Web3 스타트업과 전통 기업 모두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기능을 통합해야 한다는 압박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십 개의 Web2 산업(전자상거래, 핀테크, 게임 등)이 이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암호화폐 거래, 결제 또는 NFT 기능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을 처음부터 구축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블록체인 API 제공업체는 턴키 솔루션을 제공하며, 지갑 및 트랜잭션 API부터 법정화폐 온/오프램프에 이르기까지 전통적인 시스템과 암호화폐 세계를 연결합니다. 이는 채택 장벽을 낮추고 API 서비스에 대한 더 많은 수요를 창출합니다.

  • 기업 및 기관의 블록체인 채택 또한 증가하고 있어 시장을 더욱 확장시키고 있습니다. 명확해진 규제와 금융 및 공급망에서의 블록체인 성공 사례로 인해 2025년까지 더 많은 기업 프로젝트가 생겨났습니다. 많은 기업이 자체 노드를 운영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엔터프라이즈급 제품(SLA 보증, 보안 인증, 전담 지원)을 갖춘 인프라 제공업체에게 기회가 창출됩니다. 예를 들어, **Chainstack의 SOC2 인증 인프라와 99.9% 가동 시간 SLA 및 싱글 사인온(SSO)**은 신뢰성과 규정 준수를 추구하는 기업에 매력적입니다. 이러한 고가치 고객을 확보하는 제공업체는 수익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2025년의 전망은 블록체인 API의 강력한 성장입니다. 확장되는 개발자 기반, 새로운 블록체인 출시, 증가하는 온체인 활동, 그리고 암호화폐 서비스의 주류 통합이 모두 확장 가능한 인프라에 대한 필요성을 이끌고 있습니다. 전문 Web3 기업과 기술 대기업 모두 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이는 경쟁적이면서도 보람 있는 시장임을 나타냅니다.

선도적인 블록체인 API 제공업체 – 기능 및 비교

2025년 블록체인 API 분야는 각각 다른 강점을 가진 몇몇 주요 업체들이 지배하고 있습니다. BlockEden 보고서는 BlockEden.xyz(보고서의 주최자)를 Alchemy, Infura, QuickNode, Chainstack과 같은 다른 선도적인 제공업체들과 비교합니다. 아래는 지원되는 블록체인, 주목할 만한 기능, 성능/가동 시간 및 가격 책정 측면에서의 비교입니다:

제공업체지원 블록체인주요 기능 및 강점성능 및 가동 시간가격 모델
BlockEden.xyz27개 이상의 네트워크 (Ethereum, Solana, Aptos, Sui, Polygon, BNB Chain 등 멀티체인 포함). 다른 업체들이 종종 다루지 않는 신흥 L1/L2에 집중 ("새로운 블록체인을 위한 Infura").표준 RPC와 풍부한 API(예: Sui/Aptos용 GraphQL 인덱서, NFT 및 암호화폐 뉴스 API)를 모두 제공하는 API 마켓플레이스. 또한 API와 함께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독특함 (여러 네트워크에 밸리데이터 운영, 6,500만 달러 스테이킹). 개발자 중심: 셀프서비스 가입, 무료 티어, 강력한 문서, 지원을 위한 활발한 커뮤니티 (BlockEden의 10x.pub 길드). 포용적인 기능 강조 (최근 HTML-to-PDF API 추가 등).출시 이후 모든 서비스에서 약 99.9%의 가동 시간. 여러 지역에 걸친 고성능 노드. 아직 99.99%의 엔터프라이즈 SLA를 자랑하지는 않지만, BlockEden의 실적과 대규모 스테이크 관리는 신뢰성을 입증합니다. 각 지원 체인에 대해 성능이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Aptos/Sui 등에 대한 인덱서 API를 처음 제공하여 해당 생태계의 격차를 메우는 경우가 많았습니다).무료 Hobby 티어 (매우 넉넉함: 예: 하루 1,000만 컴퓨트 유닛 무료). 더 높은 사용량을 위한 종량제 "컴퓨트 유닛" 모델. Pro 플랜 약 $49.99/월로 하루 약 1억 CU (10 RPS) 제공, 이는 많은 경쟁사보다 저렴합니다. 맞춤형 할당량을 갖춘 엔터프라이즈 플랜 이용 가능. 암호화폐 결제(APT, USDC, USDT)를 수락하며, 경쟁사의 더 낮은 견적에 맞춰주는 고객 친화적이고 유연한 가격 전략을 반영합니다.
Alchemy8개 이상의 네트워크 (주요 체인에 집중: Ethereum, Polygon, Solana, Arbitrum, Optimism, Base 등, 새로운 체인 지속적으로 추가). Bitcoin과 같은 비-EVM 체인은 지원 하지 않음.RPC 외에 풍부한 개발자 도구 및 향상된 API 제품군으로 유명. 전문 API 제공: NFT API, 토큰 API, 전송 API, 디버그/추적, 웹훅 알림 및 통합 용이성을 위한 SDK. 개발자 대시보드, 분석 및 모니터링 도구 제공. 강력한 생태계와 커뮤니티(예: Alchemy University)를 갖추고 있으며, 블록체인 개발을 더 쉽게 만드는 데 선구자 역할을 했습니다 (종종 최고의 문서와 튜토리얼을 가진 것으로 평가됨). 유명 사용자(OpenSea, Aave, Meta, Adobe 등)가 그 제품을 검증합니다.데이터의 극도로 높은 신뢰성과 정확성으로 명성. 가동 시간은 엔터프라이즈급 (실질적으로 99.9% 이상)이며, Alchemy의 인프라는 대규모(NFT 마켓플레이스 및 DeFi 플랫폼과 같은 거물급 서비스 제공)에서 입증되었습니다. 24/7 지원 제공 (Discord, 지원 티켓, 엔터프라이즈용 전용 Telegram까지). 전 세계적으로 성능이 강력하지만, 일부 경쟁사는 더 낮은 지연 시간을 주장합니다.무료 티어 (월 최대 약 380만 트랜잭션)에 전체 아카이브 데이터 포함 – 업계에서 가장 관대한 무료 플랜 중 하나로 간주됨. 고정 요금 없는 종량제 티어 – 요청당 지불 (가변적인 사용량에 좋음). 대규모 요구를 위한 맞춤형 가격의 엔터프라이즈 티어. Alchemy는 상위 플랜에서 일부 향상된 API에 대해 비용을 청구하지 않으며, 무료 아카이브 접근은 차별점입니다.
Infura (ConsenSys)약 5개 네트워크 (역사적으로 Ethereum과 그 테스트넷; 현재 프리미엄 사용자를 위해 Polygon, Optimism, Arbitrum도 포함). 분산 스토리지를 위해 IPFS 및 Filecoin에 대한 접근도 제공하지만, Solana나 Bitcoin과 같은 비-EVM 체인은 지원하지 않음.블록체인 API의 초기 개척자 – 초기에는 Ethereum 디앱의 기본값과 같았음.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RPC 서비스 제공. ConsenSys 제품과 통합됨 (예: hardhat, MetaMask는 Infura를 기본값으로 설정할 수 있음). 요청을 모니터링하는 API 대시보드와 ITX(트랜잭션 릴레이)와 같은 애드온 제공. 그러나 기능 세트는 최신 제공업체에 비해 더 기본적임 – 향상된 API나 멀티체인 도구가 적음. Infura의 강점은 Ethereum에 대한 단순성과 입증된 가동 시간에 있습니다.Ethereum 트랜잭션에 대해 매우 신뢰할 수 있음 (DeFi 여름 동안 많은 DeFi 앱을 지원함). 가동 시간과 데이터 무결성이 강력함. 그러나 인수 후 모멘텀이 둔화됨 – Infura는 여전히 약 6개의 네트워크만 지원하며 공격적으로 확장하지 않았음. 중앙화에 대한 비판에 직면함 (예: Infura 중단이 많은 디앱에 영향을 미친 사건). 공식적인 99.99% SLA는 없으며, 약 99.9% 가동 시간을 목표로 함. 주로 Ethereum/메인넷 안정성이 필요한 프로젝트에 적합함.무료 티어 (월 약 300만 요청)가 있는 계층형 플랜. 개발자 플랜 50/(600만요청),50/월 (약 600만 요청), **팀** 225/월 (약 3,000만), 성장 $1000/월 (약 1억 5,000만). 애드온(예: 특정 한도를 초과하는 아카이브 데이터)에 대해 추가 요금 부과. Infura의 가격은 간단하지만, 멀티체인 프로젝트의 경우 사이드체인 지원에 상위 티어나 애드온이 필요하므로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많은 개발자가 Infura의 무료 플랜으로 시작하지만, 종종 이를 초과하거나 다른 네트워크가 필요하면 전환합니다.
QuickNode14개 이상의 네트워크 (매우 넓은 지원: Ethereum, Solana, Polygon, BNB Chain, Algorand, Arbitrum, Avalanche, Optimism, Celo, Fantom, Harmony, 심지어 Bitcoin과 Terra까지, 주요 테스트넷 포함). 수요에 따라 인기 있는 체인을 계속 추가함.속도, 확장성 및 엔터프라이즈급 서비스에 중점. QuickNode는 가장 빠른 RPC 제공업체 중 하나라고 광고함 (전 세계 경쟁사의 65%보다 빠르다고 주장). 고급 분석 대시보드와 애드온 마켓플레이스(예: 파트너의 향상된 API) 제공. 크로스체인 NFT 데이터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NFT API 보유. 강력한 멀티체인 지원 (많은 EVM과 Solana, Algorand, Bitcoin과 같은 비-EVM 포함). 대형 고객(Visa, Coinbase)을 유치했으며 저명한 투자자들의 지원을 자랑함. QuickNode는 새로운 기능(예: 제3자 통합을 위한 "QuickNode Marketplace")을 출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련된 개발자 경험을 제공함.뛰어난 성능과 보증: 엔터프라이즈 플랜에 대한 99.99% 가동 시간 SLA. 낮은 지연 시간을 위한 전 세계적으로 분산된 인프라. QuickNode는 성능 평판 때문에 미션 크리티컬 디앱에 자주 선택됨. 독립적인 테스트에서 일부 경쟁사보다 약 2.5배 빠른 성능을 보임 (보고서에서 인용). 미국에서는 지연 시간 벤치마크에서 최상위권에 위치함. QuickNode의 견고함은 트래픽이 많은 애플리케이션의 필수 선택지가 되게 함.무료 티어 (월 최대 1,000만 API 크레딧). 빌드 티어 49/(8,000만크레딧),스케일49/월 (8,000만 크레딧), **스케일** 249 (4억 5,000만), 엔터프라이즈 499(95,000),그리고월499 (9억 5,000만), 그리고 월 999 (20억 API 크레딧)까지의 맞춤형 상위 플랜. 가격은 다른 RPC 호출이 다른 크레딧을 "소비"하는 크레딧 시스템을 사용하며, 이는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 사용 패턴에 유연성을 제공함. 특정 애드온(전체 아카이브 접근 등)은 추가 비용($250/월)이 듦. QuickNode의 가격은 높은 편(프리미엄 서비스를 반영)이며, 이로 인해 일부 소규모 개발자는 확장 시 대안을 찾게 됨.
Chainstack70개 이상의 네트워크 (업계에서 가장 넓은 커버리지 중 하나). Ethereum, Polygon, BNB Smart Chain, Avalanche, Fantom, Solana, Harmony, StarkNet과 같은 주요 퍼블릭 체인과 Hyperledger Fabric, Corda와 같은 비-암호화폐 엔터프라이즈 원장, 심지어 Bitcoin까지 지원. 이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퍼블릭 및 허가형 체인)은 기업의 요구를 목표로 함.엔터프라이즈 중심 플랫폼: Chainstack은 멀티 클라우드, 지리적으로 분산된 노드를 제공하며 예측 가능한 가격 책정(예상치 못한 초과 요금 없음)을 강조함. 사용자 관리(역할 기반 권한을 가진 팀 계정), 전용 노드, 맞춤형 노드 구성 및 모니터링 도구와 같은 고급 기능 제공. 특히, Chainstack은 글로벌 멤풀 접근을 위한 bloXroute와 같은 솔루션과 통합되며, 인덱싱된 쿼리를 위한 관리형 서브그래프 호스팅을 제공함. 애드온 마켓플레이스도 있음. 본질적으로 Chainstack은 안정적인 가격과 넓은 체인 지원을 강조하며 "확장을 위해 구축된 QuickNode 대안"으로 자신을 마케팅함.매우 견고한 신뢰성: 엔터프라이즈 사용자를 위한 99.9% 이상의 가동 시간 SLA. SOC 2 규정 준수 및 강력한 보안 관행으로 기업에 어필함. 성능은 지역별로 최적화되어 있으며(고빈도 사용 사례를 위한 저지연 지역 엔드포인트를 갖춘 "트레이더" 노드도 제공), QuickNode의 속도만큼 크게 홍보되지는 않지만, Chainstack은 투명성을 위해 성능 대시보드와 벤치마킹 도구를 제공함. 지역 및 무제한 옵션 포함은 상당한 워크로드를 일관성 있게 처리할 수 있음을 시사함.개발자 티어: 0/+사용량(300만요청포함,추가사용량에대해지불).성장:0/월 + 사용량 (300만 요청 포함, 추가 사용량에 대해 지불). **성장**: 49/월 + 사용량 (2,000만 요청, 추가 사용량 청구로 무제한 요청 옵션). 비즈니스: 349(14,000)엔터프라이즈:349 (1억 4,000만) 및 **엔터프라이즈**: 990 (4억), 더 높은 지원 및 맞춤 옵션 제공. Chainstack의 가격은 부분적으로 사용량 기반이지만 "크레딧" 복잡성 없이 고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요금과 글로벌 포용성(지역 수수료 없음)을 강조함. 이러한 예측 가능성과 특정 호출에 대한 항상 무료 게이트웨이와 같은 기능은 Chainstack을 예측 불가능한 비용 없이 멀티체인 접근이 필요한 팀에게 비용 효율적인 선택지로 만듦.

출처: 위 비교는 BlockEden.xyz 보고서의 데이터와 인용문, 그리고 정확성을 위해 제공업체 웹사이트(예: Alchemy 및 Chainstack 문서)의 문서화된 기능을 통합한 것입니다.

블록체인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지원

API 제공업체의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어떤 블록체인을 지원하는지입니다. 다음은 특정 인기 체인과 그 지원 방식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 Ethereum 메인넷 및 L2: 모든 선도적인 제공업체는 Ethereum을 지원합니다. Infura와 Alchemy는 Ethereum에 크게 특화되어 있습니다(전체 아카이브 데이터 등). QuickNode, BlockEden, Chainstack도 Ethereum을 핵심 제품으로 지원합니다. Polygon, Arbitrum, Optimism, Base와 같은 레이어-2 네트워크는 Alchemy, QuickNode, Chainstack에서 지원하며, Infura에서는 유료 애드온으로 지원합니다. BlockEden은 Polygon(및 Polygon zkEVM)을 지원하며, 새로운 L2가 등장함에 따라 더 많이 추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Solana: Solana는 BlockEden(2023년에 Solana 추가), QuickNode, Chainstack에서 지원합니다. Alchemy도 2022년에 Solana RPC를 추가했습니다. Infura는 Solana를 지원하지 않습니다(적어도 2025년 현재, EVM 네트워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Bitcoin: 비-EVM인 Bitcoin은 스마트 컨트랙트 체인에 집중하는 Infura나 Alchemy에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QuickNode와 Chainstack은 모두 Bitcoin RPC 접근을 제공하여, 개발자들이 전체 노드를 실행하지 않고도 Bitcoin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BlockEden은 현재 지원 네트워크 목록에 Bitcoin을 포함하지 않습니다(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과 최신 체인에 집중).

  • Polygon 및 BNB Chain: 이 인기 있는 Ethereum 사이드체인들은 널리 지원됩니다. Polygon은 BlockEden, Alchemy, Infura(프리미엄), QuickNode, Chainstack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BNB Smart Chain (BSC)**은 BlockEden(BSC), QuickNode, Chainstack에서 지원합니다. (Alchemy와 Infura는 BSC 지원을 목록에 올리지 않았는데, 이는 그들이 집중하는 Ethereum/컨센서스 생태계 밖에 있기 때문입니다.)

  • 신흥 레이어-1 (Aptos, Sui 등): 이 분야에서 BlockEden.xyz가 두각을 나타냅니다. Aptos와 Sui의 초기 제공업체로서, 이 Move 언어 체인들의 출시와 함께 RPC 및 인덱서 API를 제공했습니다. 많은 경쟁사들은 초기에 이들을 지원하지 않았습니다. 2025년까지 Chainstack과 같은 일부 제공업체들이 Aptos 등을 라인업에 추가했지만, BlockEden은 해당 커뮤니티에서 여전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보고서는 BlockEden의 Aptos GraphQL API가 사용자에 따르면 "다른 곳에서는 찾을 수 없다"고 언급합니다). 새로운 체인을 신속하게 지원하면 개발자 커뮤니티를 조기에 유치할 수 있습니다. BlockEden의 전략은 개발자들이 새로운 네트워크에서 제한된 옵션을 가질 때 그 격차를 메우는 것입니다.

  • 엔터프라이즈 (허가형) 체인: 독특하게도, Chainstack은 Hyperledger Fabric, Corda, Quorum, Multichain을 지원하며, 이는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프로젝트(컨소시엄, 프라이빗 원장)에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다른 제공업체는 퍼블릭 체인에 집중하며 이들을 대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는 Chainstack의 엔터프라이즈 포지셔닝의 일부입니다.

요약하자면, Ethereum과 주요 EVM 체인은 보편적으로 커버되고, Solana는 Infura를 제외한 대부분이 커버하며, Bitcoin은 소수(QuickNode/Chainstack)만, 그리고 Aptos/Sui와 같은 최신 L1은 BlockEden과 이제 일부 다른 업체들이 지원합니다. 개발자들은 자신의 디앱에 필요한 모든 네트워크를 커버하는 제공업체를 선택해야 하므로, 멀티체인 제공업체의 이점이 있습니다. 제공업체당 더 많은 체인을 지원하는 추세는 분명하지만(예: QuickNode 약 14개, Chainstack 50-70개 이상, Blockdaemon 50개 이상 등), 각 체인에 대한 지원 깊이(견고성)도 마찬가지로 중요합니다.

개발자 채택 및 생태계 성숙도

이 보고서는 개발자 채택 동향과 생태계의 성숙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 개발자 사용량 증가: 2022-2023년의 약세장에도 불구하고 온체인 개발자 활동은 강세를 유지했습니다. 2023년 말 월간 활성 개발자가 약 22,000명(2024/25년에는 다시 증가할 가능성이 높음)에 달하면서, 사용하기 쉬운 인프라에 대한 수요는 꾸준합니다. 제공업체들은 순수한 기술뿐만 아니라 이 기반을 유치하기 위해 개발자 경험으로 경쟁하고 있습니다. 광범위한 문서, SDK, 커뮤니티 지원과 같은 기능은 이제 기본적으로 기대됩니다. 예를 들어, BlockEden의 커뮤니티 중심 접근 방식(Discord, 10x.pub 길드, 해커톤)과 QuickNode의 교육 이니셔티브는 충성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무료 티어 채택: 프리미엄(freemium) 모델은 광범위한 풀뿌리 사용을 이끌고 있습니다. 거의 모든 제공업체가 기본 프로젝트 요구(월 수백만 건의 요청)를 충족하는 무료 티어를 제공합니다. 보고서는 BlockEden의 하루 1,000만 CU 무료 티어가 독립 개발자들의 마찰을 제거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높게 설정되었다고 언급합니다. Alchemy와 Infura의 무료 플랜(월 약 300-400만 콜)은 수년에 걸쳐 수십만 명의 개발자를 온보딩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 전략은 나중에 디앱이 인기를 얻으면 유료 플랜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사용자로 생태계를 씨앗 뿌리는 것입니다. 견고한 무료 티어의 존재는 업계 표준이 되었습니다. 이는 진입 장벽을 낮추고 실험과 학습을 장려합니다.

  • 플랫폼의 개발자 수: Infura는 초기 기본값이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가장 많은 사용자 수(몇 년 전 기준으로 40만 명 이상의 개발자)를 보유했습니다. Alchemy와 QuickNode도 큰 사용자 기반을 성장시켰습니다(Alchemy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홍보와 QuickNode의 Web3 스타트업에 대한 집중이 수천 명을 가입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더 새로운 BlockEden은 6,000명 이상의 개발자 커뮤니티가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합니다. 절대적인 수치로는 작지만, 최신 체인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수치이며, 해당 생태계에서 강력한 침투율을 나타냅니다. 보고서는 내년까지 BlockEden의 활성 개발자를 두 배로 늘리는 목표를 설정했으며, 이는 이 분야의 전반적인 성장 궤도를 반영합니다.

  • 생태계 성숙도: 우리는 과대광고 중심의 채택(강세장 동안 많은 신규 개발자가 유입되는)에서 더 지속 가능하고 성숙한 성장으로의 전환을 보고 있습니다. 2021년 이후 "관광객" 개발자의 감소는 남아있는 사람들이 더 진지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2024-2025년의 신규 진입자들은 종종 더 나은 이해를 바탕으로 합니다. 이러한 성숙은 더 견고한 인프라를 요구합니다: 경험 많은 팀은 높은 가동 시간 SLA, 더 나은 분석 및 지원을 기대합니다. 제공업체들은 서비스를 전문화함으로써 이에 대응했습니다(예: 기업을 위한 전담 계정 관리자 제공, 상태 대시보드 게시 등). 또한 생태계가 성숙함에 따라 사용 패턴이 더 잘 이해됩니다: 예를 들어, NFT 중심 애플리케이션은 DeFi 트레이딩 봇(멤풀 데이터와 낮은 지연 시간 필요)과는 다른 최적화(메타데이터 캐싱 등)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API 제공업체들은 이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합니다(예: 앞서 언급한 Chainstack의 저지연 트레이딩 데이터를 위한 "트레이더 노드"). 산업별 솔루션(게임 API, 규정 준수 도구 등, 종종 마켓플레이스나 파트너를 통해 제공됨)의 존재는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성숙한 생태계의 신호입니다.

  • 커뮤니티 및 지원: 성숙도의 또 다른 측면은 이러한 플랫폼을 중심으로 활발한 개발자 커뮤니티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QuickNode와 Alchemy는 커뮤니티 포럼과 Discord를 가지고 있습니다. BlockEden의 커뮤니티(길드에 4,000명 이상의 Web3 빌더 포함)는 실리콘 밸리에서 뉴욕, 그리고 전 세계에 걸쳐 있습니다. 이러한 동료 지원과 지식 공유는 채택을 가속화합니다. 보고서는 BlockEden의 "탁월한 24/7 고객 지원"을 판매 포인트로 강조하며, 사용자들이 팀의 신속한 대응을 높이 평가한다고 언급합니다. 기술이 더 복잡해짐에 따라, 이러한 종류의 지원(그리고 명확한 문서)은 블록체인 내부에 대해 깊이 익숙하지 않을 수 있는 다음 세대의 개발자를 온보딩하는 데 중요합니다.

요약하자면, 개발자 채택은 더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개발자 경험에 투자하는 제공업체들 – 무료 접근, 좋은 문서, 커뮤니티 참여, 신뢰할 수 있는 지원 – 은 Web3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충성도와 입소문의 혜택을 누리고 있습니다. 생태계는 성숙하고 있지만, 여전히 성장할 여지가 많습니다(Web2에서 진입하는 신규 개발자, 대학 블록체인 동아리, 신흥 시장 등 모두 2025년 성장의 목표로 언급됨).

보안, 탈중앙화 및 확장성 고려사항

이 보고서는 보안, 탈중앙화, 확장성이 블록체인 API 인프라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논의합니다:

  • 인프라의 신뢰성 및 보안: API 제공업체의 맥락에서 보안은 견고하고 장애 허용적인 인프라를 의미합니다(이러한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자금을 보관하지 않으므로 주요 위험은 다운타임이나 데이터 오류입니다). 선도적인 제공업체들은 높은 가동 시간, 이중화 및 DDoS 보호를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QuickNode의 99.99% 가동 시간 SLA와 글로벌 로드 밸런싱은 RPC 장애로 인해 디앱이 다운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BlockEden은 99.9%의 가동 시간 기록과 6,500만 달러의 스테이킹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함으로써 얻은 신뢰를 인용합니다(이는 노드에 대한 강력한 운영 보안을 의미합니다). Chainstack의 SOC2 규정 준수는 높은 수준의 보안 관행과 데이터 처리를 나타냅니다. 본질적으로, 이러한 제공업체들은 미션 크리티컬 노드 인프라를 운영하므로 신뢰성을 최우선으로 생각합니다. 많은 업체들이 모든 지역에 걸쳐 24/7 대기 엔지니어와 모니터링을 갖추고 있습니다.

  • 중앙화 위험: Ethereum 커뮤니티에서 잘 알려진 우려는 소수의 인프라 제공업체(예: Infura)에 대한 과도한 의존입니다. 너무 많은 트래픽이 단일 제공업체를 통해 전달되면, 중단이나 API의 악의적인 행위가 분산 앱 생태계의 상당 부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025년의 상황은 여기서 개선되고 있습니다. 많은 강력한 경쟁자들이 등장하면서, Infura가 거의 유일했던 2018년보다 부하가 더 분산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프라의 탈중앙화 추진은 부분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입니다. **Pocket Network (POKT)**와 같은 프로젝트는 독립적인 노드 운영자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RPC 요청을 처리함으로써 단일 장애 지점을 제거합니다. 그 대가는 성능과 일관성이었지만, 개선되고 있습니다. Ankr의 하이브리드 모델(일부는 중앙화, 일부는 탈중앙화)도 신뢰성을 잃지 않으면서 탈중앙화를 목표로 합니다. BlockEden 보고서는 이러한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신흥 경쟁자로 인정하며, Web3 가치와 일치한다고 평가합니다. 비록 아직 중앙화 서비스만큼 빠르거나 개발자 친화적이지는 않지만 말입니다. 우리는 더 많은 융합을 보게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앙화 제공업체가 일부 탈중앙화 검증을 채택하는 것(BlockEden의 토큰화된 마켓플레이스 비전은 그러한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 중 하나입니다).

  • 확장성 및 처리량: 확장성은 두 가지 측면이 있습니다: 블록체인 자체의 확장 능력(더 높은 TPS 등)과 인프라 제공업체가 증가하는 요청량을 처리하기 위해 서비스를 확장하는 능력입니다. 첫 번째 점에서, 2025년에는 높은 처리량을 가진 많은 L1/L2(Solana, 새로운 롤업 등)가 있으며, 이는 API가 폭발적이고 고빈도의 워크로드(예: Solana에서의 인기 있는 NFT 민팅은 초당 수천 TPS를 생성할 수 있음)를 처리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제공업체들은 백엔드를 개선하여 대응했습니다. 예를 들어, QuickNode의 하루 수십억 건의 요청을 처리하는 아키텍처, Chainstack의 "무제한" 노드, 그리고 BlockEden의 성능을 위한 클라우드 및 베어메탈 서버 사용 등이 있습니다. 보고서는 온체인 활동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것이 노드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이끌고 있으므로, API 플랫폼의 확장성이 중요하다고 언급합니다. 많은 제공업체들이 이제 처리량 능력을 과시합니다(예를 들어, QuickNode의 상위 티어 플랜은 수십억 건의 요청을 허용하거나, Chainstack은 마케팅에서 "무한한 성능"을 강조합니다).

  • 글로벌 지연 시간: 확장성의 일부는 지리적 분산을 통해 지연 시간을 줄이는 것입니다. API 엔드포인트가 한 지역에만 있으면 전 세계 사용자는 더 느린 응답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지리적으로 분산된 RPC 노드와 CDN은 이제 표준입니다. Alchemy와 QuickNode와 같은 제공업체는 여러 대륙에 데이터 센터를 두고 있습니다. Chainstack은 지역별 엔드포인트(그리고 지연 시간에 민감한 사용 사례를 위한 특정 제품 티어까지)를 제공합니다. BlockEden도 탈중앙화와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지역에서 노드를 운영합니다(보고서는 네트워크 복원력과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주요 지역에 걸쳐 노드를 운영할 계획을 언급합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자 기반이 성장함에 따라 서비스가 지리적으로 확장되도록 보장합니다.

  • 데이터 및 요청의 보안: API에 대한 내용은 아니지만, 보고서는 규제 및 보안 고려사항(예: BlockEden의 블록체인 규제 확실성 법안에 대한 연구는 규정 준수 운영에 대한 관심을 나타냄)을 간략하게 다룹니다. 기업 고객에게는 암호화, 보안 API, 그리고 ISO 인증과 같은 것들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 더 블록체인 특화된 측면에서, RPC 제공업체는 프론트러닝 방지(일부는 개인 TX 릴레이 옵션을 제공)나 실패한 트랜잭션에 대한 자동 재시도와 같은 보안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Coinbase Cloud 등은 "보안 릴레이" 기능을 제안했습니다. 보고서의 초점은 보안으로서의 인프라 신뢰성에 더 맞춰져 있지만, 이러한 서비스가 금융 앱에 더 깊이 내장됨에 따라 그들의 보안 태세(가동 시간, 공격 저항성)가 Web3 생태계의 전반적인 보안의 일부가 된다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확장성과 보안은 고성능 인프라와 다각화를 통해 해결되고 있습니다. 경쟁적인 환경은 제공업체들이 최고의 가동 시간과 처리량을 위해 노력하게 만듭니다. 동시에, 중앙화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탈중앙화 대안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둘의 조합이 다음 단계를 정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성능과 탈중앙화된 신뢰성의 조화입니다.

API 수요를 이끄는 사용 사례 및 애플리케이션

블록체인 API 제공업체는 다양한 사용 사례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보고서는 2025년에 이러한 API에 특히 의존하는 몇 가지 영역을 강조합니다:

  • 탈중앙화 금융 (DeFi): DeFi 애플리케이션(DEX, 대출 플랫폼, 파생상품 등)은 신뢰할 수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크게 의존합니다. 이들은 온체인 상태(잔액, 스마트 컨트랙트 읽기)를 가져오고 지속적으로 트랜잭션을 전송해야 합니다. 많은 상위 DeFi 프로젝트는 확장성을 위해 Alchemy나 Infura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Aave와 MakerDAO는 Alchemy 인프라를 사용합니다. API는 또한 DeFi의 분석 및 과거 쿼리에 필요한 아카이브 노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DeFi가 특히 레이어-2 네트워크와 멀티체인 배포에서 계속 성장함에 따라, 멀티체인 API 지원과 낮은 지연 시간은 매우 중요합니다(예: 차익 거래 봇은 멤풀 데이터와 빠른 트랜잭션의 이점을 누림 – 일부 제공업체는 이를 위해 전용 저지연 엔드포인트를 제공합니다). 보고서는 (L2와 새로운 체인을 통해) 비용을 낮추는 것이 온체인 DeFi 사용을 촉진하고, 이는 다시 API 호출을 증가시킨다고 암시합니다.

  • NFT 및 게임: NFT 마켓플레이스(OpenSea 등)와 블록체인 게임은 상당한 읽기 볼륨(메타데이터, 소유권 확인)과 쓰기 볼륨(민팅, 전송)을 생성합니다. OpenSea는 주목할 만한 Alchemy 고객이며, 이는 아마도 Ethereum과 Polygon 전반에 걸쳐 NFT 데이터 쿼리를 단순화하는 Alchemy의 NFT API 때문일 것입니다. QuickNode의 크로스체인 NFT API도 이 부문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게임은 종종 Solana, Polygon 또는 특정 사이드체인과 같은 체인에서 실행됩니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높은 TPS 처리를 제공하는 제공업체는 수요가 많습니다. 보고서는 게임 클라이언트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지만, Web3 게임 및 메타버스 프로젝트를 성장하는 부문으로 언급합니다(그리고 BlockEden의 AI 통합과 같은 지원은 게임/NFT 메타버스 앱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게임 내 거래와 마켓플레이스는 상태 업데이트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드 API를 호출합니다.

  • 엔터프라이즈 및 Web2 통합: 블록체인에 진출하는 전통적인 기업(결제, 공급망, 신원 등)은 관리형 솔루션을 선호합니다. 보고서는 _핀테크 및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암호화폐 결제 및 거래 기능을 추가하고 있다_고 언급하며, 이들 중 다수는 바퀴를 재발명하는 대신 제3자 API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결제 처리업체는 암호화폐 전송을 위해 블록체인 API를 사용할 수 있거나, 은행은 커스터디 솔루션을 위해 체인 데이터를 쿼리하는 데 노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기업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중동 및 아시아와 같이 기업 블록체인 채택이 증가하는 지역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제안합니다. 구체적인 예로, Visa는 일부 블록체인 파일럿을 위해 QuickNode와 협력했으며, Meta(Facebook)는 특정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Alchemy를 사용합니다. 엔터프라이즈 사용 사례에는 분석 및 규정 준수도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위험 분석을 위해 블록체인을 쿼리하는 것인데, 일부 제공업체는 맞춤형 API나 전문 체인(예: Chainstack이 무역 금융 컨소시엄을 위해 Corda를 지원하는 것)을 지원함으로써 이를 수용합니다. BlockEden의 보고서는 주류 채택을 촉진하기 위해 몇 가지 기업 사례 연구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임을 나타냅니다.

  • Web3 스타트업 및 디앱: 물론, 핵심 사용 사례는 지갑에서 소셜 디앱, DAO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입니다. Web3 스타트업은 각 체인에 대한 노드를 운영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API 제공업체에 의존합니다. 많은 해커톤 프로젝트가 이러한 서비스의 무료 티어를 사용합니다. 탈중앙화 소셜 미디어, DAO 툴링, 신원(DID) 시스템, 그리고 인프라 프로토콜 자체와 같은 영역 모두 신뢰할 수 있는 RPC 접근이 필요합니다. 보고서의 BlockEden 성장 전략은 전 세계의 초기 단계 프로젝트와 해커톤을 구체적으로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노드 운영에 대해 걱정하고 싶지 않은 새로운 디앱의 물결이 지속적으로 온라인에 등장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특수 서비스 (AI, 오라클 등): 흥미롭게도, AI와 블록체인의 융합은 블록체인 API와 AI 서비스가 교차하는 사용 사례를 낳고 있습니다. BlockEden의 "AI-to-earn"(Cuckoo Network 파트너십)과 플랫폼에서의 무허가 AI 추론 탐색은 한 가지 각도를 보여줍니다. 오라클과 데이터 서비스(Chainlink 등)도 이러한 제공업체의 기본 인프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API "사용자"는 아니지만, 이러한 인프라 계층 자체는 때때로 서로를 기반으로 구축됩니다. 예를 들어, 분석 플랫폼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블록체인 AP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블록체인 API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취미 개발자부터 포춘 500대 기업까지 광범위합니다. DeFi와 NFT는 확장 가능한 API의 필요성을 입증한 초기 촉매제(2019-2021)였습니다. 2025년까지, 엔터프라이즈 및 새로운 Web3 부문(소셜, 게임, AI)이 시장을 더욱 확장하고 있습니다. 각 사용 사례는 고유한 요구사항(처리량, 지연 시간, 과거 데이터, 보안)을 가지고 있으며, 제공업체들은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솔루션을 맞춤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고서는 이러한 사용 사례를 설명하는 업계 리더들의 인용문과 예를 포함합니다:

  • "185개 블록체인에 걸쳐 1,000개 이상의 코인이 지원되어... 33만 개 이상의 거래 쌍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한 거래소 API 제공업체가 자랑하며, 암호화폐 거래 기능에 필요한 지원의 깊이를 강조합니다.
  • "한 파트너는 턴키 API를 통합한 후 4개월 만에 월간 거래량이 130% 증가했다고 보고했습니다" - 견고한 API를 사용하는 것이 암호화폐 비즈니스의 성장을 어떻게 가속화할 수 있는지를 강조합니다.
  • 이러한 통찰력의 포함은 견고한 API가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성장을 가능하게 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업계 인사이트 및 논평

BlockEden 보고서는 블록체인 인프라의 방향에 대한 공감대를 반영하는 업계 전반의 통찰력으로 짜여 있습니다. 몇 가지 주목할 만한 논평과 관찰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멀티체인의 미래: 보고서에서 인용된 바와 같이, _"현실은 500에서 600개의 블록체인이 있다"_는 것입니다. 이 관점(원래 Electric Capital의 개발자 보고서나 유사한 출처에서 비롯됨)은 미래가 단수가 아닌 복수임을 강조합니다. 인프라는 이러한 파편화에 적응해야 합니다. 지배적인 제공업체들조차 이를 인정합니다. 예를 들어, (한때 거의 Ethereum에만 집중했던) Alchemy와 Infura는 이제 여러 체인을 추가하고 있으며, 벤처 캐피털은 틈새 프로토콜 지원에 집중하는 스타트업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많은 체인을 지원하는 능력(그리고 새로운 체인이 등장할 때 신속하게 지원하는 능력)은 핵심 성공 요인으로 간주됩니다.

  • 성능의 중요성: 보고서는 QuickNode의 성능 우위(2.5배 빠름)를 인용하는데, 이는 벤치마킹 연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개발자들 사이에서도 공감을 얻었습니다. 지연 시간과 속도는 특히 최종 사용자 대면 앱(지갑, 거래 플랫폼)에서 중요합니다. 업계 리더들은 종종 _web3 앱이 web2처럼 부드럽게 느껴져야 한다_고 강조하며, 이는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인프라에서 시작됩니다. 따라서 성능 경쟁(예: 전 세계적으로 분산된 노드, 최적화된 네트워킹, 멤풀 가속)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엔터프라이즈 검증: Google, Coinbase, Visa, Meta와 같은 유명 기업들이 이러한 API 제공업체를 사용하거나 투자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 분야에 대한 강력한 검증입니다. QuickNode가 SoftBank와 Tiger Global과 같은 주요 투자자들을 유치했으며, Alchemy의 100억 달러 기업 가치가 이를 증명한다고 언급됩니다. 2024/2025년경 업계 논평에서는 종종 암호화폐의 "기반 인프라"(즉, 인프라)가 약세장 동안에도 현명한 투자였다고 언급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그 개념을 강화합니다: Web3의 기반을 제공하는 회사들은 그 자체로 중요한 인프라 회사가 되어가고 있으며, 전통적인 기술 회사와 VC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경쟁적 차별화: 보고서에는 _단일 경쟁업체 중 BlockEden이 제공하는 서비스 조합(멀티체인 API + 인덱싱 + 스테이킹)을 정확히 제공하는 곳은 없다_는 미묘한 견해가 있습니다. 이는 각 제공업체가 어떻게 틈새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지를 강조합니다: Alchemy는 개발자 도구로, QuickNode는 순수한 속도와 폭넓은 지원으로, Chainstack은 엔터프라이즈/프라이빗 체인에 집중하여, BlockEden은 신흥 체인과 통합 서비스로 말입니다. 업계 리더들은 종종 파이가 커지고 있으므로, 승자 독식 시나리오보다는 특정 부문을 점유하기 위해 차별화가 핵심이라고 말합니다. Moralis(web3 SDK 접근 방식)와 Blockdaemon/Coinbase Cloud(스테이킹 중심 접근 방식)의 존재는 인프라에 대한 다양한 전략이 존재함을 더욱 증명합니다.

  • 탈중앙화 대 중앙화: 이 분야의 사상가들(Ethereum의 비탈릭 부테린 등)은 중앙화된 API에 대한 의존에 대해 자주 우려를 제기해 왔습니다. 보고서의 Pocket Network 등에 대한 논의는 그러한 우려를 반영하며, 중앙화된 서비스를 운영하는 회사들조차도 더 탈중앙화된 미래를 계획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BlockEden의 토큰화된 마켓플레이스 개념 등). 보고서의 통찰력 있는 논평 중 하나는 BlockEden이 "중앙화된 인프라의 신뢰성과 마켓플레이스의 개방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달성된다면 탈중앙화 지지자들에게 환영받을 접근 방식일 것입니다.

  • 규제 환경: 질문의 초점은 아니지만, 보고서가 규제 및 법적 문제를 간략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블록체인 규제 확실성 법안 언급 등). 이는 인프라 제공업체들이 노드 운영이나 데이터 프라이버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법률을 주시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유럽의 GDPR과 그것이 노드 데이터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또는 블록체인 서비스 운영에 대한 미국 규제 등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업계 논평은 더 명확한 규제(예: 비수탁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업체가 자금 전달자가 아님을 정의하는 것)가 모호성을 제거함으로써 이 분야를 더욱 활성화시킬 것이라고 제안합니다.

결론: _블록체인 API의 현황 2025_는 빠르게 진화하고 성장하는 인프라 환경 중 하나입니다. 주요 시사점으로는 멀티체인 지원으로의 전환, 각각 독특한 제품을 가진 경쟁적인 제공업체 분야, 전체 암호화폐 시장 확장과 일치하는 사용량의 대규모 성장, 그리고 성능과 탈중앙화 사이의 지속적인 긴장(과 균형)이 있습니다. 블록체인 API 제공업체는 DeFi와 NFT부터 엔터프라이즈 통합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Web3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중요한 조력자가 되었으며, 블록체인 기술이 더욱 보편화됨에 따라 그들의 역할은 더욱 확대될 것입니다. 이 보고서는 이 분야에서의 성공이 강력한 기술과 가동 시간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참여, 개발자 우선 설계, 그리고 다음의 큰 프로토콜이나 사용 사례를 지원하는 민첩성을 요구함을 강조합니다. 본질적으로, 2025년 블록체인 API의 "현황"은 견고하고 낙관적입니다: 빠르게 성숙하고 있으며 추가 성장을 준비하고 있는 Web3의 기초적인 계층입니다.

출처: 이 분석은 BlockEden.xyz의 블록체인 API의 현황 2025 보고서 및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주요 통찰력과 인용문은 보고서에서 직접 발췌했으며, 완전성을 위해 제공업체 문서 및 업계 기사의 보충 정보를 참조했습니다. 모든 출처 링크는 참조를 위해 인라인으로 제공됩니다.

BeFreed.ai 만나기 – BlockEden.xyz 빌더들을 위한 학습 연료

· 약 3분
Dora Noda
Software Engineer

BlockEden.xyz가 신경 쓰는 이유

빠르게 변화하는 Web3 세계에서는 속도가 전부입니다. 프로덕션 수준의 RPC와 스테이킹 인프라를 제공하려면 우리 팀과 커뮤니티가 지속적으로 혁신의 최전선에 있어야 합니다. 이는 복잡한 프로토콜, 획기적인 암호학 논문, 급변하는 거버넌스 스레드를 파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커뮤니티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빠르게 흡수하고 이해할수록 차세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더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바로 여기서 BeFreed.ai 가 등장합니다.

BeFreed.ai란

BeFreed.ai는 샌프란시스코에 기반을 둔 스타트업으로, AI 시대에 학습을 즐겁고 개인화된 경험으로 만들겠다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사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빌더와 크리에이터의 바쁜 생활에 맞춰 설계된 지능형 마이크로러닝 동반자를 만들었습니다.

핵심 요소:

  • 다양한 포맷 → 한 번의 클릭: BeFreed.ai는 방대한 책, 상세 비디오, 복잡한 기술 문서 등 다양한 콘텐츠를 받아 즉시 짧은 요약, 플래시카드, 심층 노트, 심지어 팟캐스트 형식의 오디오로 변환합니다.
  • 적응형 엔진: 플랫폼은 사용자의 학습 속도와 관심사에 맞춰 함께 학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일괄적인 커리큘럼을 강요하는 대신, 가장 관련성 높은 정보를 다음에 제공해 줍니다.
  • 내장 채팅 및 “왜 이걸” 설명: 질문이 있나요? 바로 물어보세요. BeFreed.ai는 복잡한 주제를 즉시 문의할 수 있게 해 주며, 새로운 인사이트를 여러분의 전체 목표와 연결해 설명해 줍니다.
  • 4만 3천 명 규모의 학습 커뮤니티: 학습은 종종 공동 활동입니다. BeFreed.ai는 43,000명 이상의 학습자들이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유익한 콘텐츠에 반응하며, 핵심 포인트를 강조하는 활기찬 커뮤니티를 조성해 동기부여와 추진력을 유지합니다.

BlockEden.xyz 빌더에게 왜 중요한가

BlockEden.xyz 생태계의 헌신적인 빌더들에게 BeFreed.ai는 단순한 학습 도구를 넘어 전략적 이점입니다. 다음은 여러분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 시간 활용: 300페이지 분량의 백서를 10분짜리 간결한 오디오 요약으로 변환해 중요한 거버넌스 투표 전에 청취할 수 있습니다.
  • 맥락 유지: 플래시카드와 마인드맵을 활용해 프로토콜 세부 사항을 견고히 이해하고, 스마트 계약 인덱스를 작성할 때 활용합니다.
  • 다기능 성장: 개발 환경을 떠나지 않고도 디자인 씽킹 기본, 성장 루프 이해, Go 동시성 팁 등 다양한 스킬을 습득합니다.
  • 공유된 어휘: 팀 차원의 플레이리스트를 만들어 모든 기여자가 동일하고 정제된 정보를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협업과 정렬을 강화합니다.

BlockEden.xyz 워크플로에 BeFreed.ai 적용하기

BeFreed.ai를 기존 개발 프로세스에 통합하는 것은 매끄럽고 즉시 효과를 발휘합니다:

  1. 스펙을 넣기: 최신 토크노믹스 PDF 혹은 YouTube 개발자 콜 URL을 BeFreed에 붙여넣어 즉시 이해하기 쉬운 요약을 받습니다.
  2. 플래시카드 내보내기: CI 실행 중에 핵심 개념을 복습합니다. 지속적인 컨텍스트 전환으로 인한 정신 피로보다 반복 학습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3. 문서에 링크 삽입: 각 API 레퍼런스 옆에 BeFreed 요약 URL을 삽입해 새로운 팀원이 빠르게 적응하도록 돕습니다.
  4. 최신 유지: 떠오르는 L2에 대한 주간 다이제스트를 BeFreed에 설정하고, BlockEden.xyz의 멀티체인 RPC 서비스를 활용해 즉시 프로토타입을 제작합니다.

시작하기

BeFreed.ai는 현재 iOS, Android 및 웹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BlockEden.xyz 프로젝트 스프린트에서 직접 사용해 보시고 학습 및 개발 속도를 어떻게 향상시키는지 경험해 보세요. 저희 팀은 이미 더 긴밀한 통합을 모색 중이며, 웹훅이 병합된 모든 PR 설명을 자동으로 포괄적인 학습 세트로 변환하는 미래를 상상해 보세요.

BlockEden.xyz 대시보드 v3 소개: 현대적이고, 더 빠르며, 보다 직관적인 경험

· 약 3분
Dora Noda
Software Engineer

한 문장 요약: 우리는 Next.js App Router, shadcn-ui 컴포넌트, Tailwind CSS를 사용해 대시보드를 완전히 재설계하여 블록체인 API 접근 관리에 더 빠르고, 반응성이 뛰어나며,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오늘, 우리는 BlockEden.xyz 대시보드 v3 출시를 발표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이는 플랫폼 출범 이래 가장 큰 사용자 인터페이스 업그레이드이며, 단순한 시각적 리프레시를 넘어 블록체인 API 서비스와의 상호작용을 그 어느 때보다 원활하고, 빠르며, 직관적으로 만들기 위한 완전한 아키텍처 개편입니다.

Dashboard v3의 새로운 기능

1. 향상된 성능을 위한 최신 기술 스택

Dashboard v3는 이전 Pages Router 아키텍처를 대체하는 Next.js App Router 기반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이 근본적인 변화는 다음과 같은 성능 향상을 가져옵니다.

  • Server Components: 클라이언트‑사이드 JavaScript을 최소화하여 페이지 로드 속도 향상
  • Improved Routing: 중첩 레이아웃을 통한 보다 직관적인 네비게이션
  • Enhanced SEO: 메타데이터 처리를 개선하여 검색 엔진 가시성 향상

또한 Ant Design 및 Styletron에서 Tailwind CSS 기반 shadcn‑ui 컴포넌트로 마이그레이션하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었습니다.

  • Reduced bundle size: 모든 페이지의 로딩 시간 단축
  • Consistent design language: 일관된 시각적 경험 제공
  • Better accessibility: 키보드 네비게이션 및 스크린 리더 지원 강화

2. 간소화된 액세스 키 관리

액세스 키 관리 경험을 완전히 재설계했습니다.

  • Intuitive key creation: 몇 번의 클릭만으로 새로운 API 키 생성
  • Enhanced visibility: 키 유형 및 권한을 한눈에 구분
  • Improved security: 테넌트 별 환경 격리를 통한 보안 강화
  • One‑click copying: 키를 클립보드에 손쉽게 복사하여 프로젝트에 바로 적용

[IMAGE PLACEHOLDER: 새로운 액세스 키 관리 인터페이스 스크린샷]

3. 재설계된 계정 및 결제 섹션

계정 및 구독 관리가 더욱 간편해졌습니다.

  • Simplified subscription management: 플랜 업그레이드, 다운그레이드, 취소를 손쉽게
  • Clearer billing information: 투명한 가격 및 사용량 통계 제공
  • Streamlined payment process: 향상된 Stripe 연동을 통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결제 처리
  • Enhanced wallet integration: 암호화 지갑과의 연동 개선

4. 엄격한 테넌트 격리

여러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기업 고객을 위해 엄격한 테넌트 격리를 구현했습니다.

  • Client‑specific configurations: 각 클라이언트 ID마다 독립된 환경 제공
  • Enhanced security: 테넌트 간 경계 강화를 통한 보안 향상
  • Improved tracking: 프로젝트별 사용 패턴을 명확히 파악 가능

기술적 개선 사항 (Behind the Scenes)

시각적인 변화 외에도 내부적으로 큰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1. 아키텍처 전환

Pages Router에서 App Router로의 마이그레이션은 애플리케이션 구조에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합니다.

  • Component‑based architecture: 모듈화·유지보수가 쉬운 코드베이스
  • Improved data fetching: 서버‑사이드 렌더링 및 데이터 로딩 효율성 향상
  • Better state management: 관심사 분리와 예측 가능한 상태 업데이트 구현

2. 인증 흐름 강화

인증 시스템을 간소화했습니다.

  • Simplified login process: 더 빠르고 안정적인 로그인
  • Improved session management: 인증 토큰 관리 최적화
  • Enhanced security: 일반적인 보안 취약점에 대한 방어 강화

3. API 통합 최적화

GraphQL 통합을 완전히 재구성했습니다.

  • Apollo Client provider: 클라이언트 ID 처리를 포함한 올바른 설정
  • Network‑only fetch policy: 중요한 정보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 업데이트
  • Optimized queries: 데이터 전송량 감소 및 응답 시간 단축

Dashboard v3 시작하기

기존 모든 사용자는 자동으로 Dashboard v3로 마이그레이션되었습니다. https://BlockEden.xyz/dash 에 로그인하여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경험해 보세요.

BlockEden.xyz를 처음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지금 바로 가입하고 현대적인 대시보드를 통해 최첨단 블록체인 API 서비스를 체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앞으로의 로드맵

이번 업그레이드는 중요한 이정표이지만 여기서 멈추지 않습니다. 향후 몇 달 안에 다음과 같은 기능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 Enhanced analytics: API 사용량에 대한 보다 상세한 인사이트 제공
  • Additional network integrations: 더 많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지원
  • Improved developer tools: 문서 및 SDK 지원 강화
  • Custom alerting: 중요한 이벤트에 대한 맞춤형 알림 설정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대규모 업데이트에서는 여러분의 피드백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문제를 발견하거나 개선 아이디어가 있다면 지원팀에 연락하거나 Discord 커뮤니티에 참여해 주세요.

BlockEden.xyz 여정에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탈중앙화된 미래를 위한 인프라 구축을 계속 이어가겠습니다.

MCP를 통한 AI와 Web3의 연결: 종합적 분석

· 약 14분
Dora Noda
Software Engineer

서론

AI와 Web3는 강력한 방식으로 융합되고 있으며, 이제 AI 범용 인터페이스는 탈중앙화 웹을 위한 연결 조직으로 구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에서 나타나는 핵심 개념은 MCP로, 이는 Anthropic이 소개한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odel Context Protocol)"을 의미하거나, 더 넓은 논의에서는 **메타버스 연결 프로토콜(Metaverse Connection Protocol)**로 느슨하게 설명됩니다. 본질적으로 MCP는 AI 시스템이 외부 도구 및 네트워크와 자연스럽고 안전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표준화된 프레임워크로, 잠재적으로 **AI 에이전트를 Web3 생태계의 모든 곳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AI 범용 인터페이스(대규모 언어 모델 에이전트 및 신경-기호 시스템 등)가 MCP를 통해 Web3 세계의 모든 것을 어떻게 연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을 제공하며, 역사적 배경, 기술 아키텍처, 산업 환경, 위험 및 미래 잠재력을 다룹니다.

1. 개발 배경

1.1 Web3의 진화와 미완의 약속

"Web3"라는 용어는 2014년경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웹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그 비전은 야심 찼습니다: 사용자 소유권 중심의 무허가형 인터넷. 지지자들은 Web2의 중앙화된 인프라를 블록체인 기반의 대안으로 대체하는 것을 상상했습니다. 예를 들어, DNS를 위한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ENS), 스토리지를 위한 파일코인(Filecoin)이나 IPFS, 금융 레일을 위한 DeFi 등이 있었습니다. 이론적으로 이는 빅테크 플랫폼으로부터 통제권을 빼앗고 개인에게 데이터, 신원, 자산에 대한 자기 주권을 부여하는 것이었습니다.

현실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수년간의 개발과 과대광고에도 불구하고 Web3의 주류 영향력은 미미했습니다. 일반 인터넷 사용자들이 탈중앙화 소셜 미디어로 몰려들거나 개인 키를 관리하기 시작하지 않았습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열악한 사용자 경험, 느리고 비싼 트랜잭션, 세간의 이목을 끈 사기, 규제 불확실성 등이 있었습니다. 탈중앙화된 "소유권 웹"은 대체로 틈새 커뮤니티를 넘어서 "실현되지 못했습니다". 2020년대 중반까지 암호화폐 지지자들조차 Web3가 일반 사용자에게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오지 못했다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한편, AI는 혁명을 겪고 있었습니다. 자본과 개발자 인재가 암호화폐에서 AI로 이동하면서 딥러닝과 파운데이션 모델(GPT-3, GPT-4 등)의 혁신적인 발전이 대중의 상상력을 사로잡았습니다. 생성형 AI는 암호화폐 애플리케이션이 고군분투했던 방식으로 콘텐츠, 코드, 결정을 생성하는 등 명확한 유용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실제로, 대규모 언어 모델이 불과 몇 년 만에 미친 영향은 10년간의 블록체인 사용자 채택 속도를 현저히 앞질렀습니다. 이러한 대조는 일부 사람들로 하여금 *"Web3는 암호화폐에 낭비되었다"*고 비꼬게 했고, 진정한 Web 3.0은 AI 물결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말하게 했습니다.

1.2 AI 범용 인터페이스의 부상

수십 년에 걸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정적인 웹 페이지(Web1.0)에서 상호작용적인 앱(Web2.0)으로 진화했지만, 항상 버튼을 클릭하고 양식을 채우는 한계 내에 있었습니다. 현대 AI, 특히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함께 새로운 인터페이스 패러다임이 등장했습니다: 자연어. 사용자는 평이한 언어로 의도를 표현하기만 하면 AI 시스템이 여러 도메인에 걸쳐 복잡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너무나 심오해서 일부에서는 "Web 3.0"을 이전의 블록체인 중심 정의가 아닌 AI 기반 에이전트의 시대("에이전틱 웹")로 재정의할 것을 제안합니다.

그러나 자율 AI 에이전트에 대한 초기 실험은 결정적인 병목 현상을 드러냈습니다. AutoGPT와 같은 프로토타입 에이전트들은 텍스트나 코드를 생성할 수는 있었지만, 외부 시스템 및 서로와 통신할 수 있는 견고한 방법이 부족했습니다. 상호 운용성을 위한 *"공통된 AI 네이티브 언어"*가 없었습니다. 도구나 데이터 소스와의 각 통합은 맞춤형 해킹이었고, AI 간의 상호 작용에는 표준 프로토콜이 없었습니다. 실질적으로, AI 에이전트는 뛰어난 추론 능력을 가졌을지라도 웹 앱이나 온체인 서비스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데 실패할 수 있었습니다. 단순히 해당 시스템과 대화하는 방법을 몰랐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불일치, 즉 강력한 두뇌와 원시적인 I/O는 마치 서투른 GUI 뒤에 갇힌 초지능 소프트웨어와 같았습니다.

1.3 융합과 MCP의 출현

2024년까지 AI가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Web3가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융합이 필요하다는 것이 명백해졌습니다. AI 에이전트는 Web3의 기능(탈중앙화 앱, 계약, 데이터)에 원활하게 접근해야 하고, Web3는 AI가 제공할 수 있는 더 많은 지능과 사용성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바로 **MCP(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가 탄생한 배경입니다. 2024년 말 Anthropic에 의해 소개된 MCP는 LLM에게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AI-도구 통신을 위한 개방형 표준입니다. 이는 AI "호스트"(ChatGPT, Claude 등)가 MCP 서버를 통해 다양한 외부 도구와 리소스를 찾고 사용할 수 있는 구조화되고 발견 가능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즉, MCP는 AI 에이전트가 각 통합을 맞춤 코딩하지 않고도 웹 서비스, API, 심지어 블록체인 기능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공통 인터페이스 계층입니다.

MCP를 **"AI 인터페이스의 USB-C"**라고 생각해보세요. USB-C가 장치 연결 방식을 표준화하여 각 장치마다 다른 케이블이 필요 없게 만든 것처럼, MCP는 AI 에이전트가 도구 및 데이터에 연결하는 방식을 표준화합니다. 개발자는 모든 서비스(Slack 대 Gmail 대 이더리움 노드)에 대해 서로 다른 API 호출을 하드코딩하는 대신, MCP 사양을 한 번 구현하면 MCP 호환 AI는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주요 AI 기업들은 그 중요성을 빠르게 인식했습니다. Anthropic은 MCP를 오픈소스로 공개했으며, OpenAI와 Google 같은 회사들은 자사 모델에 이에 대한 지원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MCP(또는 유사한 "메타 연결 프로토콜")가 마침내 AI와 Web3를 확장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하는 중추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일부 기술자들은 이러한 AI 중심의 연결성이 Web3.0의 진정한 실현이라고 주장합니다. Simba Khadder의 말에 따르면, "MCP는 LLM과 애플리케이션 간의 API를 표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REST API가 Web 2.0을 가능하게 한 것과 유사합니다. 즉, Web3의 다음 시대는 단지 블록체인이 아닌 지능형 에이전트 인터페이스에 의해 정의될 수 있습니다. 탈중앙화 그 자체를 위한 탈중앙화 대신, AI와의 융합은 자연어와 자율 에이전트 뒤에 복잡성을 숨김으로써 탈중앙화를 유용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기술적으로나 실질적으로 AI 범용 인터페이스가 (MCP와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Web3 세계의 모든 것을 어떻게 연결할 수 있는지 자세히 살펴봅니다.

2. 기술 아키텍처: Web3 기술을 연결하는 AI 인터페이스

AI 에이전트를 Web3 스택에 내장하려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스마트 계약, 탈중앙화 스토리지, 신원 시스템, 토큰 기반 경제 등 여러 수준에서의 통합이 필요합니다. 대규모 파운데이션 모델부터 하이브리드 신경-기호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AI 범용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연결하는 "범용 어댑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통합의 아키텍처를 분석합니다.

그림: MCP 아키텍처의 개념도. AI 호스트(Claude나 ChatGPT와 같은 LLM 기반 앱)가 MCP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다양한 MCP 서버에 연결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각 서버는 외부 도구나 서비스(예: Slack, Gmail, 캘린더 또는 로컬 데이터)에 대한 브리지를 제공하며, 이는 범용 허브를 통해 연결되는 주변 장치와 유사합니다. 이 표준화된 MCP 인터페이스를 통해 AI 에이전트는 하나의 공통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 서비스와 온체인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2.1 Web3 클라이언트로서의 AI 에이전트 (블록체인과의 통합)

Web3의 핵심에는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이 있습니다. 이는 신뢰가 필요 없는 방식으로 로직을 강제할 수 있는 탈중앙화된 상태 기계입니다. AI 인터페이스는 이들과 어떻게 상호 작용할 수 있을까요? 두 가지 방향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블록체인에서 데이터를 읽는 AI: AI 에이전트는 결정을 내리기 위한 맥락으로 온체인 데이터(예: 토큰 가격, 사용자의 자산 잔액, DAO 제안)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블록체인 데이터를 검색하려면 노드 RPC API나 서브그래프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해야 합니다. MCP와 같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AI는 표준화된 "블록체인 데이터" MCP 서버에 질의하여 실시간 온체인 정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CP 지원 에이전트는 특정 토큰의 최신 거래량을 묻거나 스마트 계약의 상태를 물을 수 있으며, MCP 서버는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저수준 세부 사항을 처리하고 AI가 사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데이터를 반환합니다. 이는 AI를 특정 블록체인의 API 형식에서 분리하여 상호 운용성을 높입니다.

  • 블록체인에 데이터를 쓰는 AI: 더 강력하게, AI 에이전트는 Web3 통합을 통해 스마트 계약 호출이나 트랜잭션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는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자율적으로 거래를 실행하거나 스마트 계약의 매개변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AI가 블록체인 트랜잭션 기능을 래핑하는 MCP 서버를 호출함으로써 달성됩니다. 구체적인 예로는 EVM 체인을 위한 thirdweb MCP 서버가 있으며, 이는 MCP 호환 AI 클라이언트가 체인별 메커니즘을 추상화하여 이더리움, 폴리곤, BSC 등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합니다.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AI 에이전트는 "인간의 개입 없이" 온체인 작업을 트리거할 수 있으며, 이는 자율 dApp을 가능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시장 상황이 변할 때 트랜잭션에 서명하여 자체적으로 리밸런싱하는 AI 기반 DeFi 볼트가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이러한 상호 작용은 여전히 지갑, 키, 가스비에 의존하지만, AI 인터페이스는 트랜잭션을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보안 샌드박스와 함께) 지갑에 대한 통제된 접근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오라클과 크로스체인 브리지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체인링크(Chainlink)와 같은 오라클 네트워크는 AI와 블록체인 간의 다리 역할을 하여, AI 출력이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온체인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체인링크의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프로토콜(CCIP)은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AI 모델이 사용자를 대신하여 여러 다른 체인에 걸쳐 여러 계약을 동시에 트리거할 수 있게 합니다. 요약하자면, AI 범용 인터페이스는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통해 블록체인 데이터를 소비하고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Web3 클라이언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2.2 신경-기호 시너지: AI 추론과 스마트 계약의 결합

AI-Web3 통합의 흥미로운 측면 중 하나는 AI의 학습 능력(신경망)과 스마트 계약의 엄격한 논리(기호 규칙)를 결합하는 신경-기호 아키텍처의 잠재력입니다. 실제로 이는 AI 에이전트가 비정형적인 의사 결정을 처리하고 특정 작업을 검증 가능한 실행을 위해 스마트 계약에 전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는 시장 심리(모호한 작업)를 분석할 수 있지만, 사전에 설정된 위험 규칙을 따르는 결정론적 스마트 계약을 통해 거래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MCP 프레임워크 및 관련 표준은 AI에게 계약 함수를 호출하거나 행동하기 전에 DAO의 규칙을 질의할 수 있는 공통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핸드오프를 실현 가능하게 합니다.

구체적인 예로는 **싱귤래리티넷(SingularityNET)의 AI-DSL(AI 도메인 특화 언어)**이 있으며, 이는 탈중앙화 네트워크상의 AI 에이전트 간 통신을 표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신경-기호 통합을 향한 한 걸음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즉, 에이전트가 서로에게 AI 서비스나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형식 언어(기호)입니다. 유사하게, **딥마인드(DeepMind)의 알파코드(AlphaCode)**나 다른 프로젝트들도 결국 연결되어 스마트 계약이 온체인 문제 해결을 위해 AI 모델을 호출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오늘날 대규모 AI 모델을 직접 온체인에서 실행하는 것은 비현실적이지만,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블록체인은 영지식 증명이나 신뢰 실행 환경을 통해 ML 계산의 검증을 허용하여 오프체인 AI 결과의 온체인 검증을 가능하게 합니다. 요약하자면, 기술 아키텍처는 AI 시스템과 블록체인 스마트 계약을 공통 프로토콜을 통해 조율되는 상호 보완적인 구성 요소로 구상합니다. AI는 인식과 개방형 작업을 처리하고, 블록체인은 무결성, 메모리, 합의된 규칙의 집행을 제공합니다.

2.3 AI를 위한 탈중앙화 스토리지 및 데이터

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장하며, Web3는 데이터 저장 및 공유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합니다. 탈중앙화 스토리지 네트워크(IPFS/파일코인, Arweave, Storj 등)는 AI 모델 아티팩트의 저장소이자 훈련 데이터의 소스로 사용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 기반 접근 제어를 제공합니다. AI 범용 인터페이스는 MCP 등을 통해 Web2 API에서와 마찬가지로 쉽게 탈중앙화 스토리지에서 파일이나 지식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 에이전트는 적절한 키나 지불 수단이 있다면 오션 프로토콜(Ocean Protocol)의 마켓에서 데이터셋을 가져오거나 분산 스토리지에서 암호화된 파일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특히 오션 프로토콜은 자신을 "AI 데이터 경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으며,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데이터와 심지어 AI 서비스를 토큰화합니다. 오션에서는 데이터셋이 접근을 제어하는 데이터토큰으로 표현됩니다. AI 에이전트는 데이터토큰을 획득하고(아마도 암호화폐로 지불하거나 특정 접근 권한을 통해) 오션 MCP 서버를 사용하여 실제 데이터를 분석용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오션의 목표는 AI를 위해 "잠자고 있는 데이터"를 잠금 해제하고, 프라이버시를 보존하면서 공유를 장려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Web3에 연결된 AI는 이전에 사일로화되었던 개인 데이터 금고에서부터 개방형 정부 데이터에 이르기까지 방대하고 탈중앙화된 정보 코퍼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데이터 사용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보상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여, 더 많은 데이터가 AI에 제공되고 더 많은 AI 기여(훈련된 모델 등)가 수익화될 수 있는 선순환을 촉진합니다.

탈중앙화 신원 시스템도 여기서 역할을 합니다(다음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됨). 이는 누가 또는 무엇이 특정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지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료 AI 에이전트는 환자의 개인 IPFS 스토리지에서 의료 데이터셋을 해독하기 전에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HIPAA 또는 유사한 규정 준수에 대한 온체인 증명)을 제시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술 아키텍처는 적절한 경우 AI로 데이터가 흐르도록 보장하되, 권한을 강제하기 위해 온체인 거버넌스와 감사 추적을 사용합니다.

2.4 탈중앙화 환경에서의 신원 및 에이전트 관리

자율 AI 에이전트가 Web3와 같은 개방형 생태계에서 작동할 때, 신원과 신뢰는 가장 중요해집니다. 탈중앙화 신원(DID) 프레임워크는 암호학적으로 검증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위한 디지털 신원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각 에이전트(또는 이를 배포하는 인간/조직)는 DID와 관련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그 속성과 권한을 명시합니다. 예를 들어, AI 트레이딩 봇은 특정 위험 한도 내에서 작동할 수 있음을 인증하는 규제 샌드박스에서 발급한 자격 증명을 가질 수 있거나, AI 콘텐츠 중재자는 신뢰할 수 있는 조직에 의해 생성되었고 편향성 테스트를 거쳤음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온체인 신원 등록소와 평판 시스템을 통해 Web3 세계는 AI 행동에 대한 책임성을 강제할 수 있습니다. AI 에이전트가 수행하는 모든 트랜잭션은 그 ID로 추적될 수 있으며, 문제가 발생하면 자격 증명이 누가 만들었는지 또는 누가 책임이 있는지 알려줍니다. 이는 중요한 과제를 해결합니다. 신원이 없으면 악의적인 행위자가 시스템을 악용하거나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기 위해 가짜 AI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으며, 아무도 봇과 합법적인 서비스를 구별할 수 없습니다. 탈중앙화 신원은 강력한 인증을 가능하게 하고 진짜 AI 에이전트와 스푸핑을 구별함으로써 이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실제로 Web3와 통합된 AI 인터페이스는 신원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자신의 행동과 요청에 서명합니다. 예를 들어, AI 에이전트가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 MCP 서버를 호출할 때, 서버가 승인된 에이전트로부터의 호출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탈중앙화 신원에 연결된 토큰이나 서명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 신원 시스템(이더리움의 ERC-725 또는 원장에 고정된 W3C DID 등)은 이 검증이 신뢰가 필요 없고 전 세계적으로 검증 가능하도록 보장합니다. 새롭게 등장하는 "AI 지갑" 개념은 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본질적으로 AI 에이전트에게 신원과 연결된 암호화폐 지갑을 제공하여 키를 관리하고,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거나, (잘못된 행동에 대해 삭감될 수 있는) 보증금으로 토큰을 스테이킹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ArcBlock은 *"AI 에이전트가 탈중앙화 환경에서 책임감 있게 운영되기 위해 지갑이 필요하다"*고 논의했습니다.

요약하자면, 기술 아키텍처는 AI 에이전트를 Web3의 일등 시민으로 구상하며, 각 에이전트는 온체인 신원과 시스템에 대한 지분을 가질 수 있고, MCP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호 작용합니다. 이는 신뢰의 웹을 만듭니다. 스마트 계약은 협력하기 전에 AI의 자격 증명을 요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특정 온체인 인증을 충족하는 AI에게만 작업을 위임하도록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AI의 능력과 블록체인의 신뢰 보증이 결합된 것입니다.

2.5 AI를 위한 토큰 경제 및 인센티브

토큰화는 Web3의 특징이며, AI 통합 영역으로도 확장됩니다. 토큰을 통해 경제적 인센티브를 도입함으로써 네트워크는 AI 개발자와 에이전트 자체 모두에게 바람직한 행동을 장려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패턴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서비스에 대한 지불: AI 모델과 서비스는 온체인에서 수익화될 수 있습니다. **싱귤래리티넷(SingularityNET)**은 개발자가 AI 서비스를 배포하고 각 호출에 대해 네이티브 토큰(AGIX)으로 사용자에게 요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개척했습니다. MCP가 활성화된 미래에는 모든 AI 도구나 모델이 플러그 앤 플레이 서비스가 되어 사용량이 토큰이나 소액 결제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고 상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 에이전트가 MCP를 통해 타사 비전 API를 사용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업체의 스마트 계약으로 토큰을 전송하여 자동으로 지불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Fetch.ai도 유사하게 *"자율 경제 에이전트"*가 서비스와 데이터를 거래하는 마켓플레이스를 구상하며, 새로운 Web3 LLM(ASI-1)은 가치 교환을 위해 암호화폐 거래를 통합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 스테이킹 및 평판: 품질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일부 프로젝트는 개발자나 에이전트에게 토큰을 스테이킹하도록 요구합니다. 예를 들어, DeMCP 프로젝트(탈중앙화 MCP 서버 마켓플레이스)는 유용한 MCP 서버를 만드는 개발자에게 보상하기 위해 토큰 인센티브를 사용할 계획이며, 서버 보안에 대한 약속의 표시로 토큰을 스테이킹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평판도 토큰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속적으로 좋은 성과를 내는 에이전트는 평판 토큰이나 긍정적인 온체인 리뷰를 축적할 수 있는 반면, 잘못된 행동을 하는 에이전트는 스테이크를 잃거나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토큰화된 평판은 위에서 언급한 신원 시스템에 피드백될 수 있습니다(스마트 계약이나 사용자는 에이전트를 신뢰하기 전에 온체인 평판을 확인).

  • 거버넌스 토큰: AI 서비스가 탈중앙화 플랫폼의 일부가 되면, 거버넌스 토큰은 커뮤니티가 그 진화를 이끌 수 있게 합니다. 싱귤래리티넷과 오션 같은 프로젝트에는 토큰 보유자가 프로토콜 변경이나 AI 이니셔티브 자금 지원에 투표하는 DAO가 있습니다. 싱귤래리티넷, Fetch.ai, 오션 프로토콜의 합병으로 새로 발표된 인공 초지능(ASI) 얼라이언스에서는 통합 토큰(ASI)이 공동 AI+블록체인 생태계의 방향을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거버넌스 토큰은 채택할 표준(예: MCP 또는 A2A 프로토콜 지원), 인큐베이팅할 AI 프로젝트, AI 에이전트에 대한 윤리 지침 처리 방법과 같은 정책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접근 및 유틸리티: 토큰은 데이터(오션의 데이터토큰처럼)뿐만 아니라 AI 모델 사용에 대한 접근도 제어할 수 있습니다. 가능한 시나리오는 "모델 NFT"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토큰을 소유하면 AI 모델의 출력에 대한 권리나 수익의 일부를 얻게 됩니다. 이는 탈중앙화 AI 마켓플레이스의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고성능 모델의 부분 소유권을 나타내는 NFT를 상상해보세요. 소유자들은 모델이 추론 작업에 사용될 때마다 공동으로 수익을 얻고, 미세 조정에 대해 투표할 수 있습니다. 실험적이지만, 이는 AI 자산에 적용된 Web3의 공유 소유권 정신과 일치합니다.

기술적으로 토큰을 통합한다는 것은 AI 에이전트가 지갑 기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언급했듯이, 많은 에이전트가 자체 암호화폐 지갑을 가질 것입니다). MCP를 통해 AI는 잔액을 확인하고, 토큰을 보내거나, DeFi 프로토콜을 호출(아마도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한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교환)할 수 있는 *"지갑 도구"*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에서 실행되는 AI 에이전트가 데이터셋

NameFi.io: 모든 도메인을 프로그래머블 자산으로 전환

· 약 4분
Zainan Zhou
Zainan Zhou
Founder of Namefi.io

NameFi.io: 모든 도메인을 프로그래머블 자산으로 전환

BlockEden.xyz 개발자를 위한 한 줄 요약: NameFi는 익숙한 Web2 도메인(.com, .xyz 및 300개 이상의 TLD)을 직접 NFT로 민팅하여 전체 DNS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온체인 거래, 담보 제공 및 아이덴티티 활용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BlockEden.xyz 위에서 개발하는 개발자에게 이는 Web2와 Web3 사이의 격차를 메우는 거대한 기회입니다. 사용자가 더 이상 긴 16진수 주소를 복사‑붙여넣기 하지 않고 yourbrand.com 으로 직접 자금을 보낼 수 있는 세상을 상상해 보세요. 이것이 NameFi가 오늘 구축하고 있는 미래입니다.

NameFi가 게임 체인저인 이유

1. 한 번 등록, 어디서든 사용: 매끄러운 Web2 ↔ Web3 브리지
많은 Web3 도메인 솔루션이 기존 인프라를 포기하도록 요구하는 반면, NameFi는 레거시 DNS 시스템을 존중하고 그 위에 구축됩니다. NameFi에 도메인을 등록하거나 가져오면 기존 DNS 기능은 그대로 작동해 웹사이트, 이메일 및 기타 서비스가 중단 없이 운영됩니다. 동시에 도메인 소유권은 온체인 NFT로 불변하게 기록되어 탈중앙화된 세계로의 문을 엽니다.

2. ICANN 인증으로 뒷받침되는 보안
신뢰는 탈중앙화 웹의 기반입니다. NameFi는 ICANN(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공식 인증을 받은 드문 도메인 레지스트라 중 하나입니다. 이는 NameFi가 혁신적인 온체인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전 세계 인터넷 인프라 표준을 준수한다는 의미이며, 탈중앙화 유연성과 엔터프라이즈급 컴플라이언스·보안을 성공적으로 결합합니다.

3. AutoENS 로 구현된 “가스 없는 DNSSEC”
많은 개발자와 사용자에게 높은 가스 비용은 블록체인 진입 장벽입니다. NameFi의 AutoENS 기능은 이 문제를 우아하게 해결합니다. 혁신적인 “가스 없는 DNSSEC” 기술을 통해 클릭 한 번으로 도메인을 ENS 서브도메인에 매핑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이 주소(예: yourdomain.xyz) 로 암호화폐를 보낼 때, 암호 서명이 자동으로 검증되어 사용자나 개발자에게 가스 비용이 전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는 대중 채택을 위한 장벽을 크게 낮춥니다.

4. 금융 컴포저블리티 구현
전통적인 도메인 거래는 느리고 불투명하며 비효율적이었습니다. NameFi가 도메인을 ERC‑721 NFT로 민팅함으로써 모든 것이 바뀝니다. 이제 도메인 이름은 다음과 같은 유동적이고 프로그래머블한 자산이 됩니다.

  • OpenSea, Blur 등 주요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거래 가능
  • DeFi 프로토콜에 담보로 활용해 자산을 차입하고 자본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 DAO의 거버넌스 토큰으로 활용되어 아이덴티티와 투표 권한을 대표

Messari 등 업계 분석가들의 보고서가 강조하듯, 이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전통 도메인 시장에 전례 없는 유동성과 유틸리티를 주입합니다.

핵심 워크플로우: DNS → NFT

  1. 등록 / 가져오기 → NFT 민팅: NameFi를 통해 새 도메인을 등록하거나 기존 도메인을 가져오면 플랫폼 스마트 계약이 자동으로 해당 NFT를 Ethereum에 민팅하고, 소유권 및 만료 정보를 온체인에 기록합니다.
  2. DNS ↔ 온체인 동기화: DNS 레코드는 DNSSEC 로 암호 서명되어 스마트 계약에 동기화되며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반대로 도메인 NFT가 온체인에서 이전될 경우, NameFi는 DNS 제어권이 새로운 소유자에게 실시간으로 유지되도록 합니다.
  3. 거래 / 담보 / 통합: 표준 ERC‑721 토큰인 만큼, 도메인 NFT는 어떤 마켓플레이스에도 상장하거나 DeFi 대출 플랫폼, DAO 툴링 등 호환 프로토콜에 자유롭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BlockEden.xyz와의 시너지: 실용적인 통합 시나리오

NameFi의 비전은 BlockEden.xyz가 제공하는 고성능 멀티체인 인프라와 완벽히 맞닿아 있습니다. 개발자가 오늘 바로 시작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 인간 친화적인 지갑 주소:
    dApp 프론트엔드에서 BlockEden RPC 엔드포인트를 사용해 .com 또는 .xyz 도메인을 해당 지갑 주소로 바로 해석합니다. 이를 통해 “도메인으로 보내기” 사용자 경험을 마찰 없이 구현할 수 있습니다.

  • 도메인 위험 모니터링:
    BlockEden Indexer 를 활용해 NameFi 도메인 NFT 계약의 Transfer 이벤트를 구독합니다. 이를 통해 고가 혹은 브랜드 관련 도메인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피싱 공격이나 악의적 이전을 감지해 알림을 트리거할 수 있습니다.

  • 원스톱 API 제공:
    NameFi는 등록, 갱신, DNS 관리 등 핵심 API 를 BlockEden API Marketplace 에 상시 공개할 계획입니다. 곧 개발자는 하나의 BlockEden API 키만으로 멀티체인 노드 인프라와 강력한 도메인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어 개발 스택이 크게 단순화됩니다.

오늘 바로 시작하세요

도메인 이름은 이제 단순한 문자열이 아니라 프로그래머블하고 컴포저블한 자산입니다. 스마트 계약에 이를 기록하고, 지갑에 통합하며, dApp을 위한 진정한 인간 친화적 진입점을 구축할 때입니다.

  1. NameFi.io 에 방문해 베타 액세스를 신청하고 첫 온체인 도메인을 가져오거나 등록하세요.
  2. 커뮤니티에 참여: BlockEden & NameFi 공동 Discord 에 입장해 통합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SDK 및 예제에 조기 접근하세요.
  3. 블로그 팔로우: 공식 BlockEden 블로그에서 NameFi API 의 모범 사례와 성능 벤치마크에 관한 최신 포스트를 받아보세요.

Web3 생태계의 신뢰 실행 환경(TEE): 심층 분석

· 약 58분

1. TEE 기술 개요

정의 및 아키텍처: **신뢰 실행 환경(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TEE)**은 프로세서의 보안 영역으로, 내부에 로드된 코드와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호합니다. 실제적으로 TEE는 CPU 내의 격리된 "엔클레이브(enclave)" 역할을 합니다. 이는 민감한 연산이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보호된 채 실행될 수 있는 일종의 블랙박스입니다. TEE 엔클레이브 내에서 실행되는 코드는 손상된 운영 체제나 하이퍼바이저조차도 엔클레이브의 데이터나 코드를 읽거나 조작할 수 없도록 보호됩니다. TEE가 제공하는 주요 보안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격리(Isolation): 엔클레이브의 메모리는 다른 프로세스 및 OS 커널로부터 격리됩니다. 공격자가 시스템에서 전체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더라도 엔클레이브 메모리를 직접 검사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 무결성(Integrity): 하드웨어는 TEE에서 실행되는 코드가 외부 공격에 의해 변경될 수 없도록 보장합니다. 엔클레이브 코드나 런타임 상태에 대한 모든 조작은 감지되어 손상된 결과를 방지합니다.
  • 기밀성(Confidentiality): 엔클레이브 내부의 데이터는 메모리에서 암호화된 상태로 유지되며 CPU 내에서 사용될 때만 해독되므로, 비밀 데이터가 외부 세계에 일반 텍스트로 노출되지 않습니다.
  • 원격 증명(Remote Attestation): TEE는 원격 당사자에게 자신이 정품이며 특정 신뢰할 수 있는 코드가 내부에 실행 중임을 확신시키는 암호화 증명(증명서)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비밀 데이터를 제공하기 전에 엔클레이브가 신뢰할 수 있는 상태(예: 정품 하드웨어에서 예상 코드를 실행 중)인지 확인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스마트 계약 실행을 위한 보안 엔클레이브 "블랙박스"로서의 신뢰 실행 환경 개념도. 암호화된 입력(데이터 및 계약 코드)은 보안 엔클레이브 내부에서 해독 및 처리되며, 암호화된 결과만 엔클레이브를 떠납니다. 이는 민감한 계약 데이터가 TEE 외부의 모든 사람에게 기밀로 유지되도록 보장합니다.

내부적으로 TEE는 CPU의 하드웨어 기반 메모리 암호화 및 접근 제어를 통해 활성화됩니다. 예를 들어, TEE 엔클레이브가 생성될 때 CPU는 보호된 메모리 영역을 할당하고 전용 키(하드웨어에 내장되거나 보안 보조 프로세서에 의해 관리됨)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즉시 암호화/해독합니다. 외부 소프트웨어가 엔클레이브 메모리를 읽으려는 모든 시도는 암호화된 바이트만 얻게 됩니다. 이 독특한 CPU 수준의 보호는 사용자 수준 코드조차도 권한 있는 악성 코드나 악의적인 시스템 관리자가 염탐하거나 수정할 수 없는 개인 메모리 영역(엔클레이브)을 정의할 수 있게 합니다. 본질적으로 TEE는 일반적인 운영 환경보다 애플리케이션에 더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면서도 전용 보안 요소나 하드웨어 보안 모듈보다 더 유연합니다.

주요 하드웨어 구현: 여러 하드웨어 TEE 기술이 존재하며, 각각 다른 아키텍처를 가지고 있지만 시스템 내에 보안 엔클레이브를 생성한다는 비슷한 목표를 공유합니다.

  • 인텔 SGX (Software Guard Extensions): 인텔 SGX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TEE 구현 중 하나입니다. 애플리케이션이 프로세스 수준에서 엔클레이브를 생성할 수 있게 하며, 메모리 암호화 및 접근 제어는 CPU에 의해 강제됩니다. 개발자는 코드를 "신뢰할 수 있는" 코드(엔클레이브 내부)와 "신뢰할 수 없는" 코드(일반 세계)로 분할하고, 특수 명령어(ECALL/OCALL)를 사용하여 엔클레이브 안팎으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합니다. SGX는 엔클레이브에 대한 강력한 격리를 제공하며 인텔의 증명 서비스(IAS)를 통해 원격 증명을 지원합니다. 시크릿 네트워크(Secret Network)와 오아시스 네트워크(Oasis Network)와 같은 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SGX 엔클레이브를 기반으로 개인정보 보호 스마트 계약 기능을 구축했습니다. 그러나 복잡한 x86 아키텍처에서의 SGX 설계는 일부 취약점을 낳았으며(§4 참조), 인텔의 증명은 중앙 집중식 신뢰 의존성을 도입합니다.

  • ARM TrustZone: TrustZone은 프로세서의 전체 실행 환경을 **보안 세계(Secure World)**와 **일반 세계(Normal World)**라는 두 개의 세계로 나누는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민감한 코드는 특정 보호된 메모리 및 주변 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보안 세계에서 실행되며, 일반 세계는 일반 OS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 세계 간의 전환은 CPU에 의해 제어됩니다. TrustZone은 모바일 및 IoT 장치에서 보안 UI, 결제 처리 또는 디지털 권리 관리와 같은 용도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블록체인 맥락에서 TrustZone은 개인 키나 민감한 로직이 휴대폰의 보안 엔클레이브에서 실행되도록 허용함으로써 모바일 우선 Web3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TrustZone 엔클레이브는 일반적으로 더 큰 단위(OS 또는 VM 수준)이며 현재 Web3 프로젝트에서는 SGX만큼 널리 채택되지 않았습니다.

  • AMD SEV (Secure Encrypted Virtualization): AMD의 SEV 기술은 가상화 환경을 대상으로 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수준의 엔클레이브를 요구하는 대신, SEV는 전체 가상 머신의 메모리를 암호화할 수 있습니다. 내장된 보안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암호화 키를 관리하고 메모리 암호화를 수행하여 VM의 메모리가 호스팅 하이퍼바이저에게도 기밀로 유지되도록 합니다. 이로 인해 SEV는 클라우드 또는 서버 사용 사례에 매우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노드나 오프체인 워커는 완전히 암호화된 VM 내에서 실행되어 악의적인 클라우드 제공업체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SEV의 설계는 개발자가 코드를 분할하는 노력을 줄여줍니다(기존 애플리케E이션이나 전체 OS를 보호된 VM에서 실행할 수 있음). SEV-SNP와 같은 최신 버전은 변조 감지와 같은 기능을 추가하고 VM 소유자가 중앙 집중식 서비스에 의존하지 않고 VM을 증명할 수 있도록 합니다. SEV는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인프라에서 TEE 사용에 매우 관련이 있습니다.

기타 신흥 또는 틈새 TEE 구현으로는 인텔 TDX (Trust Domain Extensions, 최신 인텔 칩에서 VM에 엔클레이브와 유사한 보호 제공), **키스톤(Keystone, RISC-V)**과 같은 오픈 소스 TEE, 그리고 모바일의 보안 엔클레이브 칩(예: 애플의 Secure Enclave, 임의 코드 실행에는 일반적으로 개방되지 않음)이 있습니다. 각 TEE는 고유한 개발 모델과 신뢰 가정을 가지고 있지만, 모두 하드웨어 격리 보안 실행이라는 핵심 아이디어를 공유합니다.

2. Web3에서의 TEE 애플리케이션

신뢰 실행 환경은 Web3의 가장 어려운 과제 중 일부를 해결하는 강력한 도구가 되었습니다. 안전하고 개인적인 연산 계층을 제공함으로써 TEE는 개인정보보호, 확장성, 오라클 보안 및 무결성 분야에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아래에서는 주요 애플리케이션 영역을 탐색합니다.

개인정보 보호 스마트 계약

Web3에서 TEE의 가장 두드러진 용도 중 하나는 기밀 스마트 계약을 가능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는 블록체인에서 실행되지만 개인 데이터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더리움과 같은 블록체인은 기본적으로 투명합니다. 모든 트랜잭션 데이터와 계약 상태는 공개됩니다. 이러한 투명성은 기밀성이 요구되는 사용 사례(예: 비공개 금융 거래, 비밀 투표, 개인 데이터 처리)에 문제가 됩니다. TEE는 블록체인에 연결된 개인정보 보호 컴퓨팅 엔클레이브 역할을 하여 해결책을 제공합니다.

TEE 기반 스마트 계약 시스템에서는 트랜잭션 입력이 검증인 또는 워커 노드의 보안 엔클레이브로 전송되어 외부 세계에 암호화된 상태로 처리된 후, 엔클레이브가 암호화되거나 해시된 결과를 체인에 다시 출력할 수 있습니다. 해독 키를 가진 승인된 당사자(또는 계약 로직 자체)만이 일반 텍스트 결과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크릿 네트워크(Secret Network)**는 컨센서스 노드에서 인텔 SGX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입력에 대해 CosmWasm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므로, 계정 잔액, 트랜잭션 금액 또는 계약 상태와 같은 것들이 계산에 사용될 수 있으면서도 공개적으로 숨겨질 수 있습니다. 이는 비밀 DeFi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예를 들어, 금액이 기밀인 비공개 토큰 스왑이나 입찰이 암호화되어 경매 종료 후에만 공개되는 비밀 경매가 있습니다. 또 다른 예는 오아시스 네트워크의 **파슬(Parcel)**과 기밀 파라타임(ParaTime)으로, 데이터가 토큰화되어 기밀성 제약 하에 스마트 계약에서 사용될 수 있게 하여, 개인정보보호 규정을 준수하며 블록체인에서 신용 점수 평가나 의료 데이터와 같은 사용 사례를 가능하게 합니다.

TEE를 통한 개인정보 보호 스마트 계약은 기업 및 기관의 블록체인 채택에 매력적입니다. 조직은 민감한 비즈니스 로직과 데이터를 기밀로 유지하면서 스마트 계약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은행은 TEE 지원 계약을 사용하여 고객 데이터를 온체인에 노출하지 않고 대출 신청이나 거래 결제를 처리하면서도 블록체인 검증의 투명성과 무결성의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GDPR이나 HIPAA와 같은 규제적 개인정보보호 요구 사항을 직접적으로 해결하여, 의료, 금융 및 기타 민감한 산업에서 블록체인을 규정 준수 하에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실제로, TEE는 데이터 보호법 준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개인 데이터가 엔클레이브 내에서 처리되고 암호화된 출력만 남겨지도록 보장함으로써, 규제 당국이 데이터가 보호되고 있음을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기밀성 외에도 TEE는 스마트 계약의 _공정성_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탈중앙화 거래소는 채굴자나 검증인이 보류 중인 주문을 보고 부당하게 선행 매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칭 엔진을 TEE 내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TEE는 Web3에 절실히 필요한 개인정보보호 계층을 제공하여, 기밀 DeFi, 비공개 투표/거버넌스, 그리고 이전에는 공개 원장에서 불가능했던 기업 계약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합니다.

확장성 및 오프체인 연산

TEE의 또 다른 중요한 역할은 무거운 연산을 오프체인의 안전한 환경으로 오프로드하여 블록체인 확장성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블록체인은 성능 한계와 온체인 실행 비용 때문에 복잡하거나 계산 집약적인 작업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TEE 지원 오프체인 연산은 이러한 작업이 메인 체인 외부에서 수행되도록 하여(따라서 블록 가스를 소비하거나 온체인 처리량을 늦추지 않음) 결과의 정확성에 대한 신뢰 보증을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 사실상, TEE는 Web3를 위한 검증 가능한 오프체인 컴퓨팅 가속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젝(iExec) 플랫폼은 TEE를 사용하여 개발자가 오프체인에서 연산을 실행하고 블록체인에서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탈중앙화 클라우드 컴퓨팅 마켓플레이스를 만듭니다. dApp은 아이젝 워커 노드에 의해 수행될 연산(예: 복잡한 AI 모델 추론 또는 빅데이터 분석)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 워커 노드들은 SGX 엔클레이브 내에서 작업을 실행하여, 올바른 코드가 정품 엔클레이브에서 실행되었다는 증명과 함께 결과를 생성합니다. 결과는 온체인으로 반환되며, 스마트 계약은 출력을 수락하기 전에 엔클레이브의 증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아키텍처는 신뢰를 희생하지 않고 무거운 워크로드를 오프체인에서 처리할 수 있게 하여 효과적으로 처리량을 높입니다. **아이젝 오케스트레이터(iExec Orchestrator)**와 체인링크의 통합이 이를 보여줍니다. 체인링크 오라클이 외부 데이터를 가져온 다음, 아이젝의 TEE 워커에게 복잡한 연산(예: 데이터 집계 또는 점수 매기기)을 넘겨주고, 마지막으로 안전한 결과가 온체인으로 전달됩니다. 사용 사례로는 아이젝이 시연한 탈중앙화 보험 계산과 같은 것들이 있으며, 많은 데이터 처리를 오프체인에서 저렴하게 수행하고 최종 결과만 블록체인에 올릴 수 있습니다.

TEE 기반 오프체인 연산은 일부 레이어 2 확장 솔루션의 기반이 되기도 합니다. 오아시스 랩스의 초기 프로토타입 에키덴(Ekiden)(오아시스 네트워크의 전신)은 SGX 엔클레이브를 사용하여 트랜잭션 실행을 오프체인에서 병렬로 실행한 다음, 상태 루트만 메인 체인에 커밋하여, 사실상 롤업 아이디어와 유사하지만 하드웨어 신뢰를 사용했습니다. TEE에서 계약 실행을 수행함으로써, 그들은 엔클레이브에 의존하여 보안을 유지하면서 높은 처리량을 달성했습니다. 또 다른 예는 **샌더스 네트워크(Sanders Network)**의 곧 출시될 Op-Succinct L2로, TEE와 zkSNARK를 결합합니다. TEE는 트랜잭션을 비공개로 신속하게 실행하고, 그 실행의 정확성을 이더리움에 증명하기 위해 zk-증명이 생성됩니다. 이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은 확장 가능하고 개인적인 L2 솔루션을 위해 TEE의 속도와 ZK의 검증 가능성을 활용합니다.

일반적으로 TEE는 거의 네이티브 성능의 연산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격리된 상태에서 실제 CPU 명령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형 암호나 영지식 증명과 같은 순수 암호화 대안보다 복잡한 로직에 대해 수십 배 빠릅니다. 작업을 엔클레이브로 오프로드함으로써 블록체인은 온체인에서 비실용적이었을 더 복잡한 애플리케이션(기계 학습, 이미지/오디오 처리, 대규모 분석 등)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결과는 증명과 함께 반환되며, 온체인 계약이나 사용자는 이를 신뢰할 수 있는 엔클레이브에서 비롯된 것으로 확인하여 데이터 무결성과 정확성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이 모델은 종종 **"검증 가능한 오프체인 연산"**이라고 불리며, TEE는 인텔, 아이젝 등이 개발한 하이퍼레저 아발론의 신뢰 컴퓨팅 프레임워크와 같이 많은 설계의 초석이 됩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TEE를 사용하여 EVM 바이트코드를 오프체인에서 실행하고 정확성 증명을 온체인에 게시합니다.

보안 오라클 및 데이터 무결성

오라클은 블록체인을 실제 세계 데이터와 연결하지만, 신뢰 문제를 야기합니다. 스마트 계약이 오프체인 데이터 피드가 정확하고 조작되지 않았다고 어떻게 신뢰할 수 있을까요? TEE는 오라클 노드를 위한 안전한 샌드박스 역할을 하여 해결책을 제공합니다. TEE 기반 오라클 노드는 외부 소스(API, 웹 서비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노드 운영자나 노드의 악성 코드에 의해 데이터가 조작되지 않았음을 보장하는 엔클레이브 내에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엔클레이브는 제공하는 데이터의 진실성을 서명하거나 증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오라클 데이터 무결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오라클 운영자가 악의적이더라도, 그들은 블록체인이 감지할 엔클레이브의 증명을 깨뜨리지 않고는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주목할 만한 예는 코넬에서 개발된 오라클 시스템인 **타운 크라이어(Town Crier)**로, 인텔 SGX 엔클레이브를 사용하여 이더리움 계약에 인증된 데이터를 제공한 최초의 시스템 중 하나였습니다. 타운 크라이어는 SGX 엔클레이브 내에서 데이터(예: HTTPS 웹사이트에서)를 검색하고, 데이터가 소스에서 직접 왔으며 위조되지 않았다는 증거(엔클레이브 서명)와 함께 계약에 전달했습니다. 체인링크는 이 가치를 인식하고 2018년에 타운 크라이어를 인수하여 TEE 기반 오라클을 탈중앙화 네트워크에 통합했습니다. 오늘날 체인링크 및 기타 오라클 제공업체는 TEE 이니셔티브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체인링크의 DECO 및 _공정 시퀀싱 서비스(Fair Sequencing Services)_는 데이터 기밀성과 공정한 순서를 보장하기 위해 TEE를 포함합니다. 한 분석에서 언급했듯이, "TEE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변조 방지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오라클 보안을 혁신했습니다... 노드 운영자 자신조차도 데이터가 처리되는 동안 조작할 수 없습니다". 이는 고가치 금융 데이터 피드(DeFi용 가격 오라클 등)에 특히 중요합니다. TEE는 큰 익스플로잇으로 이어질 수 있는 미묘한 조작조차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TEE는 또한 오라클이 블록체인에 일반 텍스트로 게시할 수 없었던 민감하거나 독점적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오라클 네트워크는 엔클레이브를 사용하여 비공개 데이터(기밀 주식 주문서나 개인 건강 데이터 등)를 집계하고, 원시 민감한 입력을 노출하지 않고 파생된 결과나 검증된 증명만을 블록체인에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TEE는 스마트 계약에 안전하게 통합될 수 있는 데이터의 범위를 넓혀, _실물 자산(RWA) 토큰화, 신용 점수 평가, 보험 및 기타 데이터 집약적인 온체인 서비스_에 매우 중요합니다.

크로스체인 브리지에 관해서도 TEE는 유사하게 무결성을 향상시킵니다. 브리지는 종종 자산을 보관하고 체인 간 전송을 검증하기 위해 일련의 검증인이나 다중 서명에 의존하므로, 공격의 주요 대상이 됩니다. 브리지 검증인 로직을 TEE 내에서 실행함으로써, 브리지의 개인 키와 검증 프로세스를 조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검증인의 OS가 손상되더라도 공격자는 엔클레이브 내부에서 개인 키를 추출하거나 메시지를 위조할 수 없습니다. TEE는 브리지 트랜잭션이 프로토콜 규칙에 따라 정확하게 처리되도록 강제하여, 사람 운영자나 악성 코드가 사기성 전송을 주입할 위험을 줄입니다. 또한 TEE는 아토믹 스왑과 크로스체인 트랜잭션이 양쪽을 완료하거나 깨끗하게 중단하는 보안 엔클레이브에서 처리되도록 하여, 간섭으로 인해 자금이 묶이는 시나리오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여러 브리지 프로젝트와 컨소시엄은 최근 몇 년간 발생한 브리지 해킹의 재앙을 완화하기 위해 TEE 기반 보안을 탐색해 왔습니다.

데이터 무결성 및 오프체인 검증 가능성

위의 모든 시나리오에서 반복되는 주제는 TEE가 블록체인 외부에서도 _데이터 무결성_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TEE는 어떤 코드를 실행하고 있는지 증명할 수 있고(증명을 통해) 코드가 간섭 없이 실행되도록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일종의 검증 가능한 컴퓨팅을 제공합니다. 사용자와 스마트 계약은 증명이 확인되는 한, TEE에서 나오는 결과를 마치 온체인에서 계산된 것처럼 신뢰할 수 있습니다. 이 무결성 보증은 TEE가 때때로 오프체인 데이터 및 연산에 "신뢰 앵커"를 제공한다고 불리는 이유입니다.

그러나 이 신뢰 모델은 일부 가정을 하드웨어로 옮긴다는 점을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4 참조). 데이터 무결성은 TEE의 보안만큼만 강력합니다. 엔클레이브가 손상되거나 증명이 위조되면 무결성이 실패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TEE는 (최신 상태로 유지될 때) 특정 공격을 상당히 어렵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DeFi 대출 플랫폼은 TEE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로부터 오프체인에서 신용 점수를 계산할 수 있으며, 스마트 계약은 유효한 엔클레이브 증명이 동반될 경우에만 점수를 수락합니다. 이런 식으로 계약은 점수가 사용자나 오라클을 맹목적으로 신뢰하는 대신, 승인된 알고리즘에 의해 실제 데이터로 계산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TEE는 또한 신흥 탈중앙화 신원증명(DID) 및 인증 시스템에서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가 블록체인이나 dApp 제공업체에 노출되지 않도록 개인 키, 개인 데이터 및 인증 프로세스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의 TEE는 생체 인증을 처리하고 생체 확인이 통과되면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서명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과정에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공개하지 않습니다. 이는 신원 관리에서 보안과 개인정보보호를 모두 제공하며, Web3가 여권, 인증서 또는 KYC 데이터와 같은 것을 사용자 주권 방식으로 처리하려면 필수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요약하자면, TEE는 Web3에서 다재다능한 도구 역할을 합니다. 온체인 로직에 대한 기밀성을 가능하게 하고, 오프체인 보안 컴퓨팅을 통해 확장을 허용하며, 오라클과 브리지의 무결성을 보호하고, 새로운 용도(비공개 신원부터 규정 준수 데이터 공유까지)를 열어줍니다. 다음으로,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는 특정 프로젝트를 살펴보겠습니다.

3. TEE를 활용하는 주목할 만한 Web3 프로젝트

다수의 선도적인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신뢰 실행 환경을 중심으로 핵심 서비스를 구축했습니다. 아래에서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각 프로젝트가 TEE 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며 어떤 독특한 가치를 더하는지 검토합니다.

시크릿 네트워크 (Secret Network)

시크릿 네트워크는 TEE를 사용하여 개인정보 보호 스마트 계약을 개척한 레이어 1 블록체인(코스모스 SDK 기반)입니다. 시크릿 네트워크의 모든 검증인 노드는 인텔 SGX 엔클레이브를 실행하여 스마트 계약 코드를 실행하므로, 계약 상태와 입출력은 노드 운영자에게도 암호화된 상태로 유지됩니다. 이로써 시크릿은 최초의 개인정보 보호 우선 스마트 계약 플랫폼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는 선택적 부가 기능이 아니라 프로토콜 수준에서 네트워크의 기본 기능입니다.

시크릿 네트워크 모델에서 사용자는 암호화된 트랜잭션을 제출하고, 검증인은 이를 실행을 위해 SGX 엔클레이브에 로드합니다. 엔클레이브는 입력을 해독하고, 계약(수정된 CosmWasm 런타임으로 작성됨)을 실행하며, 블록체인에 기록될 암호화된 출력을 생성합니다. 올바른 보기 키를 가진 사용자(또는 내부 키를 가진 계약 자체)만이 실제 데이터를 해독하고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은 공개적으로 노출하지 않고 온체인에서 개인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네트워크는 여러 새로운 사용 사례를 보여주었습니다.

  • 시크릿 DeFi: 예를 들어, 시크릿스왑(SecretSwap, AMM)에서는 사용자의 계정 잔액과 트랜잭션 금액이 비공개이므로 선행 매매를 완화하고 거래 전략을 보호합니다. 유동성 공급자와 트레이더는 자신의 모든 움직임을 경쟁자에게 방송하지 않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 시크릿 경매: 입찰이 경매가 끝날 때까지 비밀로 유지되는 경매 계약으로, 다른 사람의 입찰에 기반한 전략적 행동을 방지합니다.
  • 비공개 투표 및 거버넌스: 토큰 보유자는 자신의 투표 선택을 공개하지 않고 제안에 투표할 수 있으며, 집계는 여전히 검증될 수 있어 공정하고 위협 없는 거버넌스를 보장합니다.
  • 데이터 마켓플레이스: 민감한 데이터 세트는 구매자나 노드에 원시 데이터를 노출하지 않고 거래되고 계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시크릿 네트워크는 본질적으로 프로토콜 수준에서 TEE를 통합하여 독특한 가치 제안을 만듭니다. 즉, _프로그래밍 가능한 개인정보보호_를 제공합니다. 그들이 해결하는 과제에는 탈중앙화된 검증인 집합 전반에 걸쳐 엔클레이브 증명을 조정하고, 계약이 검증인에게 비밀을 유지하면서 입력을 해독할 수 있도록 키 배포를 관리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모든 면에서 시크릿은 공개 블록체인에서 TEE 기반 기밀성의 실행 가능성을 입증했으며, 이 분야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오아시스 네트워크 (Oasis Network)

오아시스 네트워크는 확장성과 개인정보보호를 목표로 하는 또 다른 레이어 1으로, 아키텍처에서 TEE(인텔 SGX)를 광범위하게 활용합니다. 오아시스는 합의와 연산을 분리하여 컨센서스 레이어파라타임 레이어라는 다른 계층으로 나누는 혁신적인 설계를 도입했습니다. 컨센서스 레이어는 블록체인 순서 지정과 최종성을 처리하며, 각 파라타임은 스마트 계약을 위한 런타임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오아시스의 에메랄드 파라타임은 EVM 호환 환경이며, _사파이어_는 TEE를 사용하여 스마트 계약 상태를 비공개로 유지하는 기밀 EVM입니다.

오아시스의 TEE 사용은 대규모 기밀 연산에 중점을 둡니다. 무거운 연산을 병렬화 가능한 파라타임(많은 노드에서 실행 가능)으로 격리함으로써 높은 처리량을 달성하고, 해당 파라타임 노드 내에서 TEE를 사용하여 민감한 데이터를 노출하지 않고 연산에 포함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예를 들어, 기관은 기밀 파라타임에 개인 데이터를 공급하여 오아시스에서 신용 점수 평가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는 노드에 대해 암호화된 상태로 유지되며(엔클레이브에서 처리되므로), 점수만 나옵니다. 한편, 오아시스 컨센서스는 연산이 올바르게 발생했다는 증명만 기록합니다.

기술적으로 오아시스는 일반적인 SGX를 넘어 추가적인 보안 계층을 추가했습니다. 그들은 _"계층화된 신뢰 루트(layered root of trust)"_를 구현했습니다. 인텔의 SGX 쿼팅 엔클레이브와 맞춤형 경량 커널을 사용하여 하드웨어 신뢰성을 검증하고 엔클레이브의 시스템 호출을 샌드박싱합니다. 이는 공격 표면을 줄이고(엔클레이브가 할 수 있는 OS 호출을 필터링함으로써) 알려진 특정 SGX 공격으로부터 보호합니다. 오아시스는 또한 영구 엔클레이브(엔클레이브가 재시작 후에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및 보안 로깅과 같은 기능을 도입하여 롤백 공격(노드가 이전 엔클레이브 상태를 재생하려는 시도)을 완화했습니다. 이러한 혁신은 그들의 기술 논문에 설명되어 있으며, 오아시스가 TEE 기반 블록체인 컴퓨팅에서 연구 중심 프로젝트로 여겨지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생태계 관점에서 오아시스는 프라이빗 DeFi(은행이 고객 데이터를 유출하지 않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함) 및 데이터 토큰화(개인이나 회사가 기밀 방식으로 AI 모델에 데이터를 공유하고 보상받을 수 있도록 함, 이 모든 것이 블록체인을 통해 이루어짐)와 같은 분야에 자리매김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기업들과 파일럿 프로젝트를 협력했습니다(예: BMW와 데이터 개인정보보호 관련 작업, 다른 기업들과 의료 연구 데이터 공유). 전반적으로 오아시스 네트워크는 TEE를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와 결합하여 개인정보보호 성능을 모두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TEE 기반 Web3 솔루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샌더스 네트워크 (Sanders Network)

샌더스 네트워크는 폴카닷 생태계의 탈중앙화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로, TEE를 사용하여 기밀 및 고성능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폴카닷의 파라체인으로서 폴카닷의 보안과 상호운용성의 이점을 누리지만, 보안 엔클레이브에서의 오프체인 연산을 위한 자체적인 새로운 런타임을 도입합니다.

샌더스의 핵심 아이디어는 TEE(특히 현재까지는 인텔 SGX) 내에서 작업을 실행하고 검증 가능한 결과를 생성하는 대규모 워커 노드 네트워크( 샌더스 마이너라고 함)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작업은 스마트 계약의 일부를 실행하는 것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일반적인 연산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워커가 SGX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샌더스는 연산이 기밀성(입력 데이터가 워커 운영자에게 숨겨짐)과 무결성(결과에 증명이 첨부됨)을 가지고 수행됨을 보장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호스트가 자신의 작업을 들여다보거나 조작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워크로드를 배포할 수 있는 _신뢰 없는 클라우드_를 효과적으로 만듭니다.

샌더스는 아마존 EC2나 AWS 람다와 유사하지만 탈중앙화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는 샌더스 네트워크에 코드를 배포하고 전 세계의 많은 SGX 지원 기계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서비스에 대해 샌더스 토큰으로 지불합니다. 강조된 사용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Web3 분석 및 AI: 프로젝트는 샌더스 엔클레이브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AI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원시 사용자 데이터는 암호화된 상태로 유지(개인정보보호)하고 집계된 통찰력만 엔클레이브를 떠나도록 할 수 있습니다.
  • 게임 백엔드 및 메타버스: 샌더스는 집약적인 게임 로직이나 가상 세계 시뮬레이션을 오프체인에서 처리하고, 커밋이나 해시만 블록체인에 전송하여 단일 서버에 대한 신뢰 없이 더 풍부한 게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 온체인 서비스: 샌더스는 샌더스 클라우드라는 오프체인 연산 플랫폼을 구축했습니다. 예를 들어, 봇, 탈중앙화 웹 서비스 또는 TEE 증명과 함께 DEX 스마트 계약에 거래를 게시하는 오프체인 오더북의 백엔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샌더스는 기밀 컴퓨팅을 수평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더 많은 용량이 필요하면 더 많은 TEE 워커 노드를 추가하면 됩니다. 이는 컴퓨팅 용량이 컨센서스에 의해 제한되는 단일 블록체인과 다릅니다. 따라서 샌더스는 여전히 신뢰 없는 보안을 원하는 계산 집약적인 dApp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중요한 것은 샌더스가 순전히 하드웨어 신뢰에만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폴카닷의 컨센서스(예: 잘못된 결과에 대한 스테이킹 및 슬래싱)와 통합하고 있으며, TEE와 영지식 증명을 결합하는 것도 탐색하고 있습니다(언급했듯이, 곧 출시될 L2는 TEE를 사용하여 실행 속도를 높이고 ZKP를 사용하여 이더리움에서 간결하게 검증합니다). 이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은 암호화 검증을 추가하여 단일 TEE 손상의 위험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요약하자면, 샌더스 네트워크는 TEE를 활용하여 Web3를 위한 탈중앙화된 기밀 클라우드를 제공하여 보안 보증과 함께 오프체인 연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무거운 컴퓨팅과 데이터 개인정보보호가 모두 필요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클래스를 열어주며, 온체인과 오프체인 세계 사이의 격차를 해소합니다.

아이젝 (iExec)

아이젝은 이더리움 위에 구축된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를 위한 탈중앙화 마켓플레이스입니다. 이전 세 프로젝트(자체 체인 또는 파라체인)와 달리, 아이젝은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과 협력하는 레이어 2 또는 오프체인 네트워크로 운영됩니다. TEE(특히 인텔 SGX)는 오프체인 연산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아이젝 접근 방식의 초석입니다.

아이젝 네트워크는 다양한 제공업체가 기여한 워커 노드로 구성됩니다. 이 워커들은 사용자(dApp 개발자, 데이터 제공자 등)가 요청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프체인 연산이 신뢰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아이젝은 "신뢰 오프체인 컴퓨팅(Trusted off-chain Computing)" 프레임워크를 도입했습니다. 작업은 SGX 엔클레이브 내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결과에는 작업이 보안 노드에서 올바르게 실행되었음을 증명하는 엔클레이브 서명이 첨부됩니다. 아이젝은 인텔과 협력하여 이 신뢰 컴퓨팅 기능을 출시했으며, 표준을 발전시키기 위해 기밀 컴퓨팅 컨소시엄(Confidential Computing Consortium)에도 가입했습니다. 그들의 컨센서스 프로토콜인 **기여 증명(Proof-of-Contribution, PoCo)**은 올바른 결과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할 때 여러 워커의 투표/증명을 집계합니다. 많은 경우, 코드가 결정적이고 SGX에 대한 신뢰가 높으면 단일 엔클레이브의 증명으로 충분할 수 있습니다. 더 높은 보증을 위해 아이젝은 여러 TEE에 걸쳐 작업을 복제하고 컨센서스 또는 다수결 투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젝의 플랫폼은 몇 가지 흥미로운 사용 사례를 가능하게 합니다.

  • 탈중앙화 오라클 컴퓨팅: 앞서 언급했듯이 아이젝은 체인링크와 협력할 수 있습니다. 체인링크 노드는 원시 데이터를 가져온 다음, 아이젝 SGX 워커에게 해당 데이터에 대한 연산(예: 독점 알고리즘 또는 AI 추론)을 수행하도록 넘겨주고, 마지막으로 온체인에 결과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오라클이 단순히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계산된 서비스(AI 모델 호출 또는 여러 소스 집계 등)를 TEE가 정직성을 보장하며 제공할 수 있도록 확장합니다.
  • AI 및 DePIN (탈중앙화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 아이젝은 탈중앙화 AI 앱을 위한 신뢰 계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계 학습 모델을 사용하는 dApp은 모델(독점인 경우)과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모두 보호하기 위해 엔클레이브에서 모델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DePIN(분산 IoT 네트워크 등)의 맥락에서 TEE는 엣지 장치에서 센서 판독값과 해당 판독값에 대한 연산을 신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보안 데이터 수익화: 데이터 제공자는 아이젝의 마켓플레이스에서 자신의 데이터 세트를 암호화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구매자는 TEE 내에서 데이터에 대해 알고리즘을 실행하도록 보낼 수 있습니다(따라서 데이터 제공자의 원시 데이터는 절대 공개되지 않아 IP를 보호하고, 알고리즘의 세부 정보도 숨길 수 있음). 연산 결과는 구매자에게 반환되고, 데이터 제공자에 대한 적절한 지불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처리됩니다. 종종 _보안 데이터 교환_이라고 불리는 이 방식은 TEE의 기밀성에 의해 촉진됩니다.

전반적으로 아이젝은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과 보안 오프체인 실행 사이의 접착제 역할을 합니다. 이는 TEE "워커"가 네트워크화되어 탈중앙화 클라우드를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마켓플레이스(지불을 위해 아이젝의 RLC 토큰 사용)와 컨센서스 메커니즘을 완비합니다. 기업 이더리움 연합의 신뢰 컴퓨팅 워킹 그룹을 이끌고 표준(하이퍼레저 아발론 등)에 기여함으로써 아이젝은 기업 블록체인 시나리오에서 TEE의 광범위한 채택을 주도합니다.

기타 프로젝트 및 생태계

위의 네 가지 외에도 주목할 만한 몇 가지 다른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 인티그리티(Integritee) – 샌더스와 유사한 또 다른 폴카닷 파라체인(실제로 에너지 웹 재단의 TEE 작업에서 파생됨). 인티그리티는 TEE를 사용하여 기업을 위한 "서비스형 파라체인"을 만들고, 온체인 및 오프체인 엔클레이브 처리를 결합합니다.
  • 오토마타 네트워크(Automata Network) – TEE를 활용하여 비공개 트랜잭션, 익명 투표 및 MEV 방지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Web3 개인정보보호 미들웨어 프로토콜. 오토마타는 비공개 RPC 릴레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프체인 네트워크로 실행되며, 보호된 신원 및 가스 없는 비공개 트랜잭션과 같은 것에 TEE를 사용하는 것으로 언급되었습니다.
  • 하이퍼레저 소투스(PoET) – 기업 영역에서 소투스는 경과 시간 증명(Proof of Elapsed Time)이라는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도입했는데, 이는 SGX에 의존했습니다. 각 검증인은 임의의 시간을 기다리고 증명을 생성하는 엔클레이브를 실행합니다. 가장 짧은 대기 시간을 가진 검증인이 블록을 "획득"하며, 이는 SGX에 의해 강제되는 공정한 복권입니다. 소투스는 Web3 프로젝트는 아니지만(기업 블록체인에 더 가까움), 컨센서스를 위한 TEE의 창의적인 사용입니다.
  • 기업/컨소시엄 체인 – 많은 기업 블록체인 솔루션(예: 컨센시스 쿼럼, IBM 블록체인)은 특정 데이터는 승인된 노드만 볼 수 있는 기밀 컨소시엄 트랜잭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TEE를 통합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 이더리움 연합의 신뢰 컴퓨팅 프레임워크(TCF) 청사진은 TEE를 사용하여 비공개 계약을 오프체인에서 실행하고 머클 증명을 온체인에 전달합니다.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TEE의 다재다능함을 집합적으로 보여줍니다. 전체 개인정보보호 중심 L1을 구동하고, 오프체인 네트워크 역할을 하며, 오라클 및 브리지와 같은 인프라 조각을 보호하고, 심지어 컨센서스 알고리즘의 기반이 되기도 합니다. 다음으로, 탈중앙화 환경에서 TEE를 사용하는 것의 광범위한 이점과 과제를 고려해 보겠습니다.

4. 탈중앙화 환경에서의 TEE의 이점과 과제

블록체인 시스템에 신뢰 실행 환경을 채택하는 것은 상당한 기술적 이점뿐만 아니라 주목할 만한 과제와 트레이드오프를 동반합니다. 우리는 양쪽 측면을 검토할 것입니다. TEE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에 무엇을 제공하는지, 그리고 그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나 위험은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이점과 기술적 강점

  • 강력한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가장 중요한 이점은 기밀성과 무결성 보장입니다. TEE는 민감한 코드가 외부 악성 코드에 의해 염탐되거나 변경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실행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이전에는 사용할 수 없었던 오프체인 연산에 대한 신뢰 수준을 제공합니다. 블록체인의 경우, 이는 개인 데이터를 활용하여(dApp의 기능 향상) 보안을 희생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신뢰할 수 없는 환경(클라우드 서버, 제3자가 운영하는 검증인 노드)에서도 TEE는 비밀을 안전하게 유지합니다. 이는 암호화 시스템 내에서 개인 키, 사용자 데이터 및 독점 알고리즘을 관리하는 데 특히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지갑이나 클라우드 서명 서비스는 TEE를 사용하여 내부적으로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서명하여 개인 키가 일반 텍스트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편의성과 보안을 결합할 수 있습니다.

  • 네이티브에 가까운 성능: 순수 암호화 방식의 보안 연산(ZK 증명이나 동형 암호 등)과 달리 TEE 오버헤드는 상대적으로 작습니다. 코드는 CPU에서 직접 실행되므로 엔클레이브 내부의 연산은 외부에서 실행하는 것과 거의 같은 속도입니다(엔클레이브 전환 및 메모리 암호화에 대한 약간의 오버헤드, SGX에서는 일반적으로 한 자릿수 퍼센트의 속도 저하). 이는 TEE가 계산 집약적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암호화 프로토콜로 수행했다면 수십 배 느렸을 사용 사례(실시간 데이터 피드, 복잡한 스마트 계약, 기계 학습 등)를 가능하게 합니다. 엔클레이브의 낮은 지연 시간은 빠른 응답이 필요한 경우(예: TEE로 보호되는 고빈도 거래 봇 또는 높은 지연으로 사용자 경험이 저하될 수 있는 대화형 애플리케이션 및 게임)에 적합합니다.

  • 확장성 향상 (오프로드를 통해): 무거운 연산을 오프체인에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TEE는 메인 체인의 혼잡과 가스 비용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블록체인은 검증이나 최종 결제에만 사용되고 대부분의 연산은 병렬 엔클레이브에서 발생하는 레이어 2 설계 및 사이드 프로토콜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모듈화(TEE의 계산 집약적 로직, 체인의 컨센서스)는 탈중앙화 앱의 처리량과 확장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EX는 오프체인 TEE에서 매칭을 수행하고 매칭된 거래만 온체인에 게시하여 처리량을 늘리고 온체인 가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더 나은 사용자 경험 및 기능: TEE를 사용하면 dApp은 기밀성이나 복잡한 분석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더 많은 사용자(기관 포함)를 유치할 수 있습니다. TEE는 또한 오토마타가 비공개 트랜잭션의 가스를 줄이기 위해 TEE를 사용하는 것에서 언급했듯이, 오프체인에서 안전하게 실행한 다음 결과를 제출함으로써 가스 없는 또는 메타 트랜잭션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민감한 상태를 오프체인 엔클레이브에 저장하면 온체인에 게시되는 데이터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 개인정보보호와 네트워크 효율성(저장/검증할 온체인 데이터 감소)에 좋습니다.

  • 다른 기술과의 컴포저빌리티: 흥미롭게도 TEE는 다른 기술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TEE 자체에 내재된 이점은 아니지만 조합에서). 하이브리드 솔루션을 하나로 묶는 접착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엔클레이브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실행에 대한 ZK 증명을 생성하여, 엔클레이브가 증명 과정의 일부를 도와 속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또는 MPC 네트워크에서 TEE를 사용하여 특정 작업을 더 적은 통신 라운드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5에서 비교를 논의하겠지만, 많은 프로젝트는 TEE가 암호화를 _대체_할 필요가 없으며,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함께 작동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샌더스의 만트라: "TEE의 강점은 다른 것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지원하는 데 있다").

신뢰 가정 및 보안 취약점

강점에도 불구하고 TEE는 특정 신뢰 가정을 도입하며 무적이 아닙니다. 이러한 과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하드웨어 신뢰 및 중앙 집중화: TEE를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본질적으로 실리콘 공급업체와 그들의 하드웨어 설계 및 공급망의 보안에 신뢰를 둡니다. 예를 들어, 인텔 SGX를 사용한다는 것은 인텔에 백도어가 없고, 제조가 안전하며, CPU의 마이크로코드가 엔클레이브 격리를 올바르게 구현한다고 신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순수 암호화(모든 사용자에게 분산된 수학적 가정에 의존)에 비해 더 중앙 집중화된 신뢰 모델입니다. 더욱이, SGX에 대한 증명은 역사적으로 인텔의 증명 서비스에 연락하는 것에 의존해 왔습니다. 즉, 인텔이 오프라인이 되거나 키를 취소하기로 결정하면 전 세계의 엔클레이브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일 회사의 인프라에 대한 이러한 의존성은 우려를 낳습니다. 이는 단일 장애점이 될 수도 있고, 정부 규제의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예: 미국 수출 통제는 이론적으로 강력한 TEE 사용자를 제한할 수 있음). AMD SEV는 더 탈중앙화된 증명을 허용함으로써 이를 완화하지만(VM 소유자가 자신의 VM을 증명할 수 있음), 여전히 AMD의 칩과 펌웨어를 신뢰해야 합니다. 중앙 집중화 위험은 종종 블록체인의 탈중앙화와 다소 상반되는 것으로 인용됩니다. 키스톤(오픈 소스 TEE)과 같은 프로젝트들은 독점적인 블랙박스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 주류는 아닙니다.

  • 사이드 채널 및 기타 취약점: TEE는 만병통치약이 아닙니다. 간접적인 수단을 통해 공격받을 수 있습니다. 사이드 채널 공격은 직접적인 메모리 접근이 차단되더라도 엔클레이브의 작동이 시스템에 미묘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합니다(타이밍, 캐시 사용, 전력 소비, 전자기 방출 등을 통해). 지난 몇 년 동안 인텔 SGX에 대한 수많은 학술적 공격이 시연되었습니다. Foreshadow(L1 캐시 타이밍 유출을 통해 엔클레이브 비밀 추출)부터 Plundervolt(권한 있는 명령어를 통한 전압 결함 주입), SGAxe(증명 키 추출)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이러한 정교한 공격은 TEE가 암호화 보호를 깨뜨릴 필요 없이, 미세 아키텍처 동작이나 구현의 결함을 이용하여 손상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결과적으로, _"연구자들은 하드웨어 취약점이나 TEE 작동의 타이밍 차이를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잠재적 공격 벡터를 확인했다"_고 인정됩니다. 이러한 공격은 사소하지 않고 종종 로컬 접근이나 악의적인 하드웨어가 필요하지만, 실제 위협입니다. TEE는 또한 일반적으로 적이 칩을 손에 넣었을 때 물리적 공격으로부터 보호하지 못합니다(예: 칩 디캡핑, 버스 프로빙 등은 대부분의 상용 TEE를 무력화할 수 있음).

    사이드 채널 발견에 대한 공급업체의 대응은 알려진 유출을 완화하기 위한 마이크로코드 패치와 엔클레이브 SDK 업데이트였습니다(때로는 성능 저하를 감수). 그러나 이는 여전히 쫓고 쫓기는 게임입니다. Web3의 경우, 이는 누군가 SGX에서 새로운 사이드 채널을 발견하면, SGX에서 실행되는 "안전한" DeFi 계약이 잠재적으로 악용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예: 비밀 데이터 유출 또는 실행 조작). 따라서 TEE에 의존한다는 것은 하드웨어 수준에서 일반적인 블록체인 위협 모델 외부에 있는 잠재적 취약점 표면을 수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위협에 대해 TEE를 강화하는 것은 활발한 연구 분야입니다(예: 상수 시간 연산으로 엔클레이브 코드 설계, 비밀에 의존하는 메모리 접근 패턴 피하기, 망각 RAM과 같은 기술 사용). 일부 프로젝트는 또한 TEE를 보조적인 검사로 보강합니다. 예를 들어, ZK 증명과 결합하거나, 단일 칩 위험을 줄이기 위해 다른 하드웨어 공급업체의 여러 엔클레이브에서 실행하는 것입니다.

  • 성능 및 리소스 제약: TEE는 CPU 집약적인 작업에 대해 거의 네이티브 속도로 실행되지만, 몇 가지 오버헤드와 제한이 따릅니다. 엔클레이브로 들어가는 것(ECALL)과 나오는 것(OCALL)에는 비용이 들며, 메모리 페이지의 암호화/해독에도 비용이 듭니다. 이는 매우 빈번한 엔클레이브 경계 교차에 대한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엔클레이브는 종종 메모리 크기 제한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초기 SGX는 제한된 엔클레이브 페이지 캐시를 가지고 있었고, 엔클레이브가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면 페이지를 스왑해야 했으며(암호화 포함), 이는 성능을 크게 저하시켰습니다. 최신 TEE조차도 종종 모든 시스템 RAM을 쉽게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한될 수 있는 보안 메모리 영역이 있습니다. 이는 매우 대규모의 연산이나 데이터 세트를 TEE 내에서 완전히 처리하기 어려울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Web3 맥락에서 이는 엔클레이브에서 실행될 수 있는 스마트 계약이나 ML 모델의 복잡성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는 메모리를 최적화하고 작업을 분할해야 할 수 있습니다.

  • 증명 및 키 관리의 복잡성: 탈중앙화 환경에서 TEE를 사용하려면 강력한 증명 워크플로가 필요합니다. 각 노드는 다른 노드에게 예상 코드를 가진 진정한 엔클레이브를 실행하고 있음을 증명해야 합니다. 이 증명 검증을 온체인에서 설정하는 것은 복잡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공급업체의 공개 증명 키나 인증서를 프로토콜에 하드코딩하고 스마트 계약이나 오프체인 클라이언트에 검증 로직을 작성해야 합니다. 이는 프로토콜 설계에 오버헤드를 초래하며, 변경 사항(인텔이 증명 서명 키 형식을 EPID에서 DCAP로 변경하는 등)은 유지 관리 부담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또한, TEE 내에서 키를 관리하는 것(데이터 해독 또는 결과 서명용)은 또 다른 복잡성 계층을 추가합니다. 엔클레이브 키 관리의 실수는 보안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예: 엔클레이브가 버그를 통해 실수로 해독 키를 노출하면 모든 기밀성 약속이 무너짐). 모범 사례는 TEE의 봉인 API를 사용하여 키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키를 교체하는 것이지만, 이 또한 개발자의 신중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 서비스 거부 및 가용성: 아마도 덜 논의된 문제일 수 있지만, TEE는 가용성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새로운 DoS 경로를 도입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격자는 처리 비용이 많이 드는 입력으로 TEE 기반 서비스를 범람시킬 수 있으며, 엔클레이브가 운영자에 의해 쉽게 검사되거나 중단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격리되어 있기 때문). 또한, 취약점이 발견되고 패치에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그 주기 동안 많은 엔클레이브 서비스가 (보안을 위해) 노드가 패치될 때까지 일시 중지해야 할 수 있으며, 이는 다운타임을 유발합니다. 블록체인 컨센서스에서, 중요한 SGX 버그가 발견되었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시크릿과 같은 네트워크는 수정이 있을 때까지 중단해야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엔클레이브에 대한 신뢰가 깨졌기 때문입니다. 탈중앙화 네트워크에서 이러한 대응을 조정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컴포저빌리티 및 생태계 제한

  • 다른 계약과의 제한된 컴포저빌리티: 이더리움과 같은 공개 스마트 계약 플랫폼에서는 계약이 다른 계약을 쉽게 호출할 수 있고 모든 상태가 공개되어 있어 DeFi 머니 레고와 풍부한 구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TEE 기반 계약 모델에서는 비공개 상태는 기밀성을 깨뜨리지 않고 자유롭게 공유하거나 구성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엔클레이브의 계약 A가 계약 B와 상호 작용해야 하고 둘 다 일부 비밀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면, 어떻게 협력할 수 있을까요? 복잡한 다자간 보안 프로토콜을 수행해야 하거나(이는 TEE의 단순성 일부를 상쇄함), 하나의 엔클레이브로 결합해야 합니다(모듈성 감소). 이는 시크릿 네트워크와 다른 프로젝트들이 직면한 과제입니다. 개인정보보호를 포함한 계약 간 호출은 사소하지 않습니다. 일부 솔루션은 단일 엔클레이브가 여러 계약의 실행을 처리하여 내부적으로 공유 비밀을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는 시스템을 더 단일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공개 계약의 컴포저빌리티는 공개 계약보다 더 제한적이거나 새로운 설계 패턴이 필요합니다. 마찬가지로, TEE 기반 모듈을 기존 블록체인 dApp에 통합하려면 신중한 인터페이스 설계가 필요합니다. 종종 엔클레이브의 결과만 온체인에 게시되며, 이는 스나크나 해시일 수 있고, 다른 계약은 그 제한된 정보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확실히 트레이드오프입니다. 시크릿과 같은 프로젝트는 보기 키와 필요에 따라 비밀을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지만, 일반적인 온체인 컴포저빌리티만큼 원활하지는 않습니다.

  • 표준화 및 상호운용성: TEE 생태계는 현재 공급업체 간에 통일된 표준이 부족합니다. 인텔 SGX, AMD SEV, ARM TrustZone은 모두 다른 프로그래밍 모델과 증명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파편화는 SGX 엔클레이브용으로 작성된 dApp이 TrustZone 등으로 쉽게 이식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블록체인에서 이는 프로젝트를 특정 하드웨어에 묶을 수 있습니다(예: 시크릿과 오아시스는 현재 SGX가 있는 x86 서버에 묶여 있음). 나중에 ARM 노드(예: 모바일의 검증인)를 지원하려면 추가 개발과 아마도 다른 증명 검증 로직이 필요할 것입니다. 증명 및 엔클레이브 API를 표준화하려는 노력(CCC – 기밀 컴퓨팅 컨소시엄 등)이 있지만, 아직 완전히 이루어지지는 않았습니다. 표준의 부재는 개발자 도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SGX SDK는 성숙하지만 다른 TEE에 다른 SDK로 적응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 상호운용성 과제는 채택을 늦추고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개발자 학습 곡선: TEE 내부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려면 많은 블록체인 개발자가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는 전문 지식이 필요합니다. 저수준 C/C++ 프로그래밍(SGX/TrustZone용)이나 메모리 안전성 및 사이드 채널 방지 코딩에 대한 이해가 종종 필요합니다. 엔클레이브 코드 디버깅은 악명 높게 까다롭습니다(보안상의 이유로 실행 중인 엔클레이브 내부를 쉽게 볼 수 없음!). 프레임워크와 고급 언어(오아시스가 기밀 런타임에 Rust를 사용하는 것 또는 엔클레이브에서 WebAssembly를 실행하는 도구 등)가 존재하지만, 개발자 경험은 여전히 일반적인 스마트 계약 개발이나 오프체인 웹2 개발보다 거칩니다. 이 가파른 학습 곡선과 미성숙한 도구는 개발자를 단념시키거나 신중하게 처리하지 않으면 실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할 하드웨어가 필요하다는 측면도 있습니다. SGX 코드를 실행하려면 SGX 지원 CPU나 에뮬레이터(더 느림)가 필요하므로 진입 장벽이 더 높습니다. 결과적으로, 오늘날 상대적으로 적은 개발자만이 엔클레이브 개발에 깊이 익숙하며, 감사 및 커뮤니티 지원은 잘 알려진 솔리디티 커뮤니티보다 드뭅니다.

  • 운영 비용: TEE 기반 인프라를 운영하는 것은 더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자체가 더 비싸거나 희소할 수 있습니다(예: 특정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SGX 지원 VM에 프리미엄을 부과함). 운영에도 오버헤드가 있습니다. 펌웨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보안 패치용), 증명 네트워킹을 관리하는 등, 소규모 프로젝트에는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모든 노드가 특정 CPU를 가져야 한다면, 잠재적인 검증인 풀을 줄일 수 있으며(모든 사람이 필요한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지는 않음), 따라서 탈중앙화에 영향을 미치고 클라우드 호스팅 사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TEE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신뢰 트레이드오프(하드웨어 신뢰 대 수학 신뢰), 잠재적인 보안 약점(특히 사이드 채널), 그리고 탈중앙화 맥락에서의 통합 장애물을 가져옵니다. TEE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는 이러한 문제를 신중하게 설계해야 합니다. 심층 방어(TEE가 깨지지 않는다고 가정하지 않음), 신뢰 컴퓨팅 기반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에게 신뢰 가정을 투명하게 공개하여(예를 들어, 블록체인 컨센서스 외에 인텔의 하드웨어를 신뢰한다는 것이 명확하도록) 해야 합니다.

5. TEE 대 다른 개인정보 보호 기술 (ZKP, FHE, MPC)

신뢰 실행 환경은 Web3에서 개인정보보호와 보안을 달성하기 위한 한 가지 접근 방식이지만, 영지식 증명(ZKP), 완전 동형 암호(FHE), **다자간 보안 컴퓨팅(MPC)**을 포함한 다른 주요 기술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각 기술은 다른 신뢰 모델과 성능 프로필을 가지고 있습니다. 많은 경우, 이들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서로를 보완할 수 있지만, 성능, 신뢰, 개발자 사용성에서의 트레이드오프를 비교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대안을 간략하게 정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ZKP: 한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에게 진술이 사실임을(예: "나는 이 계산을 만족시키는 비밀을 알고 있다") 그 이유를 밝히지 않고(비밀 입력을 숨김) 증명할 수 있게 하는 암호화 증명(zk-SNARK, zk-STARK 등). 블록체인에서 ZKP는 비공개 트랜잭션(예: Zcash, Aztec)과 확장성(올바른 실행의 증명을 게시하는 롤업)에 사용됩니다. 강력한 개인정보보호(비밀 데이터는 유출되지 않고 증명만)와 수학으로 보장되는 무결성을 보장하지만, 이러한 증명을 생성하는 것은 계산적으로 무거울 수 있으며 회로는 신중하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 FHE: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해 임의의 연산을 허용하는 암호화 방식으로, 결과를 해독하면 일반 텍스트에 대한 연산 결과와 일치합니다. 이론적으로 FHE는 궁극적인 개인정보보호를 제공합니다. 데이터는 항상 암호화된 상태로 유지되며, 원시 데이터를 누구에게도 신뢰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FHE는 일반적인 연산에 대해 매우 느리며(연구를 통해 개선되고 있지만), 성능 때문에 여전히 대부분 실험적이거나 특수화된 용도로 사용됩니다.
  • MPC: 여러 당사자가 서로에게 자신의 개인 입력을 공개하지 않고 공동으로 함수를 계산하는 프로토콜. 종종 당사자들 사이에 데이터를 비밀 공유하고 암호화 연산을 수행하여 출력은 정확하지만 개별 입력은 숨겨진 상태로 유지됩니다. MPC는 신뢰를 분산시킬 수 있고(단일 지점이 모든 데이터를 보지 않음) 특정 연산에 효율적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통신 및 조정 오버헤드가 발생하며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구현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차이점을 요약한 비교표입니다.

기술신뢰 모델성능데이터 개인정보보호개발자 사용성
TEE (인텔 SGX 등)하드웨어 제조업체에 대한 신뢰 (경우에 따라 중앙 집중식 증명 서버). 칩이 안전하다고 가정하며, 하드웨어가 손상되면 보안이 깨짐.네이티브에 가까운 실행 속도, 최소한의 오버헤드. 실시간 연산 및 대규모 워크로드에 적합. TEE 지원 노드의 가용성에 따라 확장성 제한.데이터는 엔클레이브 _내부_에서는 일반 텍스트이지만 외부 세계에는 암호화됨. 하드웨어가 유지되면 강력한 기밀성, 그러나 엔클레이브가 침해되면 비밀이 노출됨 (추가적인 수학적 보호 없음).중간 정도의 복잡성. 기존 코드/언어(C, Rust)를 재사용하고 약간의 수정으로 엔클레이브에서 실행할 수 있음. 이들 중 진입 장벽이 가장 낮음 – 고급 암호학을 배울 필요 없음 – 그러나 시스템 프로그래밍 및 TEE 관련 SDK 지식이 필요함.
ZKP (zk-SNARK/STARK)수학적 가정(예: 암호화 문제의 어려움)에 대한 신뢰 및 때로는 신뢰 설정(SNARK의 경우). 런타임에 단일 당사자에 대한 의존성 없음.증명 생성은 계산적으로 무거움(특히 복잡한 프로그램의 경우), 종종 네이티브보다 수십 배 느림. 온체인 검증은 빠름(수 ms). 증명 시간 때문에 대규모 데이터 연산에는 이상적이지 않음. 확장성: 간결한 검증(롤업)에 좋지만 증명자가 병목 현상.매우 강력한 개인정보보호 – 개인 입력을 전혀 공개하지 않고 정확성을 증명할 수 있음. 최소한의 정보(증명 크기 등)만 유출됨. 금융 개인정보보호 등에 이상적.높은 복잡성. 특수 언어(회로, Circom 또는 Noir와 같은 zkDSL)를 배우고 산술 회로 관점에서 생각해야 함. 디버깅이 어려움. 전문가가 적음.
FHE수학(격자 문제)에 대한 신뢰. 신뢰할 수 있는 당사자 없음. 암호화가 깨지지 않는 한 보안 유지.일반적인 사용에는 매우 느림.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한 연산은 일반 텍스트보다 수십 배 느림. 하드웨어 개선 및 더 나은 알고리즘으로 다소 확장되고 있지만, 현재 블록체인 맥락에서 실시간 사용에는 비실용적.궁극적인 개인정보보호 – 데이터는 연산 중에도 항상 암호화된 상태로 유지됨. 성능이 허용된다면 민감한 데이터(예: 의료, 기관 간 분석)에 이상적.매우 전문적. 개발자는 암호학 배경이 필요함. 일부 라이브러리(Microsoft SEAL, TFHE 등)가 있지만, FHE에서 임의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은 어렵고 우회적임. 아직 dApp의 일상적인 개발 대상이 아님.
  • MPC | 여러 당사자에게 분산된 신뢰. 일정 수 이상의 당사자가 정직하다고 가정(특정 수 이상의 공모 없음). 하드웨어 신뢰 필요 없음. 너무 많은 당사자가 공모하면 신뢰 실패. | 통신 라운드 때문에 일반적으로 네이티브보다 느리지만, 종종 FHE보다 빠름. 성능은 다양함: 간단한 연산(더하기, 곱하기)은 효율적일 수 있음. 복잡한 로직은 통신 비용이 폭발할 수 있음. 지연 시간은 네트워크 속도에 민감함. 샤딩이나 부분 신뢰 가정으로 확장성 향상 가능. | 가정이 유지되면 강력한 개인정보보호 – 단일 노드가 전체 입력을 보지 않음. 그러나 출력이나 당사자가 이탈할 때 일부 정보가 유출될 수 있음 (또한 ZK의 간결성이 부족함 – 결과를 얻지만 프로토콜을 다시 실행하지 않고는 쉽게 공유할 수 있는 증명이 없음). | 높은 복잡성. 각 사용 사례에 대한 맞춤형 프로토콜을 설계하거나 프레임워크(SPDZ 또는 Partisia의 제공 등)를 사용해야 함. 개발자는 암호화 프로토콜에 대해 추론해야 하며 종종 여러 노드의 배포를 조정해야 함. 블록체인 앱에 통합하는 것은 복잡할 수 있음 (오프체인 라운드 필요). |

인용: 위의 비교는 샌더스 네트워크의 분석 및 기타 출처에서 가져온 것으로, TEE는 속도와 사용 편의성에서 뛰어나고, ZK와 FHE는 무거운 연산을 대가로 최대한의 신뢰 없음을 목표로 하며, MPC는 신뢰를 분산시키지만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도입한다고 강조합니다.

표에서 몇 가지 주요 트레이드오프가 명확해집니다.

  • 성능: TEE는 원시 속도와 낮은 지연 시간에서 큰 이점을 가집니다. MPC는 종종 약간의 속도 저하로 중간 정도의 복잡성을 처리할 수 있고, ZK는 생성은 느리지만 검증은 빠르며(비동기 사용), FHE는 현재 임의의 작업에 대해 가장 느립니다(간단한 덧셈/곱셈과 같은 제한된 연산에는 괜찮음). 애플리케이션이 실시간 복잡한 처리(대화형 애플리케이션, 고빈도 결정 등)를 필요로 한다면, TEE나 좋은 연결을 가진 소수의 당사자가 있는 MPC가 현재 유일하게 실행 가능한 옵션입니다. ZK와 FHE는 그러한 시나리오에서 너무 느릴 것입니다.

  • 신뢰 모델: ZKP와 FHE는 순수하게 신뢰가 필요 없습니다(수학만 신뢰). MPC는 신뢰를 참가자 정직성에 대한 가정으로 옮깁니다(많은 당사자나 경제적 인센티브로 강화될 수 있음). TEE는 하드웨어와 공급업체에 신뢰를 둡니다. 이는 근본적인 차이입니다. TEE는 일반적으로 신뢰가 없는 블록체인 세계에 신뢰할 수 있는 제3자(칩)를 도입합니다. 반면, ZK와 FHE는 탈중앙화 정신과 더 잘 부합한다고 종종 칭찬받습니다. 신뢰할 특별한 개체가 없고, 계산적 어려움만 있습니다. MPC는 그 중간에 있습니다. 신뢰는 탈중앙화되지만 제거되지는 않습니다(M개 노드 중 N개가 공모하면 개인정보보호가 깨짐). 따라서 최대한의 신뢰 없음(예: 진정으로 검열 저항적인 탈중앙화 시스템)을 위해서는 암호화 솔루션에 기댈 수 있습니다. 반면에, 많은 실용적인 시스템은 인텔이 정직하거나 주요 검증인 집합이 공모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하는 데 편안하며, 효율성에서 큰 이득을 위해 약간의 신뢰를 거래합니다.

  • 보안/취약점: TEE는 논의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 버그나 사이드 채널에 의해 약화될 수 있습니다. ZK와 FHE 보안은 기본 수학(타원 곡선 또는 격자 문제 등)이 깨지면 약화될 수 있지만, 이는 잘 연구된 문제이며 공격은 아마도 눈에 띌 것입니다(또한, 매개변수 선택은 알려진 위험을 완화할 수 있음). MPC의 보안은 프로토콜이 그것을 위해 설계되지 않았다면 능동적인 적에 의해 깨질 수 있습니다(일부 MPC 프로토콜은 "정직하지만 호기심 많은" 참가자를 가정하고 누군가 노골적으로 속이면 실패할 수 있음). 블록체인 맥락에서 TEE 침해는 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패치될 때까지 모든 엔클레이브 기반 계약이 위험에 처할 수 있음). 반면 ZK 암호화 파괴(ZK 롤업에서 사용되는 해시 함수의 결함 발견 등)도 치명적일 수 있지만, 더 간단한 가정 때문에 일반적으로 덜 가능성이 있다고 간주됩니다. 공격 표면은 매우 다릅니다. TEE는 전력 분석과 같은 것을 걱정해야 하는 반면, ZK는 수학적 돌파구를 걱정해야 합니다.

  • 데이터 개인정보보호: FHE와 ZK는 가장 강력한 개인정보보호 보증을 제공합니다. 데이터는 암호학적으로 보호된 상태로 유지됩니다. MPC는 데이터가 비밀 공유되도록 보장하므로 단일 당사자가 그것을 볼 수 없습니다(출력이 공개되거나 프로토콜이 신중하게 설계되지 않으면 일부 정보가 유출될 수 있음). TEE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비공개로 유지하지만, 엔클레이브 _내부_에서는 데이터가 해독됩니다. 누군가 어떻게든 엔클레이브를 제어하게 되면 데이터 기밀성이 상실됩니다. 또한, TEE는 일반적으로 코드가 데이터로 무엇이든 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코드가 악의적인 경우 사이드 채널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실수로 유출하는 것 포함). 따라서 TEE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엔클레이브 _코드_도 신뢰해야 합니다. 반면, ZKP는 비밀을 전혀 공개하지 않고 코드의 속성을 증명하므로, 코드 자체를 신뢰할 필요조차 없습니다(증명된 속성을 실제로 가지고 있다는 것 외에는). 엔클레이브 애플리케이션에 로그 파일에 데이터를 유출하는 버그가 있었다면, TEE 하드웨어는 그것을 막지 못할 것입니다. 반면 ZK 증명 시스템은 의도된 증명 외에는 아무것도 공개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는 미묘한 차이입니다. TEE는 외부 적으로부터 보호하지만, 엔클레이브 프로그램 자체의 논리 버그로부터는 반드시 보호하지는 않습니다. 반면 ZK의 설계는 더 선언적인 접근 방식을 강요합니다(의도된 것만 정확히 증명하고 그 이상은 없음).

  • 컴포저빌리티 및 통합: TEE는 기존 시스템에 상당히 쉽게 통합됩니다. 기존 프로그램을 가져와 엔클레이브에 넣고 프로그래밍 모델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일부 보안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ZK와 FHE는 종종 프로그램을 회로나 제한적인 형태로 다시 작성해야 하며, 이는 엄청난 노력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ZK에서 간단한 AI 모델 검증을 작성하는 것은 그것을 일련의 산술 연산과 제약 조건으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TEE에서 텐서플로우를 실행하고 결과를 증명하는 것과는 거리가 멉니다. MPC도 마찬가지로 사용 사례별로 맞춤형 프로토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발자 생산성과 비용 관점에서 TEE는 매력적입니다. 기존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영역에서 TEE 채택이 더 빠른 것을 보았습니다(많은 라이브러리가 약간의 수정으로 엔클레이브에서 실행됨). ZK/MPC는 희소한 전문 엔지니어링 인재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반대 측면은 TEE가 종종 더 고립된 솔루션을 산출한다는 것입니다(해당 엔클레이브나 노드 집합을 신뢰해야 함). 반면 ZK는 누구나 온체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증명을 제공하여 매우 구성 가능하게 만듭니다(어떤 계약이든 zk 증명을 확인할 수 있음). 따라서 ZK 결과는 _이식 가능_합니다. 다른 많은 계약이나 사용자가 신뢰를 얻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작은 증명을 생성합니다. TEE 결과는 일반적으로 특정 하드웨어에 연결된 증명 형태로 제공되며 간결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쉽게 공유하거나 체인에 구애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결과의 서명을 게시하고 계약이 엔클레이브의 공개 키를 알고 있다면 그것을 수락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는 있음).

실제로 우리는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을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샌더스 네트워크는 TEE, MPC, ZK가 각각 다른 영역에서 빛나며 서로를 보완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구체적인 사례는 탈중앙화 신원증명입니다. ZK 증명을 사용하여 신원 자격 증명을 공개하지 않고 증명할 수 있지만, 그 자격 증명은 문서를 비공개로 확인한 TEE 기반 프로세스에 의해 확인되고 발급되었을 수 있습니다. 또는 확장성을 고려해 보십시오. ZK 롤업은 많은 트랜잭션에 대한 간결한 증명을 제공하지만, TEE를 사용하여 일부 연산을 더 빠르게 수행함으로써(그리고 더 작은 진술만 증명함으로써) 증명 생성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이 조합은 때때로 TEE에 대한 신뢰 요구 사항을 줄일 수 있습니다(예: 성능을 위해 TEE를 사용하지만, 손상된 TEE가 들키지 않고 속일 수 없도록 온체인 챌린지 게임이나 ZK 증명을 통해 최종 정확성을 검증). 한편, MPC는 각 당사자의 컴퓨팅 노드를 TEE로 만들어 TEE와 결합할 수 있으며, 일부 당사자가 공모하더라도 하드웨어 보안을 깨지 않는 한 서로의 데이터를 볼 수 없도록 추가 계층을 추가합니다.

요약하자면, TEE는 겸손한 가정(하드웨어 신뢰)으로 보안 연산을 위한 매우 _실용적이고 즉각적인 경로_를 제공하는 반면, ZK와 FHE는 높은 계산 비용으로 더 _이론적이고 신뢰 없는 경로_를 제공하며, MPC는 네트워크 비용으로 _분산된 신뢰 경로_를 제공합니다. Web3에서 올바른 선택은 애플리케이션 요구 사항에 따라 다릅니다.

  • _비공개 데이터에 대한 빠르고 복잡한 연산_이 필요하다면(AI, 대규모 데이터 세트 등) – TEE(또는 소수의 당사자가 있는 MPC)가 현재 유일하게 실행 가능한 방법입니다.
  • _최대의 탈중앙화와 검증 가능성_이 필요하다면 – ZK 증명이 빛을 발합니다(예: Zcash와 같은 비공개 암호화폐 트랜잭션은 사용자가 수학 외에는 아무것도 신뢰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ZKP를 선호합니다).
  • _여러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 컴퓨팅_이 필요하다면 – MPC가 자연스럽게 적합합니다(다자간 키 관리나 경매 등).
  • _매우 민감한 데이터와 장기적인 개인정보보호가 필수_라면 – 성능이 향상된다면 FHE가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몇 년 후에 누군가 암호문을 얻더라도 키 없이는 아무것도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엔클레이브 손상은 로그가 보관되었다면 비밀을 소급하여 유출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공간은 이 모든 기술을 병행하여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우리는 조합을 보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TEE를 통합한 레이어 2 솔루션이 트랜잭션을 시퀀싱한 다음 ZKP를 사용하여 TEE가 규칙을 따랐음을 증명하거나(일부 이더리움 연구에서 탐색 중인 개념), TEE를 사용하는 MPC 네트워크가 각 노드에서 MPC 프로토콜의 복잡성을 줄이는 것입니다(각 노드가 내부적으로 안전하고 여러 당사자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기 때문).

궁극적으로 TEE 대 ZK 대 MPC 대 FHE는 제로섬 선택이 아닙니다. 각각 보안, 성능, 신뢰 없음의 삼각형에서 다른 지점을 목표로 합니다. 한 기사에서 말했듯이, 네 가지 모두 성능, 비용, 보안의 "불가능한 삼각형"에 직면해 있습니다. 모든 측면에서 우월한 단일 솔루션은 없습니다. 최적의 설계는 종종 문제의 올바른 부분에 올바른 도구를 사용합니다.

6. 주요 블록체인 생태계 전반의 채택

신뢰 실행 환경은 다양한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다양한 수준의 채택을 보였으며, 이는 종종 해당 커뮤니티의 우선순위와 통합의 용이성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여기서는 이더리움, 코스모스, 폴카닷과 같은 주요 생태계에서 TEE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또는 탐색되고 있는지) 평가하고 다른 생태계도 간략하게 다룹니다.

이더리움 (및 일반 레이어 1)

이더리움 메인넷 자체에서는 TEE가 핵심 프로토콜의 일부는 아니지만, 애플리케이션 및 레이어 2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이더리움의 철학은 암호화 보안(예: 신흥 ZK-롤업)에 기울어져 있지만, TEE는 이더리움을 위한 오라클 및 오프체인 실행에서 역할을 찾았습니다.

  • 오라클 서비스: 논의된 바와 같이, 체인링크는 타운 크라이어와 같은 TEE 기반 솔루션을 통합했습니다. 모든 체인링크 노드가 기본적으로 TEE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추가적인 신뢰가 필요한 데이터 피드를 위해 기술이 존재합니다. 또한, API3(다른 오라클 프로젝트)는 인텔 SGX를 사용하여 API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서명하여 진위성을 보장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더 강력한 보증으로 이더리움 계약에 데이터를 공급합니다.

  • 레이어 2 및 롤업: 이더리움 커뮤니티에서는 롤업 시퀀서나 검증인에서 TEE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쟁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컨센시스의 "ZK-포털" 개념과 다른 것들은 옵티미스틱 롤업에서 올바른 순서를 강제하거나 시퀀서를 검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TEE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했습니다. 우리가 본 미디엄 기사에서는 2025년까지 TEE가 고빈도 거래 보호와 같은 것을 위해 일부 L2에서 기본 기능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하기도 합니다. 카탈리스트(고빈도 거래 DEX) 및 플래시봇(MEV 릴레이용)과 같은 프로젝트는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도달하기 전에 공정한 순서를 강제하기 위해 TEE를 검토했습니다.

  • 기업 이더리움: 컨소시엄 또는 허가형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는 TEE가 더 널리 채택됩니다. 기업 이더리움 연합의 신뢰 컴퓨팅 프레임워크(TCF)는 기본적으로 TEE를 이더리움 클라이언트에 통합하기 위한 청사진이었습니다. 하이퍼레저 아발론(이전 EEA TCF)은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의 일부를 TEE에서 오프체인으로 실행한 다음 온체인에서 검증할 수 있도록 합니다. IBM, 마이크로소프트, 아이젝과 같은 여러 회사가 이에 기여했습니다. 공개 이더리움에서는 이것이 일반화되지 않았지만, 비공개 배포(예: 쿼럼이나 베수를 사용하는 은행 그룹)에서는 컨소시엄 구성원조차도 서로의 데이터를 보지 않고 승인된 결과만 볼 수 있도록 TE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 환경에서 개인정보보호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 이더리움에서 운영되는 아이젝 외에도 에니그마(원래 MIT에서 MPC 프로젝트로 시작하여 SGX를 사용하도록 전환했으며, 나중에 코스모스에서 시크릿 네트워크가 됨)와 같은 프로젝트가 있었습니다. 또 다른 것은 초기 이더리움 논의에서 **탈중앙화 클라우드 서비스(DCS)**였습니다. 최근에는 OAuth(오아시스 이더리움 파라타임)가 오아시스의 TEE 백엔드를 사용하지만 이더리움에서 결제함으로써 솔리디티 계약이 기밀성을 가지고 실행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의료 데이터 공유나 게임과 같은 일부 이더리움 기반 dApp은 계약과 상호 작용하는 오프체인 엔클레이브 구성 요소를 가지고 TEE를 실험했습니다.

따라서 이더리움의 채택은 다소 간접적입니다. 프로토콜을 변경하여 TEE를 요구하지는 않았지만,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TEE를 활용하는 풍부한 선택적 서비스 및 확장 기능 세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더리움 연구자들이 신중함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TEE 전용 샤드"를 만들거나 TEE를 깊이 통합하려는 제안은 신뢰 문제로 인해 커뮤니티의 회의론에 부딪혔습니다. 대신, TEE는 핵심 구성 요소라기보다는 이더리움의 _"보조 프로세서"_로 간주됩니다.

코스모스 생태계

코스모스 생태계는 모듈식 SDK와 주권 체인을 통해 실험에 친화적이며, 시크릿 네트워크(위에서 다룸)는 코스모스에서 TEE 채택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시크릿 네트워크는 실제로 텐더민트 컨센서스를 가진 코스모스 SDK 체인으로, 검증인에게 SGX를 의무화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이는 주요 코스모스 허브 다음으로 가장 두드러진 코스모스 존 중 하나이며, 해당 커뮤니티에서 TEE 기술의 상당한 채택을 나타냅니다. 시크릿이 인터체인 개인정보보호(IBC 연결을 통해 시크릿은 다른 코스모스 체인을 위한 개인정보보호 허브 역할을 할 수 있음)를 제공하는 데 성공한 것은 L1에서 TEE 통합의 주목할 만한 사례입니다.

또 다른 코스모스 관련 프로젝트는 오아시스 네트워크입니다(코스모스 SDK를 기반으로 구축되지는 않았지만, 텐더민트에 기여한 일부 동일한 사람들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모듈식 아키텍처의 유사한 정신을 공유함). 오아시스는 독립적이지만 브리지 등을 통해 코스모스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시크릿과 오아시스 모두 코스모스 영역에서 TEE를 통한 "기능으로서의 개인정보보호" 아이디어가 전용 네트워크를 보증할 만큼 충분한 견인력을 얻었음을 보여줍니다.

코스모스는 심지어 인터체인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개인정보보호 제공자" 개념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체인의 앱이 IBC를 통해 시크릿 네트워크의 계약을 호출하여 기밀 연산을 수행한 다음 결과를 다시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컴포저빌리티는 현재 부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노마 프로젝트(엄밀히 말해 코스모스는 아니지만 상호운용성 측면에서 관련됨)는 의도 중심 아키텍처에 TEE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지만, 더 이론적입니다.

요약하자면, 코스모스는 적어도 하나의 주요 체인이 TEE를 완전히 수용하고(시크릿) 다른 체인과 상호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해당 영역에서 건전한 채택을 보여줍니다. 코스모스의 모듈성은 더 많은 그러한 체인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TEE 기반 오라클이나 신원증명에 특화된 코스모스 존을 상상할 수 있음).

폴카닷 및 서브스트레이트

폴카닷의 설계는 파라체인이 전문화될 수 있도록 하며, 실제로 폴카닷은 TEE를 사용하는 여러 파라체인을 호스팅합니다.

  • 샌더스 네트워크: 이미 설명했듯이, TEE 기반 컴퓨팅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파라체인입니다. 샌더스는 파라체인으로 라이브 상태이며, XCMP(크로스체인 메시지 패싱)를 통해 다른 체인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다른 폴카닷 프로젝트는 기밀 작업을 샌더스의 워커에게 오프로드하고 증명이나 결과를 다시 받을 수 있습니다. 샌더스의 네이티브 토큰 경제는 TEE 노드 실행을 장려하며, 상당한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어 강력한 채택을 시사합니다.
  • 인티그리티: TEE를 사용하여 기업 및 데이터 개인정보보호 솔루션에 중점을 둔 또 다른 파라체인입니다. 인티그리티는 팀이 실행이 엔클레이브에서 수행되는 자체 비공개 사이드체인(Teewasms라고 함)을 배포할 수 있도록 합니다. 폴카닷 보안에 고정되기를 원하면서도 기업을 위한 기밀 데이터 처리와 같은 사용 사례를 목표로 합니다.
  • /Root 또는 Crust?: 일부 폴카닷 관련 프로젝트에서 탈중앙화 스토리지나 랜덤 비콘에 TEE를 사용하는 아이디어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크러스트 네트워크(탈중앙화 스토리지)는 원래 TEE 기반 저장 증명(나중에 다른 설계로 변경됨)을 계획했습니다. 그리고 폴카닷의 랜덤 파라체인(엔트로피)은 VRF 대 TEE를 고려했습니다.

폴카닷이 온체인 거버넌스와 업그레이드에 의존한다는 것은 파라체인이 새로운 기술을 신속하게 통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샌더스와 인티그리티 모두 TEE 통합을 개선하기 위해 업그레이드를 거쳤습니다(새로운 SGX 기능 지원 또는 증명 방법 개선 등). 웹3 재단은 또한 SubstraTEE(온체인 검증으로 오프체인 계약 실행을 보여준 초기 프로토타입)와 같은 서브스트레이트 기반 TEE 프로젝트에 대한 초기 노력을 지원했습니다.

따라서 폴카닷 생태계는 여러 독립적인 팀이 TEE 기술에 베팅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긍정적인 채택 추세를 나타냅니다. "기밀 스마트 계약이나 오프체인 컴퓨팅이 필요하다면, 우리는 그것을 위한 파라체인이 있습니다"라는 것이 폴카닷의 판매 포인트가 되고 있습니다.

기타 생태계 및 일반 채택

  • 기업 및 컨소시엄: 공개 암호화폐 외부에서 하이퍼레저 및 기업 체인은 허가형 환경을 위해 TEE를 꾸준히 채택해 왔습니다. 예를 들어, 바젤 위원회는 TEE 기반 무역 금융 블록체인을 테스트했습니다. 일반적인 패턴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인정보보호나 데이터 기밀성이 필수적이고 참가자가 알려져 있는 경우(따라서 하드웨어 보안 모듈에 공동으로 투자할 수도 있음), TEE는 편안한 보금자리를 찾습니다. 이것들은 암호화폐 뉴스에서 헤드라인을 장식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공급망, 은행 컨소시엄 또는 의료 데이터 공유 네트워크와 같은 부문에서는 TEE가 종종 선택됩니다(제3자를 신뢰하거나 무거운 암호화를 사용하는 대안으로).

  • 이더리움 외부의 레이어 1: 일부 최신 L1은 TEE를 시도했습니다. 니어 프로토콜은 비공개 계약을 위한 TEE 기반 샤드에 대한 초기 개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아직 구현되지 않음). 셀로는 라이트 클라이언트 증명을 위해 TEE를 고려했습니다(그들의 플루모 증명은 이제 스나크에 의존하지만, 한때 모바일을 위해 체인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해 SGX를 검토했습니다). 콩코디움, 규제된 개인정보보호 L1은 익명성을 위해 ZK를 사용하지만 신원 확인을 위해 TEE도 탐색합니다. 디피니티/인터넷 컴퓨터는 노드 머신에서 보안 엔클레이브를 사용하지만, 신뢰 부트스트래핑을 위해서입니다(계약 실행용이 아님, 그들의 "체인 키" 암호화가 그것을 처리함).

  • 비트코인: 비트코인 자체는 TEE를 사용하지 않지만, 사이드 프로젝트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키를 위한 TEE 기반 보관 솔루션(볼트 시스템 등)이나, TEE로 보안될 수 있는 오라클을 사용하자는 DLC(이산 로그 계약)의 특정 제안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비트코인 커뮤니티는 더 보수적이며 컨센서스의 일부로 인텔을 쉽게 신뢰하지 않겠지만, 보조 기술(보안 요소가 있는 하드웨어 지갑)로는 이미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 규제 기관 및 정부: 채택의 흥미로운 측면: 일부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연구는 감사 가능성을 허용하면서 개인정보보호를 강제하기 위해 TEE를 검토했습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 은행은 그렇지 않으면 비공개인 트랜잭션에 대해 특정 규정 준수 검사를 처리하기 위해 TEE를 사용하는 실험을 실행했습니다. 이는 규제 기관조차도 TEE를 개인정보보호와 감독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으로 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트랜잭션이 대중에게 암호화되지만 규제 기관 엔클레이브가 특정 조건 하에서 검토할 수 있는 CBDC를 가질 수 있습니다(이는 가설이지만 정책계에서 논의됨).

  • 채택 지표: 채택을 정량화하기는 어렵지만, 프로젝트 수, 투자된 자금, 인프라 가용성과 같은 지표를 볼 수 있습니다. 그 점에서 오늘날(2025년)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TEE를 명시적으로 사용하는 최소 3-4개의 공개 체인(시크릿, 오아시스, 샌더스, 인티그리티, 오프체인으로서의 오토마타), 이를 통합하는 주요 오라클 네트워크, 기밀 컴퓨팅을 지원하는 대기업(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구글 클라우드는 TEE VM을 제공하며 이러한 서비스는 블록체인 노드에서 옵션으로 사용됨). 기밀 컴퓨팅 컨소시엄에는 이제 블록체인 중심 회원(이더리움 재단, 체인링크, 포타닉스 등)이 포함되어 산업 간 협력을 보여줍니다. 이 모든 것은 성장하지만 틈새 시장의 채택을 가리킵니다. TEE는 아직 Web3에서 보편적이지는 않지만, 개인정보보호와 보안 오프체인 컴퓨팅이 필요한 중요한 틈새 시장을 개척했습니다.

7. 비즈니스 및 규제 고려 사항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에서 TEE를 사용하는 것은 이해관계자들이 고려해야 할 몇 가지 비즈니스 및 규제적 문제를 제기합니다.

개인정보보호 규정 준수 및 기관 채택

TEE 채택의 비즈니스 동인 중 하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서 데이터 개인정보보호 규정(유럽의 GDPR, 미국의 건강 데이터에 대한 HIPAA 등)을 준수해야 할 필요성입니다. 공개 블록체인은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전 세계에 방송하므로, 민감한 개인 데이터를 보호해야 하는 규정과 충돌합니다. TEE는 데이터를 온체인에서 기밀로 유지하고 통제된 방식으로만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규정 준수를 가능하게 합니다. 언급했듯이, "TEE는 민감한 사용자 데이터를 격리하고 안전하게 처리되도록 보장함으로써 데이터 개인정보보호 규정 준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이 기능은 기업과 기관을 Web3로 끌어들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법률 위반의 위험을 감수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환자 정보를 처리하는 의료 dApp은 TEE를 사용하여 원시 환자 데이터가 온체인에 유출되지 않도록 보장하여 HIPAA의 암호화 및 접근 제어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유럽 은행은 TEE 기반 체인을 사용하여 고객의 개인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 자산을 토큰화하고 거래하여 GDPR에 부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긍정적인 규제적 측면을 가집니다. 일부 규제 기관은 TEE와 같은 솔루션(및 관련 기밀 컴퓨팅 개념)이 개인정보보호의 기술적 강제를 제공하기 때문에 호의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우리는 세계 경제 포럼 등이 TEE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_"설계에 의한 개인정보보호(privacy by design)"_를 구축하는 수단으로 강조하는 것을 보았습니다(본질적으로 프로토콜 수준에서 규정 준수를 내장함). 따라서 비즈니스 관점에서 TEE는 주요 장애물 중 하나(데이터 기밀성)를 제거함으로써 기관 채택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데이터에 대한 하드웨어 보호 장치가 있다는 것을 알면 블록체인을 사용하거나 구축하는 데 더 기꺼이 참여합니다.

또 다른 규정 준수 측면은 감사 가능성 및 감독입니다. 기업은 종종 감사 로그와 감사관에게 데이터를 통제하고 있음을 증명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TEE는 실제로 증명 보고서와 접근된 내용에 대한 보안 로그를 생성함으로써 여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아시스의 엔클레이브 내 "영구 로깅"은 민감한 작업에 대한 변조 방지 로그를 제공합니다. 기업은 해당 로그를 규제 기관에 보여줌으로써, 예를 들어, 승인된 코드만 실행되었고 고객 데이터에 대해 특정 쿼리만 수행되었음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종류의 _증명된 감사_는 시스템 관리자 로그를 신뢰하는 전통적인 시스템보다 규제 기관을 더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신뢰와 책임

반면에 TEE를 도입하면 신뢰 구조가 바뀌고 따라서 블록체인 솔루션의 책임 모델도 바뀝니다. DeFi 플랫폼이 TEE를 사용하고 하드웨어 결함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면 누가 책임이 있을까요? 예를 들어, 인텔 SGX 버그로 인해 비밀 스왑 거래 세부 정보가 유출되어 사용자가 돈을 잃는(선행 매매 등) 시나리오를 생각해 보십시오. 사용자는 플랫폼의 보안 주장을 신뢰했습니다. 플랫폼의 잘못일까요, 아니면 인텔의 잘못일까요? 법적으로 사용자는 플랫폼을 고소할 수 있으며(플랫폼은 다시 인텔을 고소해야 할 수 있음), 이는 제3자 기술 제공업체(CPU 공급업체)가 보안 모델에 깊이 관여하기 때문에 문제를 복잡하게 만듭니다. TEE를 사용하는 기업은 계약 및 위험 평가에서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일부는 중요한 인프라에서 TEE를 사용하는 경우 하드웨어 공급업체로부터 보증이나 지원을 구할 수 있습니다.

중앙 집중화 우려도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보안이 단일 회사의 하드웨어(인텔 또는 AMD)에 의존한다면, 규제 기관은 이를 회의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부가 특정 엔클레이브를 손상시키기 위해 해당 회사를 소환하거나 강요할 수 있을까요? 이는 순전히 이론적인 우려가 아닙니다. 수출 통제법을 고려해 보십시오. 고급 암호화 하드웨어는 규제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인프라의 상당 부분이 TEE에 의존한다면, 정부가 백도어를 삽입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증거는 없지만 _인식_이 중요함). 일부 개인정보보호 옹호자들은 규제 기관에 이를 지적합니다. TEE는 신뢰를 집중시키므로 규제 기관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입니다. 반대로, 더 많은 통제를 원하는 규제 기관은 ZK와 같은 수학 기반 개인정보보호보다 TEE를 _선호_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TEE에는 법 집행 기관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예: 마스터 증명 키를 얻기 위해) 하드웨어 공급업체에 법원 명령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개념이 적어도 있기 때문입니다(쉽거나 가능성이 높지는 않지만 ZK에는 존재하지 않는 경로임). 따라서 규제적 수용은 나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 규제 기관(데이터 보호 기관)은 규정 준수를 위해 TEE를 지지하는 반면, 법 집행 기관은 TEE가 강력한 암호화처럼 "어둠 속으로" 가지 않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낙관적일 수 있습니다. 그들이 시도할 수 있는 이론적인 수단(하드웨어)이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은 인증에 참여함으로써 이를 헤쳐나가야 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모듈에 대한 FIPS 140 또는 공통 기준과 같은 보안 인증이 있습니다. 현재 SGX 등은 일부 인증을 받았습니다(예: SGX는 특정 용도에 대해 공통 기준 EAL 인증을 받음). 블록체인 플랫폼이 엔클레이브 기술이 높은 표준으로 인증되었음을 지적할 수 있다면, 규제 기관과 파트너는 더 편안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BDC 프로젝트는 사용되는 모든 TEE가 FIPS 인증을 받도록 요구하여 난수 생성 등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도입하고 특정 하드웨어 버전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생태계 및 비용 고려 사항

비즈니스 관점에서 TEE를 사용하면 블록체인 운영의 비용 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노드는 특정 CPU를 가져야 하며(더 비싸거나 에너지 효율이 낮을 수 있음), 이는 더 높은 클라우드 호스팅 비용이나 자본 지출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가 모든 검증인에게 SGX가 있는 인텔 제온을 의무화한다면, 이는 제약입니다. 검증인은 라즈베리 파이나 오래된 노트북을 가진 사람이 될 수 없으며, 해당 하드웨어가 필요합니다. 이는 참여할 수 있는 사람을 중앙 집중화할 수 있으며(고급 서버를 감당할 수 있거나 SGX VM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제공업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유리할 수 있음), 극단적인 경우 네트워크가 더 허가형이 되거나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의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는 탈중앙화 트레이드오프이자 비즈니스 트레이드오프입니다(네트워크가 노드 제공업체를 보조해야 할 수 있음).

반면에, 일부 기업은 알려진 검증인을 원하거나 허용 목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특히 기업 컨소시엄에서) 이를 수용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개 암호화폐 네트워크에서는 이것이 논쟁을 일으켰습니다. 예를 들어, SGX가 필요했을 때 사람들은 "이것은 대규모 데이터 센터만 노드를 운영한다는 의미인가?"라고 물었습니다. 이는 커뮤니티 정서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시장 채택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일부 암호화폐 순수주의자들은 TEE를 요구하는 체인을 "덜 신뢰할 수 없다"거나 너무 중앙 집중화되었다고 낙인찍고 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젝트는 PR과 커뮤니티 교육을 처리하여 신뢰 가정이 무엇인지, 그리고 왜 여전히 안전한지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우리는 시크릿 네트워크가 인텔 업데이트의 엄격한 모니터링과 검증인이 엔클레이브를 업데이트하지 않으면 슬래싱된다는 것을 설명함으로써 FUD에 대처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기본적으로 하드웨어 신뢰 위에 사회적 신뢰 계층을 만드는 것입니다.

또 다른 고려 사항은 파트너십과 지원입니다. TEE를 둘러싼 비즈니스 생태계에는 대기업(인텔, AMD, ARM,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이 포함됩니다. TEE를 사용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종종 이들과 파트너 관계를 맺습니다(예: 아이젝과 인텔의 파트너십, 시크릿 네트워크와 인텔의 증명 개선 작업, 오아시스와 마이크로소프트의 기밀 AI 등). 이러한 파트너십은 자금, 기술 지원 및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략적인 지점입니다. 기밀 컴퓨팅 산업과 협력하면 문이 열릴 수 있지만(자금이나 기업 파일럿을 위해), 암호화폐 프로젝트가 대기업과 협력하게 될 수도 있으며, 이는 커뮤니티에서 이념적 함의를 가집니다.

규제 불확실성

TEE를 사용하는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이 성장함에 따라 새로운 규제적 질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데이터 관할권: 데이터가 특정 국가의 TEE 내에서 처리되면, "해당 국가에서 처리된 것"으로 간주될까요, 아니면 암호화되어 있으므로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될까요? 일부 개인정보보호법은 시민의 데이터가 특정 지역을 떠나지 않도록 요구합니다. TEE는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지역에 엔클레이브가 있을 수 있지만, 암호화된 데이터만 들어오고 나갑니다. 규제 기관은 이러한 처리를 어떻게 볼 것인지 명확히 해야 할 수 있습니다.
  • 수출 통제: 고급 암호화 기술은 수출 제한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TEE는 메모리 암호화를 포함합니다. 역사적으로 이것은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이러한 기능이 있는 CPU는 전 세계적으로 판매됨), 만약 그것이 바뀐다면 공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국가는 국가 안보 때문에 외국 TEE 사용을 금지하거나 권장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예: 중국은 인텔을 신뢰하지 않기 때문에 SGX에 해당하는 자체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민감한 용도에 SGX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음).
  • 법적 강제: 시나리오: 정부가 노드 운영자에게 엔클레이브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소환할 수 있을까요? 보통은 운영자조차도 내부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특정 증명 키에 대해 인텔을 소환한다면 어떨까요? 인텔의 설계는 그들조차도 엔클레이브 메모리를 해독할 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그들은 CPU에 키를 발급하고 CPU가 작업을 수행함). 그러나 백도어가 존재하거나 인텔이 서명한 특수 펌웨어가 메모리를 덤프할 수 있다면, 그것은 사람들을 걱정시키는 가설입니다. 법적으로 인텔과 같은 회사는 보안을 약화시키라는 요청을 받으면 거부할 수 있습니다(제품에 대한 신뢰를 파괴하지 않기 위해 그럴 가능성이 높음). 그러나 그 가능성만으로도 합법적인 접근에 대한 규제 논의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TEE를 사용하는 기업은 이러한 발전에 대해 최신 정보를 유지해야 하지만, 현재 인텔/AMD가 엔클레이브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공개적인 메커니즘은 없습니다. 그것이 TEE의 핵심입니다.

시장 차별화 및 신규 서비스

비즈니스에 긍정적인 측면에서 TEE는 수익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가능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 기밀 데이터 마켓플레이스: 아이젝과 오션 프로토콜 등이 언급했듯이, 기업들은 유출되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이 있다면 수익화할 수 있는 귀중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TEE는 데이터가 엔클레이브를 떠나지 않고 통찰력만 나오는 "데이터 대여"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새로운 수익원과 비즈니스 모델을 열 수 있습니다. 우리는 Web3 스타트업이 기업에 기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봅니다. 본질적으로 "아무것도 노출하지 않고 블록체인이나 회사 간 데이터에서 통찰력을 얻으세요"라는 아이디어를 판매하는 것입니다.
  • 기업 DeFi: 금융 기관은 종종 개인정보보호 부족을 DeFi나 공개 블록체인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 듭니다. TEE가 그들의 포지션이나 거래에 대한 개인정보보호를 보장할 수 있다면, 그들은 참여하여 생태계에 더 많은 유동성과 비즈니스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를 충족시키는 프로젝트(시크릿의 비밀 대출이나 오아시스의 규정 준수 통제가 있는 비공개 AMM 등)는 기관 사용자를 유치하기 위해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성공하면 상당한 시장이 될 수 있습니다(신원과 금액은 보호되지만 엔클레이브가 AML과 같은 규정 준수 검사를 내부적으로 수행하는 기관 AMM 풀을 상상해 보십시오. 이는 규제적 편안함 하에 DeFi에 큰 돈을 가져올 수 있는 제품입니다).
  • 보험 및 위험 관리: TEE가 특정 위험(오라클 조작 등)을 줄임에 따라, 스마트 계약 플랫폼에 대한 보험료가 낮아지거나 새로운 보험 상품이 나올 수 있습니다. 반대로, TEE는 새로운 위험(엔클레이브의 기술적 실패 등)을 도입하며, 이는 그 자체로 보험 가능한 사건이 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보험 분야가 싹트고 있습니다. 그들이 TEE 의존 시스템을 어떻게 취급할지는 흥미로울 것입니다. 플랫폼은 데이터 유출 위험을 낮추기 위해 TEE를 사용한다고 마케팅하여 보험 가입을 더 쉽고 저렴하게 만들어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TEE 지원 Web3의 비즈니스 및 규제 환경은 신뢰와 혁신의 균형에 관한 것입니다. TEE는 법률을 준수하고 기업 사용 사례를 열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지만(주류 채택에 큰 이점), 하드웨어 제공업체에 대한 의존성과 투명하게 관리되어야 하는 복잡성도 가져옵니다. 이해관계자들은 블록체인에서 TEE의 잠재력을 완전히 실현하기 위해 기술 대기업(지원용)과 규제 기관(명확성과 보증용) 모두와 협력해야 합니다. 잘 수행된다면, TEE는 블록체인이 민감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산업과 깊이 통합될 수 있도록 하는 초석이 될 수 있으며, 이로써 Web3의 범위를 이전에는 개인정보보호 문제로 인해 접근할 수 없었던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결론

신뢰 실행 환경은 Web3 도구 상자에서 강력한 구성 요소로 부상하여, 기밀성과 안전한 오프체인 연산이 필요한 새로운 종류의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우리는 인텔 SGX, ARM TrustZone, AMD SEV와 같은 TEE가 연산을 위한 하드웨어 격리 "안전 상자"를 제공하며, 이 속성이 개인정보 보호 스마트 계약, 검증 가능한 오라클, 확장 가능한 오프체인 처리 등을 위해 활용되었음을 보았습니다. 코스모스의 시크릿 네트워크의 비공개 계약부터 오아시스의 기밀 파라타임, 폴카닷의 샌더스 TEE 클라우드, 이더리움의 아이젝 오프체인 마켓플레이스에 이르기까지 생태계 전반의 프로젝트들은 TEE가 블록체인 플랫폼에 통합되는 다양한 방식을 보여줍니다.

기술적으로 TEE는 속도와 강력한 데이터 기밀성이라는 매력적인 이점을 제공하지만, 하드웨어 공급업체를 신뢰해야 하는 필요성, 잠재적인 사이드 채널 취약점, 통합 및 컴포저빌리티의 장애물과 같은 자체적인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우리는 TEE를 암호화 대안(ZKP, FHE, MPC)과 비교했으며, 각각의 틈새 시장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TEE는 성능과 사용 편의성에서 빛나고, ZK와 FHE는 높은 비용으로 최대한의 신뢰 없음을 제공하며, MPC는 참가자들 사이에 신뢰를 분산시킵니다. 실제로 많은 최첨단 솔루션은 하이브리드이며, 양쪽의 장점을 모두 얻기 위해 암호화 방법과 함께 TEE를 사용합니다.

TEE 기반 솔루션의 채택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dApp은 오라클 보안 및 비공개 연산을 위해 TEE를 활용하고, 코스모스와 폴카닷은 전문화된 체인을 통해 네이티브 지원을 제공하며, 기업 블록체인 노력은 규정 준수를 위해 TEE를 수용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측면에서 TEE는 탈중앙화 기술과 규제 사이의 다리가 될 수 있습니다. 민감한 데이터가 하드웨어 보안의 보호 아래 온체인에서 처리되도록 허용하여 기관 사용 및 새로운 서비스의 문을 엽니다. 동시에 TEE를 사용한다는 것은 새로운 신뢰 패러다임에 참여하고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정신이 불투명한 실리콘에 의해 약화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요약하자면, 신뢰 실행 환경은 Web3의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와 확장성이라는 가장 시급한 우려 사항 중 일부를 해결하며, 만병통치약은 아니지만(논란이 없는 것도 아님),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이 할 수 있는 것을 크게 확장합니다. 기술이 성숙함에 따라(하드웨어 보안 및 증명 표준의 개선과 함께) 더 많은 프로젝트가 그 가치를 입증함에 따라, 우리는 TEE가(보완적인 암호화 기술과 함께) Web3의 잠재력을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최대한 발휘하기 위한 블록체인 아키텍처의 표준 구성 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미래는 하드웨어와 암호화가 손을 잡고 작동하여 성능이 뛰어나고 입증 가능하게 안전한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 개발자 및 규제 기관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계층화된 솔루션을 가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출처: 이 보고서의 정보는 공식 프로젝트 문서 및 블로그, 산업 분석, 학술 연구 등 다양한 최신 출처에서 수집되었으며, 본문 전체에 걸쳐 인용되었습니다. 주목할 만한 참고 자료로는 Web3의 TEE에 대한 Metaschool 2025 가이드, 샌더스 네트워크의 비교, FHE/TEE/ZKP/MPC에 대한 ChainCatcher 등의 기술적 통찰력, 바이낸스 리서치의 규제 준수에 대한 진술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출처는 추가적인 세부 정보를 제공하며, 특정 측면을 더 깊이 탐구하고자 하는 독자에게 권장됩니다.

Sony의 Soneium: 엔터테인먼트 세계에 블록체인 도입

· 약 5분

빠르게 진화하는 블록체인 기술 환경 속에서, 익숙한 이름이 대담한 비전을 가지고 무대에 등장했습니다. 엔터테인먼트와 기술의 거인인 Sony가 Soneium을 출시했습니다 — 최첨단 Web3 혁신과 주류 인터넷 서비스를 연결하기 위해 설계된 이더리움 레이어-2 블록체인입니다. 그렇다면 Soneium은 정확히 무엇이며, 왜 관심을 가져야 할까요?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Soneium이란?

Soneium은 이더리움 위에 구축된 레이어-2 블록체인으로, Sony Group과 Startale Labs가 공동 설립한 Sony Block Solutions Labs에서 개발했습니다. 2025년 1월에 성공적인 테스트넷을 거쳐 출시된 Soneium은 “경계를 초월하는 열린 인터넷을 실현”한다는 목표 아래, 블록체인 기술을 접근 가능하고 확장 가능하며 일상 생활에 실용적으로 만들고자 합니다.

이를 Sony가 PlayStation과 Walkman으로 게임과 음악을 대중화했던 것처럼, 블록체인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만들려는 시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Soneium 뒤의 기술

기술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해, Soneium은 Optimism의 OP Stack 위에 구축되었습니다. 이는 다른 인기 레이어-2 솔루션과 동일한 옵티미스틱 롤업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쉽게 말해? 트랜잭션을 오프체인에서 처리하고 주기적으로 압축된 데이터를 이더리움에 게시함으로써,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더 빠르고 저렴한 거래를 가능하게 합니다.

Soneium은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과 완전 호환되므로, 이더리움에 익숙한 개발자는 플랫폼에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또한 Optimism의 “Superchain” 생태계에 참여해 Coinbase의 Base와 같은 다른 레이어-2 네트워크와도 원활히 소통할 수 있습니다.

Soneium의 차별점은?

시중에 이미 여러 레이어-2 솔루션이 존재하지만, Soneium은 엔터테인먼트, 창작 콘텐츠, 팬 참여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돋보입니다 — Sony가 수십 년간 쌓아온 경험과 방대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영역이죠.

예를 들어, 영화 티켓을 구매하면 보너스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독점 디지털 컬렉터블을 받는 상황을 상상해 보세요. 혹은 가상 콘서트에 참석해 NFT 티켓이 특별 혜택이 포함된 기념품이 되는 경우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경험을 Sony는 Soneium 위에서 구현하고자 합니다.

플랫폼이 지원하도록 설계된 분야:

  • 게임: 인게임 자산에 대한 빠른 트랜잭션
  • NFT 마켓플레이스: 디지털 컬렉터블 거래
  • 팬 참여 앱: 커뮤니티가 크리에이터와 소통
  • 금융 도구: 크리에이터와 팬을 위한 금융 서비스
  •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솔루션

Sony의 파트너십이 Soneium을 견인

Sony는 혼자서 이 일을 진행하지 않습니다. 여러 전략적 파트너와 협력해 Soneium의 개발과 채택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 Startale Labs: 싱가포르 기반 블록체인 스타트업으로, Astar Network 공동창업자 Sota Watanabe가 이끌며 Sony의 핵심 기술 파트너 역할을 수행
  • Optimism Foundation: 기본 기술 제공
  • Circle: USD Coin(USDC)을 네트워크의 주요 통화로 지원
  • Samsung: 벤처 부문을 통한 전략적 투자
  • Alchemy, Chainlink, Pyth Network, The Graph: 필수 인프라 서비스 제공

또한 Sony는 Sony Pictures, Sony Music Entertainment, Sony Music Publishing 등 내부 부서를 활용해 Soneium 위에서 Web3 팬 참여 프로젝트를 파일럿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각기동대” 프랜차이즈와 Sony 레이블 소속 여러 음악 아티스트를 위한 NFT 캠페인을 이미 진행했습니다.

초기 성공 신호

출시 몇 개월 만에 Soneium은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테스트넷 단계에서 1,500만 이상의 활성 지갑과 4,700만 건 이상의 트랜잭션 처리
  • 메인넷 출시 첫 달에 248,000 이상의 온체인 계정과 약 180만 개의 주소가 네트워크와 상호작용
  • Web3 음악 레이블 Coop Records와의 협업을 포함한 여러 NFT 드롭 성공적으로 진행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Sony와 Astar Network는 100일 인센티브 캠페인을 시작했으며, 1억 토큰 보상 풀을 제공해 사용자들이 앱을 체험하고, 유동성을 공급하며, 플랫폼에 활발히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있습니다.

보안과 확장성: 균형 잡기

Sony에게 보안은 최우선 과제입니다. Soneium은 이더리움의 보안을 그대로 물려받으면서 자체적인 보호 조치를 추가했습니다.

흥미롭게도 Sony는 지식재산권을 침해한다고 판단되는 특정 스마트 계약과 토큰을 블랙리스트에 올리는 다소 논란이 되는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이는 탈중앙화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지만, Sony는 크리에이터를 보호하고 주류 사용자와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큐레이션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확장성 측면에서 Soneium은 이더리움의 처리량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트랜잭션을 오프체인에서 처리함으로써, 대규모 게임이나 NFT 드롭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대량 채택에 필수적인 높은 처리량과 낮은 비용을 실현합니다.

앞으로의 로드맵

Soneium에 대한 Sony의 로드맵은 다단계로 구성됩니다:

  1. 첫 해: Web3 열성 팬과 초기 채택자 온보딩
  2. 2년 차: Sony Bank, Sony Music, Sony Pictures 등 Sony 제품과 통합
  3. 3년 차: 기업 및 Sony 생태계를 넘어선 일반 애플리케이션으로 확장

현재 NFT 기반 팬 마케팅 플랫폼을 순차적으로 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브랜드와 아티스트가 팬에게 NFT를 손쉽게 발행하고, 독점 콘텐츠 및 이벤트 접근 권한 같은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현재 Soneium은 가스 비용으로 ETH를 사용하고 인센티브로 ASTR(Astar Network 토큰)을 활용하고 있지만, 향후 Soneium 고유 토큰이 등장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다른 레이어-2 네트워크와의 비교

혼잡한 레이어-2 시장에서 Soneium은 Arbitrum, Optimism, Polygon 등 기존 강자들과 경쟁합니다. 그러나 Sony는 엔터테인먼트 제국을 활용해 창의적인 사용 사례에 집중함으로써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커뮤니티 중심의 레이어-2와 달리, Soneium은 Sony 브랜드 신뢰도, 콘텐츠 IP 접근성, 기존 Sony 서비스 사용자 기반을 활용합니다. 그 대가로 초기에는 Optimism이나 Arbitrum처럼 토큰을 발행하고 커뮤니티 거버넌스를 구현한 수준만큼 탈중앙화가 낮을 수 있습니다.

큰 그림

Sony의 Soneium은 블록체인 대중화를 향한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콘텐츠와 팬 참여라는 Sony의 강점을 살려, Soneium은 Web3 열성 팬과 일반 소비자 사이의 다리를 놓고자 합니다.

만약 Sony가 수백만 고객 중 일부라도 Web3 참여자로 전환한다면, Soneium은 최초의 진정한 메인스트림 블록체인 플랫폼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실험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지만, 그 잠재력은 거대합니다. 엔터테인먼트, 기술, 블록체인이 점점 더 얽히면서, Soneium은 게임 아바타 하나, 음악 NFT 하나로 대중에게 블록체인 기술을 전파하는 선두주자가 될 것입니다.